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마이크로칼럼에서 변형된 4중극 디플렉터와 8중극 디플렉터의 스캔 영역 비교
Study on the Scan Field of Modified Octupole and Quadrupole Deflector in a Microcolum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11, 2018년, pp.1 - 7  

김영철 (을지대학교 안경광학과) ,  김호섭 (선문대학교 정보디스플레이학과) ,  안승준 (선문대학교 정보디스플레이학과) ,  오태식 (선문대학교 정보디스플레이학과) ,  김대욱 (선문대학교 정보디스플레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마이크로칼럼에서는 전자빔을 스캔하기 위해 초소형화된 정전디플렉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주로 두 개의 8중극 디플렉터(double octupole deflector)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스캔 영역을 넓게 하면서도 전자빔이 대물렌즈를 통과할 때에 광축 근처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수차를 작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마이크로칼럼은 최종적으로는 멀티 칼럼 형태로 사용하여 전자빔 장비의 throughput을 높이고자 하는 목적으로 연구가 되고 있는데, 칼럼의 수가 많아지게 되면 각 부품에 연결되는 배선의 수도 함께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정전렌즈, 디플렉터 등의 마이크로칼럼 부품 배선을 진공 챔버 밖에 있는 제어장비와 연결하는 과정에서 실질적인 문제에 봉착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완화하기 위하여 렌즈 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대물렌즈를 제거한 마이크로칼럼 구조를 선택하여, 변형된 4중극 및 8중극 디플렉터의 동작을 전산모사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기본적으로 MEMS 공정을 적용하기 용이한 실리콘 디플렉터 구조에서 각 전극의 크기를 동일하게 하지 않고, 서로 다른 크기의 전극을 교대로 배치하도록 디자인하였다. 8중극과 4중극 디플렉터 각각에서 디플렉터 전압을 인가하는 구동전극의 크기에 변화를 주었을 때 스캔 영역과 디플렉터 중심점에서의 전기장의 변화를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스캔 영역은 디플렉터전압에 따라 선형적으로 비례하였다. 스캔영역과 중심점에서의 전기장 세기 모두 8중극 디플렉터에 비해 4중극 디플렉터에서 더 크게 나타났으며, 전극의 크기에 따라 약 1.3 ~ 2.0 배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a microcolumn, a miniaturized electrostatic deflector is often adopted to scan an electron beam. Usually, a double octupole deflector is used because it can avoid excessive spherical aberrations by controlling the electron beam path close to the optical axis of the objective lens and has a wide s...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MEMS 공정을 활용하면 마스크 패턴 디자인에 따라 실리콘으로 다양한 형태의 디플렉터를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는 참고문헌[8]에서 제시한 마이크로칼럼 구조를 기본으로 하여, 변형을 한 8중극 및 4중극 디플렉터(quadrupole deflector)를 적용한 마이크로칼럼의 스캔영역에 대한 조사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5. The variation of (a) electric potential and (b) electric field strength with the radial distance from the center to the deflector electrode. Deflection voltage is 100 V.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배선의 수를 줄이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기본적으로 이러한 부품들은 모두 전기적 신호에 의해 제어되므로 각 부품의 전극에는 전기적 제어장치와 연결되는 배선이 배치되어야만 한다. 병렬로 배치된 다수의 마이크로칼럼을 동시에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배선의 숫자도 함께 증가되어야 한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진공 내의 마이크로칼럼에서 외부의 제어장치에 연결할 수 있는 배선의 수는 feedthrough의 구조에 의해 제한을 받을 수밖에 없다. 8중극 디플렉터(octupole deflector)를 사용할 경우 하나의 마이크로칼럼에 8개의 배선이 연결되어야 하며, N 개의 마이크로칼럼을 구동하기 위해서는 8N 개의 배선이 제어장치에 연결되어야 한다.
마이크로칼럼은 무엇인가? 마이크로칼럼은 높이와 직경이 각각 2 cm 이하로 초소형화된 전자칼럼으로, 여러 개의 마이크로칼럼을 병렬로 사용할 수 있어서 MAPPER 등의 multi-beam system과 함께 전자빔 장비의 throughput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 중의 하나로 연구되어 왔다[1-3]. 마이크로 칼럼을 형성하는 주요 부품들은 초소형 전자방출원, 소스렌즈(source lens), 아인즐렌즈(Einzel lens), 디플렉터 등이다.
마이크로 칼럼을 형성하는 주요 부품들에는 무엇이 있는가? 마이크로칼럼은 높이와 직경이 각각 2 cm 이하로 초소형화된 전자칼럼으로, 여러 개의 마이크로칼럼을 병렬로 사용할 수 있어서 MAPPER 등의 multi-beam system과 함께 전자빔 장비의 throughput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 중의 하나로 연구되어 왔다[1-3]. 마이크로 칼럼을 형성하는 주요 부품들은 초소형 전자방출원, 소스렌즈(source lens), 아인즐렌즈(Einzel lens), 디플렉터 등이다. 전자방출원은 다양한 재질의 전계방출원, 열전계방출원 등이 사용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E. Kratschmer, H. S. Kim, M. G. R. Thomson, K. Y. Lee, S. A. Rishton, M. L. Yu, S. Zolgharnain, B. W. Hussey, T. H. P. Chang, "Experimental evaluation of a 20 $\times$ 20 mm footprint microcolumn", Journal of Vacuum Science & Technology B, Vol.14, No.6, pp.3792-3796, 1996. DOI: https://dx.doi.org/10.1116/1.588669 

  2. T. H. P. Chang, M. G. R. Thomson, E. Kratschmer, H. S. Kim, M. L. Yu, K. Y. Lee, S. A. Rishton, B. W. Hussey, S. Zolgharnain, "Electron-beam microcolumns for lithography and related applications", Journal of Vacuum Science & Technology B, Vol.14, No.6, pp.3774-3781, 1996. DOI: https://dx.doi.org/10.1116/1.588666 

  3. A. C. Zonnevylle, C. Th. H. Heerkens, C. W. Hagen, P, Kruit, "Multi-electron-beam deflector array", Microelectronic Engineering, Vol.123, pp.140-148, 2014. DOI: https://dx.doi.org/10.1016/j.mee.2014.06.014 

  4. Z. Liu, J. Ximen, "A study of miniaturized electrostatic octupole deflectors", Nuclear Instruments and Methods in Physics Research Section A: Accelerators, Spectrometers, Detectors and Associated Equipment, Vol.363, No.1-2, pp.225-231, 1995. DOI: https://dx.doi.org/10.1016/0168-9002(95)00156-5 

  5. C. Stebler, T. Pfeffer, U. Staufer, N. F. de Rooij, "Microfabricated double layer octupoles for microcolumn applications", Microelectronic Engineering, Vol.46, No.1-4, pp.401-404, 1999. DOI: https://dx.doi.org/10.1016/S0167-9317(99)00118-5 

  6. H. Kim, C. Han, K. Chun, "The Novel Deflector for Multi Arrayed Microcolumn Using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MEMS) Technology", Japanese Journal of Applied Physics, Vol.42, Part 1, No.6B, pp.4084-4088, 2003. DOI: https://dx.doi.org/10.1143/JJAP.42.4084 

  7. T. S. Oh, D. W. Kim, S. Ahn, H. S. Kim, "Improved design of 5 nm class electron optical microcolumn for manufacturing convenience and its characteristics", Journal of Vacuum Science & Technology A, Vol.31, No.6, Article ID 061601, pp.1-6, 2013. DOI: https://dx.doi.org/10.1116/1.4815953 

  8. T. S. Oh, H. S. Kim, S. Ahn, D. W. Kim, "Design of an ultra-miniaturized electron optical microcolumn with sub-5 nm very high resolution", Ultramicroscopy, Vol.136, pp.171-175, 2014. DOI: https://dx.doi.org/10.1016/j.ultramic.2013.10.003 

  9. H. S. Gross, F. E. Prins, D. P. Kern, "Fabrication and characterisation of an array of miniaturized electrostatic multipoles", Microelectronic Engineering, Vol.41-42, pp.489-492, 1998. DOI: https://dx.doi.org/10.1016/S0167-9317(98)00114-2 

  10. L. P. Muray, K. Y. Lee, J. P. Spallas, M. Mankos, Y. Hsu, M. R. Gmur, H. S. Gross, C. B. Stebler, T. H. P. Chang, "Experimental evaluation of arrayed microcolumn lithography", Microelectronic Engineering, Vol.53, No.1-4, pp.271-277, 2000. DOI: https://dx.doi.org/10.1016/S0167-9317(00)00313-0 

  11. T. H. P. Chang, M. Mankos, K. Y. Lee, L. P. Muray, "Multiple electron-beam lithography.", Microelectronic Engineering, Vol.57-58, pp.117-135, 2001. DOI: https://dx.doi.org/10.1016/S0167-9317(01)00528-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