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활용 교육이 노인들의 자기 효능감, 행복감,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martphone Education on the Quality of Life, Self-efficacy, Well-being for the Elderly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9 no.5, 2019년, pp.165 - 171  

서상민 (세명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교육이 그들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일대일 교육 방식을 적용한 스마트폰 교육의 긍정적인 요소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수행 기간은 2018년 5월 14일~6월 11일 까지로 총 5주간 일주일에 1번, 1시간 30분 동안 진행하였고, 노인 1명과 봉사자 1명으로 구성하여 일대일 멘토링 형식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스마트폰 교육을 통해 노인들의 자기 효능감이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행복감과 삶의 질에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를 통해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사회에서 노인들을 긍정적인 삶의 유지를 위해 정보화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노인들의 보다 나은 삶을 위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smartphone education affects their lives and the positive factors of smartphone education applied with one-on-one education system for elderly.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a total of five weeks from May 14 to June 11, 2018, and consisted o...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보화 교육들에 대해 노인들의 욕구는 높게 나타났으나[11], 대부분의 교육들이 일대일 교육방식이 아닌 그룹 방식으로 진행되어 노인 개개인의 욕구와 수준을 충족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평가 받아왔다[14, 17]. 따라서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교육이 그들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집단으로 교육하였던 선행연구와 달리 일대일 교육방식을 적용하여 노인들의 스마트폰 교육의 긍정적인 요소를 알아보았다.
  •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교육 프로그램이 그들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집단으로 교육하였던 선행연구와 달리 일대일 교육 형식의 방법을 적용하여 노인들의 스마트폰 교육의 긍정적인 요소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스마트폰 교육을 통해 노인들의 자기 효능감이 증가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스마트폰 교육프로그램이 노인들의 자기 효능감, 행복감,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65세 이상 노인 10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고, 교육프로그램은 노인의 개인 수준에 맞춰 스마트폰 조작의 기초지식을 활용하기 쉽게 구성하여 5회차로 진행되었다.
  • 본 연구는 제천시에 거주하고 제천시 노인종합복지관에서 한글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는 의사소통에 문제가 없고, 스마트폰에 있는 글씨를 읽을 수 있는 65세 이상 노인 10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폰 이용률에 대해 한국인터넷진흥원[5]의 보고서와 Hwang[9]등의 연구에서 나타난 특징은 무엇인가? 노인들의 스마트폰의 활용에 대한 선행연구를 보면, Kim, Lee 그리고 Seo[8] 등은 노인들은 컴퓨터 및 인터넷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사용에 있어서 이용률이 낮고, 낮은 정보 습득에 있어서 다른 연령층에 비해 낮은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이와 비슷한 연구결과로는 한국인터넷진흥원[5]의 보고서와 Hwang[9]등의 연구가 있는데, 65세 이상의 노인 중과반수 이상이 스마트폰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폰을 사용함에 있어서 활용 방법을 잘 모른다고 언급하였고, 그 중에서도 특히, 여성, 저학력, 저소득 노인일수록 스마트폰의 활용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한국정보화진흥원[6]의 보고서에 따르면 스마트폰을 활용한 정보화 수준이 저 연령층은 69.
자기 효능감 척도의 구성은 어떻게 되는가? Sherer, Maddux, Mercandante, Prentice-Dunn, Jacobs and Rogers [18]등이 개발한 자기 효능감 척도 (Self-Efficacy Scale)를 국내에서 Hong [19]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기 효능감 척도는 총 23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적인 상황에서의 자기효능감을 측정하는 '일반적 자기 효능감'을 측정하는 17문항과, 대인 관련 사회적 기술 등의 요소와 관련이 있는 '사회적 자기 효능감' 을 측정하는 6문항이 있다. 각각의 항목의 신뢰도 계수 (cronbach's alpha)는 일반적 자기효능감은 .
기대 수명의 연장이 다양한 사회적문제를 가져오는 대표적인 예는 무엇인가? 이러한 기대 수명의 연장은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가져온다. 가족 구성원의 구성 변화, 역할 상실, 부양 문제, 소통의 단절 등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2, 3]. 이 중 소통의 단절은 노인들에게 사회 심리적 고립과 소외감 주어, 노인들의 삶을 더욱 더 고독하게 만들고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National Statistical Portal (2017). Census of the Population Seoul: Statistics Korea. 

  2. W. S. Kang, M. S. Kim & J. U. Ko. (2013). Effects of the Smartphone Information Use and Performance o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3(1), 199-214. 

  3. M. Y. Kim. (2018). The Effects of Smartphone Use on Spouse Relationship Satisfaction, Children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with Social Acquaintance Relationship Among Older Adul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9(3), 219-228. 

  4. M. Y. Kim & H. J. Jun. (2017). The Effects of Smartphone Use on Life Satisfaction in Older Adults : The Mediating Role of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72(3), 343-370. 

  5. Survey on Mobile Internet Usage of Mobile Internet (2016).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6. A Survey on the Digital Difference of the Elderly in Korea Seoul (2012).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7. Y. J. Kim & J. M. Jung. (2006). Older and Media : The use of media and welfare for the elderly, Korea Press Foundation, Seoul. 

  8. H. S. Kim, M. S. Lee & J. W. Seo. (2015). An Analysis of the Middle-aged Adults'Mobile Information Behavior Focused on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9(2), 335-353. 

  9. S. H. Hwang, H. J. Lee, E. H. Ha, S. H. Kim, G. K. Jung & H. J. Choi. (2017). The Effects of Use of Smartphone and Cognitive Function on Depression, and Loneliness of Life in Elders.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11(1), 9-19. 

  10. H. J. Keum & J. H. Cho. (2010). Smartphone, Communication Gap, and Political Participation : The Moderating Role of Smartphone Use in the Effects of Social Media on Participation.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54(5), 348-371. 

  11. Y. J. Shin & M. J. Koo. (2010). An Explorative Study on Computer Education for the Elderly and Their Life Satisfaction. Andragogy Today: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13(4), 119-147. 

  12. H. K. Hwang. (2010). Digital Divide, A Phenomenon of Digital Divide in the Mobile Area. A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13. M. J. Kwak, S. E. Roh & Y. G. Kwak. (2017). The Effect of Informatization Education Satisfaction of Elderly Welfare Center on Elderly Information Usage and Life Satisfaction.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7(3), 486-495. 

  14. J. W. Shin & J. S. Kwon. (2017). An Evaluative Study on Communication Enhancement Program through Social Network Service of Older Adults in the Community.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58, 151-179. 

  15. M. W. Wang. (2017). The Study of Teaching the Smartphone Using in Taiwan's Elderly Population-A Case Study in Learners of the Senior Citizens Academy in a City of Taiwa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uman Aspects of IT for the Aged Population. (pp. 477-485). 

  16.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and Support of Content in the Vulnerable Classes. (2002).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17. K. O. Rhee, M. J. Kee & J. Y. Lee. (2006). A Study on Satisfaction with the Mobile Phone Education Program for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6(4), 733-748. 

  18. M. Sherer, J. E. Maddux, B. Mercandante, S. Prentice-Dunn, B. Jacobs & R. W. Rogers.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2), 663-671. 

  19. H. Y. Hong. (1995). The Relationships of Perfectionism, Self-efficacy. A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 E. K. Seo & J. S. Koo. (2011). A concise measure of subjective well-being(COMOSWB):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Korean Journal of Society and Personality Psychology, 25(1), 96-114. 

  21. J. Y. Kim & K. H. Bang. (2010). A Design of the Education Tool for an Efficient Smartphone Utilization. Journal of the Korea Multimedia Association Workshop Presentation File, 511-51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