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우리나라 산악지에서의 정밀표고 결정
Precise Height Determination in Mountainous Areas of South Korea 원문보기

지적과 국토정보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v.48 no.2, 2018년, pp.99 - 108  

이석배 (경남과학기술대학교 토목공학과) ,  어수창 (경남과학기술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산악지에서의 정밀표고결정을 목적으로, 지리산 지역을 테스트베드로 선정하고 테스트베드 내의 44점의 수준점에 대하여 중력측정 및 GNSS 관측을 실시하고 측정결과를 바탕으로 표고보정량과 표고를 계산하고 연구한 논문이다. 계산에 있어서는 역학보정량과 정사보정량 및 정규보정량을 계산하였으며 이를 적용한 역학고와 정표고 그리고 정규고를 계산하였다. 연구결과 정규중력실측중력의 차이를 규명해 내었고 또 정사보정량과 정규보정량의 차이를 규명할 수 있었다. 또한 정규정표고 체계를 유지하고 있는 현재의 수준점 고시성과와 본 연구에서 계산된 정표고 값을 비교한 결과는 우리나라의 수준점 성과체계가 정규정표고 체계에서 정표고 체계로의 전환하여야 함을 보여주고 있었다. 테스트베드내에서 정사보정량과 정규보정량의 차이는 최소 -234.41 mm에서 최대 196.925 mm의 분포를 나타냈고, 현재의 수준점 고시성과와 본 연구에서 계산된 정표고와의 차이는 -0.121 m에서 0.011 m의 차이를 보여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precise height in mountainous areas of South Korea and Jiri mountain area was selected as a test bed for the study. Gravity observation and GNSS surveying were performed for 44 BM(Benchmark) points in the test bed and calculate the height and the height ...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물론 대부분의 수준점에서 중력측량을 수행하였기 때문에 정표고 체계로의 전환을 기대할 수 있으나 현재까지 고시된 수준점의 표고성과는 정규고에 기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표고성과에 가끔씩 문제가 발생하는 산악지에서 정밀한 표고를 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정밀한 표고의 결정을 위하여 직접 중력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중력측정 및 계산결과를 바탕으로 역학보정량(dynamic correction), 정사보정량(orthometric correction)과 정규보정량(normal correction)과 역학고, 정표고, 정규고를 계산하였다.
  • 따라서 이 차이를 각 측정점별로 Figure 4에 그래프로 그려보았다. 또한 정사보정량과 정규보정량의 차이가 보정량을 계산한 앞뒤 측정점의 표고차와의 연관성을 알기 위하여 함께 그래프에 나타내 보았으며, 또한 각 측정점에서의 실측중력과 정규중력과 차이를 함께 도시함으로써 상호간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Figure 4를 통하여 표고차가 많이 발생하고 있는 지점에서 정규중력 및 실측중력의 차이나 정사보정량 및 정규보정량의 차이가 많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역학고, 정표고 및 정규고 계산에 앞서 역학보정량(DC), 정사보정량(OC)과 정규보정량(NC)을 먼저 계산하였다. 역학보정량은 그 값이 너무 크게 나오기 때문에 1955년 이후로는 사용되지 않는 표고개념이지만 우리나라에서 한 번도 계산된 적이 없기 때문에 그 크기를 보기 위하여 계산하여 보았다. 정사보정량 계산에는 실측중력을 이용하였고, 정규보정량 계산에는 정규중력을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규중력이란? 정규중력(normal gravity)이란 모든 지점에서 동일한 포텐셜을 가지는 기준타원체면에서 위도변화에 따른 이론적인 중력값을 의미하며(Nassar, 1977), 1980년에 결정된 식 (11)과 같은 중력식을 사용하여 계산하고 있다(Heiskann and Moritz, 1967).
전통적인 표고는 무엇에 의하여 결정되었는가? 표고는 전통적으로 수준측량(spirit leveling)에 의하여 결정되어 왔다. 그러나 지구상의 두 점 사이의 수준측량을 정밀하게 수행한다 하여도 두 점간의 표고차는 수준측량의 결과와 일치하지 않는다.
전통적인 표고의 수준측량(spirit leveling)에 의한 방법은 문제가 없는가? 표고는 전통적으로 수준측량(spirit leveling)에 의하여 결정되어 왔다. 그러나 지구상의 두 점 사이의 수준측량을 정밀하게 수행한다 하여도 두 점간의 표고차는 수준측량의 결과와 일치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수준측량이 수행된 각 지점의 수평면이 서로 평행을 이루지 않기 때문이며 또 지오이드면과도 정확한 평행을 이루지 않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Kim CY, Lee SB. 2011. Calculation of orthometric correction by observed gravity at Korean benchmark 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29(3):319-325. 

  2. Yun HS, Cho JM. 2004. Calculation of Precision Orthometric Height by Orthometric Corre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22(2):117-125. 

  3. Lee SB, Auh SC. 2015. Calculation of Gravity Anomaly by measurement of Gravity in and around Jiri-mountain, KSCE(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015 Civil Expo & Conference, 2015:41-42 

  4. Lee CK, Suh YC, Chun BN, Song CH. 2008. Adjustment of 1st order Level Network of Korea in 2006,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26(1):17-26. 

  5. Choi KS, Lee JM. 1997. A Study on the Orthometric Height Correction in Mt. Hangye A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18(6): 522-528 

  6. Dennis ML, Featherstone WE. 2007. Evaluation of Orthometric and Related Height Systems Using a Simulated Mountain Gravity Field, Western Australian Centre for Geodesy, Curtin University of Technology, GPO Box U1987, Perth, WA 6845, 

  7. Heiskanen WA, Moritz H. 1967. Physical Geodesy, Freeman and Company, p.160-172. 

  8. Hwang C, Hsiao YS. 2003. Orthometric Corrections from Leveling, Gravity, Density and Elevation data : a Case Study in Taiwan, Journal of Geodesy, 77:279-291. 

  9. Nassar MM. 1977. Gravity Field and Levelled Heights in Canada, Geodesy and Geomatics Engineering Technical Report,. 41; 54-72. 

  10. Van Hees GLS. 1992. Practical Formulas for the Computation of the Orthometric, Dynamic and Normal Heights, Zeitschrift fur Vermessungwesen, 11:727-7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