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토지피복 공간정보를 활용한 자동 훈련지역 선택 기법
Automatic selection method of ROI(region of interest) using land cover spatial data 원문보기

지적과 국토정보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v.48 no.2, 2018년, pp.171 - 183  

조기환 (전북대학교) ,  정종철 (남서울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급속한 위성영상 공급확대에도 불구하고 자동화되지 못한 영상처리과정으로 인해 영상활용이 제약받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감독영상분류를 위한 훈련지역 선택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영상처리과정의 비용과 시간을 절감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토지피복 정보를 활용하여 훈련관심영역을 추출하는 방법을 최신영상에 적용하여 토지피복분류를 실행한 후 분류정확도를 평가하였다. 원주시 도심지역을 대상지로 하여 토지유형을 시가지역과 농지/초지, 숲, 나대지 및 수계로 나누고 유형별 훈련관심영역을 환경부 중분류 토지피복지도를 활용하여 선택하였다. 관심영역 선택을 위해 먼저 토지피복지도 폴리곤 경계를 기준으로 negative buffer (-15m)를 적용하여 새로 폴리곤을 만들었고 너무 작은 폴리곤(<$2,000m^3$)과 큰 폴리곤(>$200,000m^3$)을 제외하였다. 선택된 폴리곤들의 밴드별 반사율 표준편차와 평균값 및 NDVI의 평균값을 계산하였다. 이 정보를 이용하여 먼저 표준편차가 적은 폴리곤 (폴리곤 내 반사율 값의 편차가 크지 않은 폴리곤)을 선택한 후 이들 중 반사율 평균값이 각 유형의 특징적인 분광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폴리곤을 관심영역으로 선택하였다. 2017년 Sentinel-2영상을 활용하여 토지피복유형을 분류한 결과 86.9%의 분류정확도($\hat{K}=0.81$)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시도된 자동 관심영역 선택방법 적용한 결과 수동 디지타이징 과정을 생략하고도 높은 분류정확도를 도출 할 수 있었으며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영상처리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여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영상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spite the rapid expansion of satellite images supply, the application of imagery is often restricted due to unautomated image processing. This paper presents the automated process for the selection of training areas which are essential to conducting supervised image classification. The training ar...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각 요인들의 임계값은 유동적으로 적용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훈련영역 자동선택을 위한 확정적인 임계값제시 보다는 다양한 임계값을 적용할 수 있는 범용적인 접근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국가공간정보 구축사업으로 제작된 토지피복지도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훈련지역을 선택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선택된 훈련지역의 분광특성을 이용하여 도시지역의 토지피복 분류를 실시하고 그 정확도를 평가하여 제시된 방법의 유효성을 검정하였다.
  • 5배로 –15m buffer를 적용한 폴리곤내의 모든 영상 픽셀들은 경계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를 통해 경계부분을 제외함으로써 보다 특징적인 훈련자료(training data) 를 수집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토지피복 정보를 활용하여 훈련관심영역을 추출하고 이를 최신영상에 적용하여 토지피복분류를 실행한 후 분류정확도를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영상분류 작업에 필요한 수작업을 자동화하여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로는 최근 급속히 도시가 확장되고 있어 토지피복지도의 갱신이 지속적으로 필요한 원주시를 선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확한 토지피복지도를 작성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토지피복지도는 도시 및 환경 계획과 관리에 폭넓게 사용되는 중요한 공간정보로 최신 정보를 담을 수 있게 지속적인 업데이트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정확한 토지피복지도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세분류와 중분류의 분류기준과 갱신주기를 반영하기에 적합한 시간, 분광 및 공간 해상도를 가진 영상이 필요하다. 국내의 경우 Landsat 영상이 대분류 토지피복지도 작성에 이용되어 왔지만 낮은 해상도로 인해 활용에 한계가 있었다.
원격탐사 위성영상 활용 시 제약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은 무엇인가? 최근에는 국토위성을 비롯하여 RapidEye, Word-View, GeoEye, KOMPSAT(Korea Multi-Purpose Satellite), Sentinel 등 다양한 해상도와 특성을 가진 원격탐사 위성영상이 공급되고 있어 다양한 활용분야 및 연구 목적에 따른 영상 선택 폭이 매우 넓어졌다. 하지만 영상분류과정에 필수적인 영상처리 과정은 여전히 수작업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다양한 해상력의 영상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데 제약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토지피복지도는 무엇인가? 토지피복지도는 도시 및 환경 계획과 관리에 폭넓게 사용되는 중요한 공간정보로 최신 정보를 담을 수 있게 지속적인 업데이트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정확한 토지피복지도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세분류와 중분류의 분류기준과 갱신주기를 반영하기에 적합한 시간, 분광 및 공간 해상도를 가진 영상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lex Z. 2016. glcm: Calculate Textures from Grey-Level Co-Occurrence Matrices (GLCMs). R package version 1.6.1. https://CRAN.Rproject.org/packageglcm 

  2. Breiman L. 2001. Random forest. Machine Learning. 45(1):5-32. 

  3. Beijma SV, Comber A, Lamb A. 2014. Random forest classification of salt marsh vegetation habitats using quad-polarimetric airborne SAR, elevation and optical RS data. Remote Sens. Environ. 149(1):118-129. 

  4. Beon M-S, Cho KH, Kim HO, Oh H-K, Jeong J-C. 2017. Mapping of vegetation using multitemporal downscaled satellite images of a reclaimed area in Saemangeum, Republic of Korea. Remote Sensing. 9(3):272; https://doi.org/10.3390/rs9030272 

  5. Chavez PS, Jr. 1996. Image-based atmospheric corrections - revisited and improved. Photogrammetric Engineering & Remote Sensing 62(9):1025-1036. 

  6. Concoran J, Knight J, Gallant A. 2013. Influence of multi-source and multi-temporal remotely sensed and ancillary data on the accuracy of random forest classification of wetlands in northern Minnesota. Remote Sens. 5(7):3212-3238 

  7. Congedo L. 2016. Semi-Automatic Classification Plugin Documentation. DOI: http://dx.doi.org/10.13140/RG.2.2.29474.02242/1 

  8. Congalton RG. 1991. A review of assessing the accuracy of classification of remotely sensed dat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37(1):35-46. 

  9. Dale PM. 2005. Shadow analysis in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ry of urban areas. Photogrammetric Engineering & Remote Sensing 71(2):169-177 

  10. Hengel T, Nussbaum M, Wright MN, Heuvelink GBM, Graler B. 2018. Random forest as a generic framework for predictive modeling of spatial and spatio-temporal variables. PeerJ 6:e5518 https://doi.org/10.7717/peerj.5518 

  11. Huang X, Weng C, Lu Q, Feng T, Zhang L. 2015. Automatic Labelling and Selection of Training Samples for High-Resolution Remote Sensing Image Classification over Urban Areas. Remote Sensing. 7(12): 16024-16044; https://doi.org/10.3390/rs71215819 

  12. Jiang D, Huang Y, Zhuang D, Zhu Y, Xu X, Ren H. 2012. A Simple Semi-Automatic Approach for Land Cover Classification from Multispectral Remote Sensing Imagery. PLoS ONE 7, e45889.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045889 

  13. Leroux L, Congedo L, Bellon B, Gaetano R, Begue A. 2018. Land Cover Mapping Using Sentinel ­2 Images and the Semi­Automatic Classification Plugin: A Northern Burkina Faso Case Study. In QGIS and Applications in Agriculture and Forest (eds Baghdadi N, Mallet C, Zribi M). doi:10.1002/9781119457107.ch4 

  14. Liaw A, Wiener M. 2002.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by random. Forest. R News 2(3):18-22. 

  15. Lopes ME. 2015. Measuring the algorithmic convergence of random forests via bootstrap extrapolation. Davis: Department of Statistics, University of California, 25. 

  16. R Core Team. 2017. R: A Language and Environment for Statistical Computing. R Foundation for Statistical Computing: Vienna, Austria. Available online: https://www.Rproject.Org 

  17. Shao Y, Taff GN, Walsh SJ. 2011. Shadow detection and building-height estimation using IKONOS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32(22):6929-694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