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기술자격제도의 혁신이 기업의 고용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과정평가형 자격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ystem Innovation on Companies' Decision on Employment: Focused on Course-base Qualificatio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11, 2018년, pp.278 - 286  

장석근 (한국산업인력공단) ,  봉강호 (건국대학교 기술경영학과) ,  박재민 (건국대학교 기술경영학과)

초록

기존 검정형 자격제도가 산업의 숙련수요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여 노동시장에서 효용성이 낮게 나타나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최근 검정형 자격을 보완 차별화한 혁신형 국가기술자격제도로써 과정평가형 자격제도가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정평가형 자격취득자를 채용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자료를 분석하여 국가기술자격제도의 혁신이 기업의 고용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기업의 숙련수요 반영정도는 전체 고용결정에 있어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과거 기술부족으로 인한 손실발생 경험이 있는 경우 지속고용 및 고용확대를 결정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업이 우수한 인력을 고용하고자 하는 것은 모든 기업의 공통적인 희망사항임에도 그간 중소기업들은 우수한 인력을 선별하는 수단이 부족했을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결과적으로 자격제도의 기업숙련수요 반영정도가 높아질수록 자격 취득자의 지속고용 및 고용확대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고, 국가기술자격제도를 산업체의 구체적인 기술숙련 수요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설계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한다고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xisting test-based qualification system does not sufficiently reflect the demand for skills in industries and there exist concerns regarding its efficacy. In response, an innovativ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ystem, which uses a course-based qualification system, has been introduced to s...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통해 본래 자격 본연의 기능인 일종의 ‘신호(signal)’ 기제로써 인적자본의 숙련도를 효과적으로 나타내고, 인력개발을 지원하며 기업의 숙련수요를 충족시키고자 한다. 본 연구는 과정평가형 자격취득자를 채용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자료를 분석하여 이와 같은 과정평가형 자격제도가 이런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지를 기업의 고용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판단해 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기존의 검정형 자격이 산업의 숙련수요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여 노동시장에서 효용성이 낮게 나타나고 있다는 우려로부터 착안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인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 제도는 기존 이론중심 평가에서 탈피하여 현장실무 중심의 교육·훈련·평가를 그 목표로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과정평가형 자격을 중심으로 국가기술 자격제도의 혁신이 기업의 고용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그간 우리나라 국가기술자격 제도에 대한 연구는 주로 검정형 자격 제도의 운영 및노동시장 성과에 대한 것이었으며, 과정평가형 자격제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 본 연구의 대상인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 제도는 기존 이론중심 평가에서 탈피하여 현장실무 중심의 교육·훈련·평가를 그 목표로 한다.
  • 이를 통해 본래 자격 본연의 기능인 일종의 ‘신호(signal)’ 기제로써 인적자본의 숙련도를 효과적으로 나타내고, 인력개발을 지원하며 기업의 숙련수요를 충족시키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과정평가형 자격취득자를 고용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실무적·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다시 말해, 일자리가 기업에 의해 창출된다는 점에서 기업의 고용결정에 초점을 둔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정평가형 자격취득자를 고용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하여, 자격제도의 관점에서 어떠한 요인이 이들의 고용결정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논문에서 말하는 자격의 의미는 무엇인가? 최근 청년층은 더 좋은 일자리 찾기, 재직자는 지속적인 경력개발, 여성은 경제활동 참여, 중년층은 은퇴시기 연장에 대한 고민이 커지고 있고, 정부 및 공공기관의 블라인드 채용 확산 등으로 자격취득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자격이란 일정한 기준과 절차에 따라 평가·인정된 지식이나 기술의 습득정도로서 직무수행에 필요한 능력(「자격기본법」 제2조)을 말하는데, 이는 노동시장에서 교육·훈련제도와 함께 개인의 직무수행능력을 객관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 수단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국가기술자격제도는 1974년부터 시행되었으며, 기술·기능 및 서비스 분야에서 개인의 직무수행 능력을 평가하는 제도이다.
기존의 자격제도가 노동시장에서 효용성이 낮게 나타나는 원인은? 그러나 실제로는 전기, 건설, 환경, 산업 안전 등 일부 면허형 분야의 국가기술자격을 제외하면 최근 노동시장에서 임금, 채용 등 효용성이 전반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6]. 이처럼 기존의 자격제도가 노동시장에서 효용성이 낮게 나타나는 것은 검정형 자격이 산업의 숙련수요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음을 그 원인으로 추측해볼 수 있다[7]. 그간 검정형 자격 제도에 관하여는 산업현장 기술변화 내용을 신속하게 출제기준 등에 반영하기 어려운 법령 및 운영체계상의 문제와, 단기간에 다수의 인력을 일괄 평가하는 효율성 중심의 운영방향에 대한 지적이 끊임없이 제기되어 왔다.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 제도의 도입을 통해 기대하는 것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대상인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 제도는 기존 이론중심 평가 에서 탈피하여 현장실무 중심의 교육·훈련·평가를 그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본래 자격 본연의 기능인 일종의 ‘신호(signal)’ 기제로써 인적자본의 숙련도를 효과적으로 나타내고, 인력개발을 지원하며 기업의 숙련수요를 충족시키고자 한다. 본 연구는 과정평가형 자격취득자를 채용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자료를 분석하여 이와 같은 과정평가형 자격제도가 이런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지를 기업의 고용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판단해 보고자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 B. Frey, M. A. Osborne, "The Future of Employment: How Susceptible are Jobs to Computerisation?",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Vol.114, pp. 254-280, Jan., 2017. DOI: https://doi.org/10.1016/j.techfore.2016.08.019 

  2. UK Commision for Employment and Skills(UKCES), The Futures of Work: Jobs and Skills in 2030, pp. 1-198, UKCES, 2014. Available From: https://www.gov.uk/government/publications/jobs-and-skills-in-2030. 

  3. J. Park, M. J. Um, "An Analysis of Skill Shortage Vacancies in Korean Manufacturing Sectors: Based on the Technology Workforce Demand Survey",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 Vol.21, No.2, pp. 671-690, Apr., 2008. 

  4. S. Kim, J. Park, "An Empirical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Technology Workforce Shortages in Korean SMEs", The Korean Small Business Review, Vol.31, No.3, pp. 113-130, Sep., 2009. 

  5.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MOEL), Korea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KCCI), "A Survey on Corporate Employment Behavior", MOEL, 2016, Available From: http://www.moel.go.kr/news/enews/report/enewsView.do?news_seq6932.(accessed Aug., 2018) 

  6.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HRD Korea), A Report on the Efficiency Evaluation of National Technology Qualification in 2017, Ulsan : HRD Korea. 

  7. S. B. Won, S. J. Kang, "A Study on Correlations of Job Competence and Job Fitness with Functions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in Mechanical Field",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1, No.12, pp. 4707-4714, Dec., 2010.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0.11.12.4707 

  8. G. Becker, Human Capital: A Theoretical and Empirical Analysis, With Special Reference to Education, Chicago :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4. 

  9. E. N. Wolff, "Human Capital Investment and Economic Growth: Exploring the Cross-country Evidence", Structural Change and Economic Dynamics, Vol.11, No.4, pp. 433-472, 2000. DOI: https://doi.org/10.1016/S0954-349X(00)00030-8 

  10. P. M. Romer, "Increasing Returns and Long-Run Growth",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94, No.5, pp. 1002-1037, 1986. DOI: https://doi.org/10.1086/261420 

  11. J. H. Kim, The Economics of Innovation. 4th ed., Seoul : Sigmapress, 2011. 

  12. B. Piazza-Georgi, "The Role of Human and Social Capital in Growth: Extending Our Understanding", Cambridge Journal of Economics, Vol.26, No.4, pp. 461-479, 2002. DOI: https://doi.org/10.1093/cje/26.4.461 

  13. W. M. Cohen, D. A. Levinthal, "Absorptive Capacity: A New Perspective on Learning and Innovatio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35, No.1, pp. 128-152, Mar., 1990. DOI: http://doi.org/10.2307/2393553 

  14. M. A. Schilling, Strategic Managemen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5th ed., New York: McGraw-Hill Education, 2016. 

  15. J. Barney, "Firm Resources and Sustained Competitive Advantage", Journal of Management, Vol.17, No.1, pp. 99-120, Mar., 1991. DOI: https://doi.org/10.1177/014920639101700108 

  16. K. H. Bong, J. Park, J. Y. Kim, "A Study on the Effect of Technology Collaboration on Innovation Performance of SMEs: From the Views of Resource-based Theory",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6, No.3, pp. 98-127, Aug., 2018. 

  17. G. Wallis, "The Effect of Skill Shortages on Unemployment and Real Wage Growth: A Simultaneous Equation Approach", Royal Economic Society Annual Conference 2003, No.217, Royal Economic Society, 2003. Available From: http://repec.org/res2003/Wallis.pdf 

  18. S. H. Kang, "Cross-National Typology of Qualification System by State Intervention and Social Consultation", Korean Journal of Labor Studies, Vol.18, No.2, pp. 213-242, Dec., 2012. 

  19.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MOEL),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HRD Korea),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tatistical Yearbook 2017, Ulsan : HRD Korea. 

  20. M. K. Lee, "Actual Conditions of Professional Qualification Possessor and Effects of Professional Qualification on Employment and Wage",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Vol.15, No.3, pp. 131-149, Sep., 2008. 

  21. G. S. Kim, "The Labor Market Returns to the Professional Engineer Qualification in Korea",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Vol.16, No.4, pp. 29-46, Dec., 2009. 

  22. Y. M. Lee, H. S. Lee, "Analyzing the Impacts of Employees' Acquisition and Retention of Vocational Certification on Employment, Wag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Medium-Sized Corporations",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Vol.15, No.3, pp. 27-45, Jun., 2011. 

  23. A. K. Kim, S. H. Kang, "The Factors of the Acquisition of Qualifications and the Employment and Wage Effects of the Acquisition of Qualifications", Korean Journal of Labor Economics, Vol.27, No.1, pp. 1-25, Apr., 2004. 

  24. Y. H. Lee, H. J. Kwon, "The Effect of Occupational Certification on the Labor Market of the Graduate Youth",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Vol.28, No.4, pp. 95-111., Dec., 2009. 

  25. A. C. Cameron, P. K. Trivedi, Microeconometrics Using Stata, Revised Edition, College Station: Stata Press, 2010. 

  26. S. Oh, S. Jung, J. Park, "The Effect of the Shortage of Industrial Technology Workforce on a Corporation's Performance", Productivity Review, Vol.30, No.1, pp. 53-73, Mar.,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