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 지역 빈집 발생의 영향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Occurrence of Rural Vacant Houses 원문보기

지적과 국토정보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v.48 no.2, 2018년, pp.65 - 77  

김성록 (공주대학교 지역개발학부) ,  김두순 (충청남도농촌활성화지원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빈집 연구에 있어 발생 영향 요인 파악은 매우 중요하다. 연구의 목적은 농촌 지역의 빈집 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121개 연구 대상 지역을 설정하고, 8개의 독립변수(노후 주택 비율, 주택 거래 비율, 주택 보급률, 지역 소멸 지수, 순 이동률, 지역 노령화 지수, 인구 대비 종사자수, 재정자립도)와 1개 종속변수(빈집 비율)를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일반농산어촌 지역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모형 1과 군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모형 2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잔차의 독립성에 문제가 없었다. 둘째, 지역 소멸 지수 및 노후 주택 비율의 경우 모형 1과 모형 2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셋째, 주택 보급률의 경우, 모형 1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주택 거래 비율의 경우, 모형 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반(-)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의 시사점가 도출되었다. 첫째, 가구 및 인구 증가가 없는 주택 보급률의 상승은 지역 내 빈집의 발생 확률을 높이는 것을 시사하고, 노후 주택 비율이 높을수록 빈집 발생 확률이 높아진다. 둘째, 주택 거래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역의 중장기 발전을 위한 투자 유입이 필요하다. 셋째, 지역 소멸 지수는 빈집 비율과 유의미한 관계를 가지므로, 지역의 영속성을 위해 장기적인 시각에서 지역 활성화 정책이 도입되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occurrence of vacant houses in research on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rural vacancy occurrence. This study set 121 research areas and selected eight independent variables (Aged house rate, housi...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서울 등 대도시와 농촌 지역의 빈집 발생 원인이 상이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빈집 발생의 지역적 특성을 분석을 위해 농림축산식품부가 주관하는 ‘일반농산어촌 지역과 일반농산어촌 지역 내 군 지역(농촌 지역)’을 분석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시·군 단위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일반농산어촌 지역과 일반농산어촌 지역 내 군 지역’을 대상으로 빈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촌 지역 빈집 발생이 요인과 문제점은? 결국 농촌 지역 빈집의 재산가치가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이 소유주로 하여금 빈집으로 방치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이창후·이재우, 2015). 이러한 빈집은 그 주변 일대의 주거 환경과 안전을 위협하여 주거 만족도와 주택 가격 하락을 야기할 수 있으며, 이는 또 다른 빈집을 발생하게 하는 악순환을 야기한다 (Schilling, 2002; 강미나·김진범, 2013). 한편 도시지역의 주요 빈집 발생 지역은 도심공동화에 따라 인구가 감소한 배후주거지역과 산업공단주변지역이다.
빈집의 개념은? 빈집의 개념은 일반적으로 농어촌정비법 제2조의 “시장·군수·구청장이 거주 또는 사용 여부를 확인한 날부터 1년 이상 아무도 거주하지 아니하거나 사용하지 아니하는 농어촌 주택이나 건축물”을 준용한다. 이러한 우리나라의 빈집에 관한 정의는 도시 지역과 농어촌 지역에 모두 적용되고, 이에 따라 빈집 실태조사의 범위 역시 도시 및 농어촌 지역을 대상으로 한다(권혁삼 외, 2017).
빈집 발생을 유발하는 요인은? 빈집 발생을 유발하는 요인은 지역별로 상이한 가운데(유재성·이다예, 2017), 지역의 산업 구조 변화 및 신시가지 개발로 인한 인구 이동, 고령화·저출산과 같은 인구 감소 등의 원인이 대표적이다. 특히 농촌 지역의 경우 인구의 자연 감소와 인구 유출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빈집 수가 증가하며, 이러한 인구 감소 및 빈집 증가는 지역의 위축을 야기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Kang MN, Kim JB. 2013. The Actual Condition and Policy Direction of Vacant House Maintenance in Rural Areas. KRIHS Policy Brief. 434: 2-7. 

  2. Koo et al. 2017. Let's overcome the problem of the 'reduced city' of the era of the local population cliff, city diet. KRIHS Policy Brief. 616: 1-8. 

  3. Kwon et al. 2017. Emergence of Empty House and Its Utilization Plan: Low-Rise Residential Area Recycling Strategy. Urban Information Service. 429:4-18. 

  4. Kim et al. 2018. Identifying Influential Factors to Residential Vacancy in Seoul Based on a Geographically Weighted Lasso Model.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44(1):54-68. 

  5. Kim YI. 2011. Japan's Immigration Assistance Projects and Poor Housing Choices. Urbanity & Poverty. 92:70-99. 

  6. Kim et al. 2016. Forecasting for Spatial Patterns of Empty Houses in Rural Area Using Probabilistic Choice Model. Journal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stitute of Korea. 14(3):15-27. 

  7. Na KY, Oh BG. 2011. Emergency of Vacancy and Utilization Plan in Rural Areas in Jeonnam. JERI Report: JERI. 

  8. Na GW. 2003. Research on Agricultural Dwelling Empty House Condition and Application Plan. Thesis for Master's Degree. Graduate School of Jungbu University. 

  9. Noh MJ. 2017. A Study on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the Causes of Vacant Housing. Thesis for Doctor's Degree.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10. Noh MJ, Yoo SJ. 2016. An Study on the Cause of Abandoned Vacant Houses. Korea Real Estate Review. 26(2):7-21. 

  11. Noh MJ, Yoo SJ. 2017. A Study on the Spatial Pattern of Other Vacant Housing. Korea Real Estate Review. 27(4):21-34. 

  12. Park SN. 2018. The Local Characteristics of Empty Homes in Deprived Areas and Implications for Revitalizing Empty Homes: Focusing the Perception of Residents and Local Coordinators.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itute of Korea. 19(1):5-20. 

  13. Park JI, Oh SK. 2018. Spatial Pattern and Causative Factor Analysis of Vacant Housing in Daegu, South Korea Using Individual-level Building DB.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34(2):35-47. 

  14. Son et al. 2015. The Spatio-Temporal Patterns of the Vacant Homes Clusters and Their Impact on the Neighborhood Land Price: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Real Estate Analysis. 1(1):71-90. 

  15. Shim JS. 2017.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Policies as a Response to the Problems of Vacant Houses : Lessons from the Case of Japan. Journal of the Korean Cadastre Information Association. 19(1):3-15. 

  16. Yoo JS, Lee DY. 2017. Classification of the Vacant Housing Type based on the Physical Condition and Hazard Level of Vacant Houses. Journal of the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iety. 20(2): 1-13. 

  17. Lee DY, Yoo JS. 2017. A Study on the Management System for Vacant Houses of Japan, United States, and United Kingdom. Journal of the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iety. 20(3): 103-118. 

  18. Lee JW. 2013. Exploring a Framework and Measures to Bring Empty Homes Back into Use: in the case of England.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8(3):95-115. 

  19. Lee CW, Lee JW. 2015. A Study on the Evaluation Criteria for Selective Improvements to Empty Homes. Journal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stitute of Korea. 13(2):67-79. 

  20. Lee HD. 2018. A Study on the Application Plan of the Region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Vacant House. Thesis for Doctor's Degree. Graduate School of Kongju University. 

  21. Jeon YM, Kim SH. 2016. The Causes and Characteristics of Housing Abandonment in an Inner-city Neighborhood: Focused on the Sungui-dong Area, Nam-gu, Incheon.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itute of Korea. 17(1): 83-100. 

  22. Jeong SC. 1996. A Study on Productive Use of Rural Vacancy House. Chungbuk Report: Chungbuk Research Institute. 

  23. Statistics Korea. 2017. 2015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Report. 

  24. Han SK. 2018. A Study on Spatial Cluster and Fixation Process of the Vacant Houses in Iksan.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97:17-39. 

  25. Han SK, Lee HY. 2016. Analysis of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Vacant/Abandoned Properties: The Case of Iksan. Journal of the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iety. 19(1):1-16. 

  26. Han SW. 2016. It is necessary to build a practical promotion system to solve the vacancy problem of Busan City. Busan Development Forum. 160:16-23. 

  27. Hwang et al. 2012. Analysis of Current Situation and Perception of Empty Homes Owners' Managing and Using Rural Empty Houses: Focused on Jeonbuk Wanju County.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19(4):989-1020. 

  28. Bassett et al. 2006. Understanding Housing Abandonment and Owner Decision-Making in Flint, Michigan: An Exploratory Analysis. Lincoln Institute of Land Policy Working Paper: The Lincoln Institute of Land Policy. WP06EB1. 

  29. Morckel, V. C. 2014. Spatial Characteristics of Housing Abandonment. Applied Geography. 48:8-16. 

  30. Nam et al. 2016. Factors Contributing to Residential Vacancy and Some Approaches to Management on Gyeonggi Province, KOREA. Sustainacility. 8(4):367. 

  31. Schilling, J. M. 2002. The Revitalization of Vacant Properties: Where Broken Windows Meet Smart Growth. Washington, D. C.: International City/County Management Association. 1-43. 

  32. Sternlieb et al. 1974. Housing Abandonment in the Urban Core. Journal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Planners. 40(5):321-3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