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NCS 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 '전자'교과의 마이크로프로세서 교수역량 규명과 상대적 중요도 분석
A Study on Identification and Relative Importance Analysis of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Teaching Competency for Microprocessor Course on NCS-based Curriculum 원문보기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21 no.6, 2018년, pp.1 - 14  

임종현 (한양대학교 글로벌교육협력연구소) ,  안미리 (한양대학교 교육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NCS 기반 교육과정의 전문교과 교사는 더욱 전문화된 교수역량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NCS 기반 교육과정 '전자' 교과의 마이크로프로세서 교육을 위한 교수역량을 규명하고, 역량 간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분석결과는 첫째, NCS 기반 교육과정 '전자' 교과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 교육을 위한 교수역량은 8개의 주요 역량과 22개의 하위 역량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주요역량 간, 각 하위 역량 간 상대적 중요도 조사에서 각각 '소스코드 작성 역량'과 '타겟 시스템 회로도 활용 소스코드 작성 역량'이 최고 순위이다. 본 연구는 전자 교과의 핵심이 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개선 및 교사역량 강화를 제안하며, 직업교육 체계화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또한 교수역량 요소를 통해 교사 역량 개발을 위한 전략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teachers' competency for the NCS-based microprocessor course in the 'electronic,' and analyzed the relative importance among vocational teachers' competencies. Findings were (1) the teaching competencies for the microprocessor course consists of 8 majo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는NCS 기반 교육과정 ‘전자’ 교과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 기술 교육을 위한 교수역량을 규명하고, 역량 간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여 전문교과 교사의 산업현장 직무 중심 교육을 위한 전문성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 또한 해당 교사의 산업현장 직무 체험과 프로젝트 수업실행강화를 포함하도록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NCS 기반 교육과정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 교육 내용과방법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둘째, 마이크로프로세서 교육을 위한 교수역량의 구성 요소를 체계화했다.
  • 본 연구는 NCS 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에서기초·실무과목으로 편성되지 않았으나, ‘전자’ 교과의 절반에 가까운 과목에서 ‘선수지식’으로 명시하고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 교육을 위한 전문교과 교사의 교수역량(8개의 주요 역량과 22개의 하위 역량)을 규명했다.
  • 본 연구는 NCS 기반 교육과정 중 ‘전자’ 교과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 기술 교육을 위한 교수역량을 규명하고자 한다.
  • 이를 바탕으로주요 역량 간 그리고 하위 역량 간 AHP 조사를실시하여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이것은 역량의 우선순위를 규명하여 역량모델의 활용 가능성을 높이고자 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NCS 기반 교육과정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 기술을 선수지식으로 요구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NCS 기반 교육과정 중 ‘전자’ 교과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 기술 교육을 위한 교수역량을 규명하고자 한다. NCS 기반 교육과정에서‘전자’ 교과의 절반에 가까운 실무과목이 임베디드시스템 개발을 교과내용으로 하기 때문에, 그것의 기초가 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기술을 선수지식으로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NCS 기반 교육과정 ‘전자’ 교과의 기초 및 실무과목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 교육을 위한 과목이 편성되어 있지 않다.
교수역량이란? 교수역량(teaching competency)은 교사에게 필수적인 핵심역량 중의 하나로, 교과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교사의 지식, 기능, 태도의 총체이다[28][29]. 특히 역량기반 교육과정에서는 학습자가 해당 교육과정을 이수했을 때, 수행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교육하는 교사의 역량이 더욱 중요하다.
고교 직업교육과정에서 NCS 기반교육과정을 적용한 이유는 우엇인가? 따라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고교 직업교육과정(특성화고, 마이스터고)에 NCS를 도입하였고, 이를 ‘NCS 기반교육과정’이라고 부르며 2018년 신입생부터 적용할 것을 고시했다[6]. 이것은 고교 직업교육과정에대한 교육 체제의 변화로서 학습자가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직무능력을 갖추도록 교육하기 위한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Runhaar, P., Bednall, T., Sanders, K., & Ya ng, H. (2016). Promoting VET teachers' in novative behaviour: exploring the roles of t ask interdependence, learning goal orientati on and occupational self-efficacy.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1-17. doi:10.1080/13636820.2016.1231215 

  2. 나승일 (2015). 능력중심사회로의 항해-국가 직무능력표준(NCS)의 알파와 오메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THE HRD REVIEW, 18(5), 2-6. 

  3. Paaso, A. & Korento, K. (2010). The Comp etence Teacher 2010-2020: The competenc es of teaching satff in upper secondary voc 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Final report. Finnish National Board of Education, Oulu Vocational College. Retrieved from May 01, 2018. http://www.oph.fi/publications/2010/th e_competent_teacher_2010_2020 

  4. 박동열 (2013).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한 역량 교육 추진 실태와 과제. 한국직업 능력개발원, THE HRD REVIEW, 16(3), 52-71. 

  5. 박동열 (2014). 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 직업 교육과정 도입 방향과 과제. 2014 한국직업 교육학회 춘계 학술대회, 51-80. 

  6. 교육부 (2015a). 2015 개정 교육과정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7. 김연경, 송해덕, 전미연, 신안치 (2015). NCS 기반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전문교과 교사의 경력별 역량기반 연수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연구, 32(2), 149-179. 

  8. 이수정, 김인엽 (2015). NCS 기반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교사의 수업역량 강화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이슈페이퍼, 2015-5. 

  9. 이수정 (2016). NCS 기반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전문교과 교사의 수업역량에 대한 교육 요구도 분석. 직업교육연구, 35(2), 1-16. 

  10. 문한나, 김대영, 김지영, 이민욱, 현지훈 (2016). 주요 국가 NCS 제도 관련 정책적 발전 동향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1. 김성남, 김지영, 이민욱, 정향진, 현지훈 (2015).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활용 실태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2. 장명희 (2014). 능력중심사회구축을 위한 NCS 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 개정 및 전문 교과 교원자격.임용.양성체계 개선 방안. 공청회자료집. 교육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3. 김연경, 이수경, 장명희 (2015). 델파이 조사를 통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교육전문가의 역할 및 역량 탐색. HRD연구, 17(3), 47-75. 

  14. 이수정 (2016). NCS 기반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전문교과 교사의 수업역량에 대한 교육 요구도 분석. 직업교육연구, 35(2), 1-16. 

  15. 이영민, 임유화 (2015). 공업계 고교 NCS 기 반 교육과정의 편성 실태와 과제.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1(1), 22-45. 

  16. 한국교육개발원 (역) (2012). 21세기 핵심역량: 이시대가 요구하는 핵심스킬. B. Trilling & C. Fadel의 21st century skills: learning for life in our times. 서울: 학지사. 

  17. 백남진, 온정덕 (2016). 역량 기반 교육과정의 이해와 설계. 서울: 교육아카데미. 

  18. 백남진, 온정덕 (2015). 호주 국가 교육과정에서의 역량 제시 방식 탐구. 교육과정연구, 33(2), 99-128. 

  19. 소경희, 홍원표, 송주현 (2013). 주요국의 핵심역량 중심 교육과정 운영 실태 조사 연구. 발간등록번호 11-1342000-00020-1. 서울: 교육부. Retrieved from May 04, 2018. http://www.prism.go.kr/homepage/theme/retrieveThemeDetail.do;jsessionid6D2D79969162768CB661220AC6C861DF.node02?cond_research_name&cond_organ_id&cond_research_year_start&cond_research_year_end&cond_brm_super_idNB000120061201100027875&res earch_id1342000-201300010&pageIndex8&leftMenuLevel110 

  20. 윤정일, 김민성, 윤순경, 박민정 (2007). 인간 능력으로서의 역량에 대한 고찰: 역량의 특성과 차원. 교육학연구, 45(3), 233-260. 

  21. Stoof, A., Martens, R. L., Van Merrienboer, J. J. G., & Bastiaens, T. J. (2002). The Boundary Approach of Competence: A Constructivist Aid for Understanding and Using the Concept of Competence. Human Resource Development Review, 1(3), 345-365. DOI: 10.1177/1534484302013005. 

  22. 백남진 (2014). 교과 특수 역량에 기반한 성취기준 개발의 방향 탐색: 호주, 캐나다, 싱가포르 사회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2(4), 163-194. 

  23. 홍원표, 곽은희 (2014).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국내 사례 분석: 두 교사의 수업 변화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2(2), 163-186. 

  24. 교육부 (2015b). 2015 개정 교육과정 질의.응답 자료. 세종: 교육과정정책과. 

  25. 교육부 (2015c). 전기.전자 전문 교과 교육 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별책 35]. 

  26. 한국산업인력공단?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6).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CS 학습모듈. Retrieved from May 04, 2018. https://www.ncs.go.kr/index.do 

  27. 김성남 (2015).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 모듈 활용의 주요 이슈와 과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THE HRD REVIW, 18(5), 48-63. 

  28. 백순근 (2004). 중.고등학교에서의 교사평가. 한국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89-117. 

  29. 노혜란, 최미나 (2004).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교수 역량(teaching competency) 모델 개발.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7(2), 1-28. 

  30. Jaakkola, P. & Juntunen, T. (2014). Role and Competences of Vocational Teachers in Finland Built by Vocational Educationa Teacher Training. VET Fourm in Guanzhou 27-28 November 2014. Retrieved from May 04, 2018. https://docplayer.net/11021698-Roles-and-competences-of-vocational-teachers-in-finland-built-by-vocational-education-teacher-training.html 

  31. UNESCO-UNEVOC. (2014). Vocational pedagogy: What it is, why it matters and how to put in into practice. Report of the UNESCO-UNEVOC virtual conference, 12-26 May 2014. International Centre for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UN Campus. Retrieved from May 01, 2018. http://www.unevoc.unesco.org/go.php?qOnline+library&skin&lang&aktid&st&q s5646&unevoc1 

  32. Volmari, K., Helakorpi, S., & Frimodt, R. (Eds) (2009). Competence Framework for VET Professions Handbooks for practioners. European Centre for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Training, Finnish National Board of Education. Retrieved from May 01, 2018. http://www.cedefop.europa.eu/files/111332_Competence_framework_for_VET_professi ons.pdf 

  33. Guthrie, H. (2010).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he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workforce: NCVER(National Centre for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Retrieved from May 01, 2018. http://files.eric.ed.gov/fulltext/ED511678.pdf 

  34. Schwendimann, B. A., Cattaneo, A. A. P., Dehler Zufferey, J., Gurtner, J.-L., Betranco urt, M., & Dillenbourg, P. (2015). The 'Erfahrraum': a pedagogical model for designing educational technologies in dual vocational systems.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67(3), 367-396. doi:10.1080/136 36820.2015.1061041 

  35. Finnish National Board of Education. (2010).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 Fi nland: Vocational competence, knowledge and skills for working life and further studies. Ministry of Education and Culture. Retrieved from May 01, 2018. http://www.oph.fi/download/131431_vocational_education_and_training_in_finland.pdf 

  36. 김영욱, 전주성 (2016).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대한 직업전문학교 훈련교사의 인식. 한국교육문제연구, 34(1), 135-153. 

  37. 장명희, 전승환, 정동열 (2014). NCS 기반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중등직업교육 교원의 양성,임용,연수 개선 요구분석. 직업교육연구, 33(6), 159-182. 

  38. 임종현, 안미리 (2016). NCS 기반 고교 직업 교육과정 학습모듈에 대한 대안적 탐색. 2016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하계 학술대회 학술 발표논문집, 20(2), 149-152. 

  39. 최동선, 정향진, 이민욱, 문한나, 추연우, 현지훈 (2014).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활용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40. 이병욱, 안재영, 강철민 (2014). 공업계 특성 화고.마이스터고에서의 NCS 기반 직업교육 과정의 효과적인 적용에 대한 전문교과 교원의 인식 및 분석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0(2), 111-119. 

  41. 임종현, 장병철, 안미리 (2018). NCS 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 '전자' 교과 교사의 교수역량 탐색.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2(1), 103-106. 

  42. 문정호, 박래정 (2011). 실습에 기반한 임베 디드 소프트웨어 설계 교육.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1(5), 581-587. 

  43. 김희봉, 송영수 (2013). 국내 대기업 조직구 성원의 팔로워십 역량 도출 및 역량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 HRD연구, 15(3), 29-5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