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자체 기후변화 적응 거버넌스 구축 방안 : 이해관계자 참여를 중심으로 원문보기

전원과 자원 = Rural resource, v.60 no.4, 2018년, pp.80 - 87  

윤영석 (경희대학교) ,  윤지웅 (경희대학교) ,  김영오 (서울대학교)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의사결정 거버넌스 내 이해관계자들의 자발적 동의와 포섭을 통해 지식과 재화가 원활하게 교류되고 관련 기술의 확산에 기여할 수 있다는 인식은 기존의 정부 주도의 의사결정 체계의 전환을 요구하게 되었다. 그러나 국내의 많은 사례들이 형식적인 수준에서의 참여를 답보하고 있어, 본고에서는 보다 실질적인 수준에서의 이해관계자의 참여를 이행할 수 있도록 지역의 적응 거버넌스 구축방안을 살펴보았다. 본고에서 제시하는 이해관계자의 정의, 참여기제의 수립, 숙의과정의 체계화 방안은 참여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도 구체적인 실현 방안에 대한 논의가 그간 부족했다는 점을 보완하고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 요약컨대 기후변화 적응에 있어서 정부가 주도하는 하향식 의사결정의 한계를 보완하고 지역의 특성을 강조하는 거버넌스의 요구가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해관계자에 대한 보다 폭넓은 정의에 기초하여 지역사회의 실정에 맞는 이해관계자의 유형과 역할을 구분하고 의사결정에 이들의 참여를 보장하는 기제를 활용하도록 지역의 적응 거버넌스 구축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의사결정의 공식적 기제로서 합의회의(consensusconference)와 협의회(council)는 이해관계자에게 권한을 분산시켜 다양한 관점을 반영시키는데이점이 있다. 합의회의는 쟁점사안에 대해 전문가와 일반시민이 토론을 통해 정보와 지식의 격차를 좁혀 이해를 증진시키고 궁극적으로 합의를 형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협의회의 경우 광범위한 이해관계자의 참여를 공식화함으로써 권한의 이양정도가 가장 높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경관리 정책에게 요구되는 것은? 국제사회의 감축 합의에도 불구하고 이행 노력이 구속력을 가지지 못하는 상황에서 중장기적인 완화 노력과 더불어 위험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적응의 논의가 활발해진 것이다. 생태계 및 경제사회 전반에 걸쳐 뚜렷하게 나타나는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그간의 관행적 환경관리 정책은 적극적인 위험의 경감과 사회의 회복력(resilience) 제고를 위한 정책으로의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의사결정 과정에서 이해관계자의 참여 수준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이유는? 다음으로 의사결정 과정에서 이해관계자의 참여 수준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적절한 참여기제를 확보하는 것은 결정과정의 합리성 증진은 물론 결정사안의 대표성과 정당성을 확보하는데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참여의 수준과 방식에 관한Arnstein(1969)의 선도적인 연구 이래로 그간 많은 연구들의 결과를 종합하면, 정보의 제공 및 활용방식과 의사결정 권한의 배분수준에 근거할 때 이해관계자의 참여 수준은 5가지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대학과 연구기관의 역할도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기업 및 유관기관은 적응에 필요한 서비스의 제공, 투자, 관리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높은 영향력을 가지지만 이해관계의 수준은 낮은 편이다(Context Setters). 여기에 상충적인 이해관계의 조정은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정보에 기반하여 가장 합리적으로 이뤄질 수 있으므로 대학과 연구기관의 역할도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dger, W. N., Agrawala, S., Mirza, M. M. Q., Conde, C., o'Brien, K., Pulhin, J., ... & Takahashi, K. (2007). Assessment of adaptation practices, options, constraints and capacity. Climate change, 717-743. 

  2. Aslin, H. J., & Blackstock, K. L. (2010). Now i' m not an expert in anything: Challenges in undertaking transdisciplinary inquiries across the social and biophysical sciences. Tackling wicked problems through the transdisciplinary imagination, 117-129. 

  3. Bauer, A., Feichtinger, J., & Steurer, R. (2012). The governance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in 10 OECD countries: challenges and approaches.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Planning, 14(3), 279-304. 

  4. Bloomfield, D., Collins, K., Fry, C., & Munton, R. (2001). Deliberation and inclusion: vehicles for increasing trust in UK public governance?. Environment and planning C: Government and Policy, 19(4), 501-513. 

  5. Cloutier, G., Joerin, F., Dubois, C., Labarthe, M., Legay, C., & Viens, D. (2015). Planning adaptation based on local actors' knowledge and participation: A climate governance experiment. Climate Policy, 15(4), 458-474. 

  6. Corfee-Morlot, J., Cochran, I., Hallegatte, S., & Teasdale, P. J. (2011). Multilevel risk governance and urban adaptation policy. Climatic change, 104(1), 169-197. 

  7. Ebi, K . L ., & Semenza, J . C. (2008). Community-based adaptation to the health impacts of climate change.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35(5), 501-507. 

  8. Few, R., Brown, K., & Tompkins, E. L. (2007). Public participation and climate change adaptation: avoiding the illusion of inclusion. Climate policy, 7(1), 46-59. 

  9. Freeman, R. E. (1984). Strategic management: A stakeholder perspective. Boston: Pitman, 13. 

  10. Glicken, J. (2000). Getting stakeholder participation 'right': a discussion of participatory processes and possible pitfalls. Environmental Science & Policy, 3(6), 305-310. 

  11. Glucker, A. N., Driessen, P. P., Kolhoff, A., & Runhaar, H. A. (2013). Public participation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why, who and how?.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view, 43, 104-111. 

  12. Gough, C., & Shackley, S. (2001). The respectable politics of climate change: the epistemic communities and NGOs. International Affairs, 77(2), 329-346. 

  13. Leary, N., Adejuwon, J., Barros, V., Batima, P., Biagini, B., Burton, I., ... & Dougherty, B. (2012). A stitch in time: General lessons from specific cases. In Climate change and adaptation (pp. 15-41). Routledge. 

  14. Lim, B., Spanger-Siegfried, E., Burton, I., Malone, E., & Huq, S. (2005). Adaptation policy frameworks for climate change: developing strategies, policies and measures. 

  15. Luyet, V., Schlaepfer, R., Parlange, M. B., & Buttler, A. (2012). A framework to implement stakeholder participation in environmental project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111, 213-219. 

  16. Measham, T. G., Preston, B. L., Smith, T. F., Brooke, C., Gorddard, R., Withycombe, G., & Morrison, C. (2011). Adapting to climate change through local municipal planning: barriers and challenges. Mitigation and adaptation strategies for global change, 16(8), 889-909. 

  17. Mostert, E. (2003). The challenge of public participation. Water policy, 5(2), 179-197. 

  18. Mostert, E., Craps, M., & Pahl-Wostl, C. (2008). Social learning: the key to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Water International, 33(3), 293-304. 

  19. Mouffe, C. (1999). Deliberative democracy or agonistic pluralism? Social Research, 66, 745-758. 

  20. OECD. (2015). Stakeholder engagement for inclusive water governance. IWA Publishing. 

  21. O'Neill, J. (2001). Representing people, representing nature, representing the world. Environment and Planning C: Government and Policy, 19(4), 483-500. 

  22. Reed, M. S. (2008). Stakeholder participation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a literature review. Biological conservation, 141(10), 2417-2431. 

  23. Solomon, S., Plattner, G. K., Knutti, R., & Friedlingstein, P. (2009). Irreversible climate change due to carbon dioxide emission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6(6), 1704-1709. 

  24. Urwin, K., & Jordan, A. (2008). Does public policy support or undermine climate change adaptation? Exploring policy interplay across different scales of governance. Global environmental change, 18(1), 180-191. 

  25. Vroom, V. H. (2003). Educating managers for decision making and leadership. Management decision, 41(10), 968-978. 

  26. 고재경, 이우평. (2015). 지역의 기후변화 적응 거버넌스 연구. 경기연구원 기본연구 2015-07. 

  27. 김병민, 윤지웅, 이은선, 김영오. (2016).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수자원 거버넌스와 성공적 시민참여 요인에 관한 논의. 물과 미래. 49(3). 50-57 

  28. 명수정, 심창섭, 정휘철, 황선훈. (2013). 기후변화 적응정책 이행의 효과성 제고 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9. 윤지웅, 윤영석, & 김병민. (2017). 기후변화 적응정책 평가모형의 탐색적 적용: 광역자치단체 기후변화 적응계획의 적응행동 전달 평가. 사회과학연구, 43(2), 23-50. 

  30. 임영신. (2016). 지자체 기후변화 적응대책 실효성 및 적응능력 강화 지원.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