$\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파식초의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독성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 of Eriobotrya japonica Lindl. on Hepatotoxicity by Carbon Tetrachloride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3 no.1, 2018년, pp.77 - 82  

신유빈 (신라대학교 그린화학융합공학과) ,  하배진 (신라대학교 바이오과학과 제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비파 식초가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독성에 대한 보호효과를 흰 쥐를 이용하여 확인하고자 연구하였다. 4주간 SD rat 암컷을 정상군, 음성대조군, 양성대조군, 비파 식초군으로 나누어 샘플을 처리하였고, 29일째 되는 날 사염화탄소를 처리하였다. 혈청 ASTALT 효소 활성 수치 변화에서 비파 식초가 사염화탄소를 단독으로 투여한 군보다 유의한 수치로 각각 49.77%, 75.88%로 감소하였다(p < 0.001). 간 조직에서는 CATSOD 효소 활성은 비파 식초군이 사염화탄소를 단독으로 투여한 음성대조군보다 유의한 차이로 높은 활성 수치를 보였다. 조직학적 관찰에서는 비파식초군이 사염화탄소를 단독으로 투여한 음성대조군에 비해 지방변성이 적게 분포하고, 조직의 섬유화가 진행되지 않았으며, 정상군과 비슷한 간세포의 구조가 관찰 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보아 비파 식초는 항산화 효소의 증가로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간 손상을 억제할 뿐아니라 혈청의 AST 및 ALT 효소 활성을 감소시켜 간 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건강기능식품으로써 긍정적인 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atural Eriobotrya japonica Lindl. vinegar on the liver protective effect of animals exposed to carbon tetrachloride. Eriobotrya japonica Lindl. vinegar (200 mg/kg) was administered at the same time for 28 days, and hepatotoxicity was induced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비파 식초를 이용하여 사염화탄소로 흰 쥐에게 간독성을 일으켰을 때 생체 내에서 간독성 보호 효과 작용 가능성을 알아보고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비파 식초가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독성에 대한 보호효과를 흰 쥐를 이용하여 확인하고자 연구하였다. 4주간 SD rat 암컷을 정상군, 음성대조군, 양성대조군, 비파 식초군으로 나누어 샘플을 처리하였고, 29일째 되는 날 사염화탄소를 처리하였다.
  • . 이 연구는 사염화탄소로 간 손상을 유도 하였을 때 비파 식초의 간 보호 효과에 대하여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파나무는 무엇인가? 비파(Eriobotrya japonica Lindl.) 나무는 장미과의 상록교목으로, 잎은 타원상의 난형이며 백색의 꽃과 황색의 열매로 중국이 원산지이지만 일본과 한국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와 전라남도 등 혼화한 기후의 지역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다6,8). 비파나무의 잎은 엽차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민간요법으로 청폐, 진해, 기관지염, 거담, 딸꾹질 및 부종 등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사염화탄소가 간 손상을 일으키는 기작은? 사염화탄소는 간 손상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독성물질로, 생체 내에서 cytochrome P450에 의하여 trichloromethyl peroxyl radical (OOCCl3)가 생성되어 이 radical이 간독성을 유발 시킨다21). 간세포의 사멸과 간암, 지방성 퇴행(fatty degeneration), 간 섬유증(fibrosis) 등을 유발시키고, CCl3radical이 소포체의 불포화 지방산을 공격하여 세포막에서 지질과산화를 일으키고, 세포내의 단백질이나 지질 등의 macromolecules와 결합하여 간의 괴사가 활성화 되며,Kupffer cell이라는 대식세포를 활성화 시켜 염증을 생성하게 된다10,25,26).
비파 관련 연구에서 효능으로 밝혀진 것은? 열매는 과육이 연하고 당도가 높아 식용하기에 좋은 기호성 식품인 과실로, carotenoid 색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다6,9). 비파에 대한 연구로는 아질산염 소거 및 항 돌연변이 효과4), 혈당 저하14), 항균 및 항산화 활성3), 항암 효과7) 등이 보고되어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비파에 대한 용매별로 추출한 연구는 다양하지만 비파를 식초에 숙성시켜 간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에 대한 연구로는 거의 부족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ebi H.: Catalase in vitro, methods. Enzymology., 105, 121-126 (1984). 

  2. An S.C., Jin H.L., Jeon Y.H., Lim O.B.: The protective effects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water extracts on the immunomodulatory effects on liver damage 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 in rat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7, 273-279 (2009). 

  3. Bae Y.I., Jeong C.H., Shim K.H.: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es of various solvent extract from different parts of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Korean J. Food Preserv., 9, 97-101 (2002). 

  4. Bae Y.I., Jeong C.H., Shim K.H.: Nitrite scavenging and antimutagenic effect of various solvent extract from different parts of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Korean J. Food Preserv., 9, 92-96 (2002). 

  5. Beauchamp C., Fridovich I.: Superoxide dismutase : improved assays and an assay applicable to acrylamide gel. Anal Biochem., 44, 276-287 (1971). 

  6. Choi K.W., Lee J.K., Jo H.J., Lee K.J., Yoon J.A., An J.H., Chung K.H.: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makgelli made with loquat fruits (Eriobotrya japonica Lindley).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975-982 (2013). 

  7. Eak W.T., Ock L.H., Wa L.J.: Anticancer effect of Eriobotrya japonica Lindl by specificity test with several cancer cell line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4, 314-320 (1996). 

  8. Go J.K., Park S.I.: Preparation of stirred yoghurt from milk added with korean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ey). Korean J. Food & Nutr., 18, 200-206 (2005) 7. 

  9. Hwang Y.G., Lee J.J., Kim A.R., Lee M.Y.: 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Eriobotrya japonica Lindl. Leaf. J. Life Sci., 20, 1625-1633 (2010). 

  10. Jeon T.W., Lee E.S., Lee Y.S., Han O.K., Park, M.H., Kim K.J., Kim H.J.: Hepatoprotective effects of Semisulcospira libertina and garlic on the liver damage 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516-520 (2002). 

  11. Jung K.H., Chung C.S., No H.R.: The effect of Cimicifuga heracleifolia on carbon tetrachloride-induced hepatotoxicity in rats. J Appl Pharmacol., 1, 89-96 (1996). 

  12. Kim A.R., Hwang Y.G., Lee J.J., Jung H.O., Lee M.Y.: Effects of Eriobotrya japonica Lindl. (Loquat) leaf ethanol extract on cholesterol and antioxidative activity in rats fed a high-fat/high-cholesterol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673-681 (2011). 

  13. Kim D.H., Deung Y.K., Lee Y.M., Yoon Y.S, Lee K.J.: The effects of Saengshik on the hepatotoxicity of mouse 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 Korean J. Electron Microscopy., 37, 11-21 (2007). 

  14. Kim E., Kim M.S., Rhyu D.Y., Min O.J.: Hypoglycemic effect of Eriobotrya japonica (E. japonica) in db/db mice. Korean J. Food & Nutr., 22, 159-165 (2009). 

  15. Kim H.G.: Protective effect of loquat(Eriobotrya japonica) leaves on ethanol-induced liver damage. M.S Thesis. Department of Food Nutrition, Graduate school of chonnam national univerisity Gwangju, Korea. (2013). 

  16. Kim I.D., Kwon R.H., Heo Y.Y., Lee D.G., Lee J.H., Lee S.H., Ha J.M., Ha B.J.: The preventive effects of Paeoniae radix extract against LPS-induced acute hepatotoxicity. J. Food Hyg. Saf., 23, 222-226 (2008). 

  17. Kim Y.S., Park J.Y., Kown Y.B., Lim D.W., Song M.K., Choi H.Y., Kim H.C.: Hepatoprotective effects of Hovenia dulcis extract on acute and chronic liver injuries induced by alcohol and carbon tetrachloride. Kor. J. Herbology., 28, 25-32 (2013). 

  18. Kwon R.H., Na B.J., Woo W.H., Mun Y.J., Lee M.S.: Effect of Houttuynia cordata Thunb and Herbs Mixture extract on the antioxidation in the LPS-induced hepatotoxicity.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1, 1520-1524 (2007). 

  19. Lee H.: A study on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in different parts of the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ethanol extract. M.S. Thesis.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Gwangiu, Korea. (2013). 

  20. Lee S.M., Park S.Y., Seuk J.G., Yung L.S.: Carbon tetrachloride induced acute hepatic injury in mouse. Korean J. Nutr., 41, 701-710 (2008). 

  21. Lim B.L.: Protective effects of fermented Aloe vera on tetrachloride-induced hepatotoxicity in sprague-dawley rats. Kor. J. Microbiol. Biotechnol., 36, 240-245 (2008). 

  22. Lowry O.H., Rosenbrough N.J., Farr A.S., Randall R.J.: Protein measurenment with folin phenol reagent. J. Biol. Chem., 193, 256-261 (1951). 

  23. Park Y.S., Park M.R., Jeon M.H., Hwang H.J., Kang M.S., Kim B.K., Kim S.G., Lee S.H., Kim M.H.: Effect of pine (Pinus densiflora) neddle hot water extract on antioxidant acitivity in rats treated with carbon tetrachloride. J. Life Sci., 21, 604-609 (2011). 

  24. Seong G.S., Chun S.G., Chang C.C.: Hepatoprotective effects of white and red ginseng extracts on acetaminophen-induced hepatotoxicity in mice. J. Ginseng Res., 29, 131-137 (2005). 

  25. Shin J.K., Kim H.Y., Lee, S.M.: Protective effect of gardenia jasminoides against carbon tetrachloride-induced acute hepatotoxicity. Yakhak Hoeji., 54, 55-61 (2010). 

  26. Yun S.H., Kim D.H., Lee S.K., Kim J.H., Young M.S., Kang M.J., Jeon T.W., Jeong T.C.: Hepatoprotective effects of the water extract of Protaetia brevitarisis larva against carbon tetrachloride-induced liver injury in rats. Yakhak Hoeji., 51, 277-284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