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산균 발효에 의한 손바닥선인장 줄기추출물의 지표물질 함량 변화 분석
Analysis of Marker Components of Fermented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Stem Extracts 원문보기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v.31 no.6, 2018년, pp.219 - 224  

신동원 (고려은단 연구소) ,  이상호 (고려은단 연구소) ,  이소연 (고려은단 연구소) ,  한은혜 (고려은단 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손바닥선인장(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은 제주도 자생식물로 섭취가 가능하고 항염 및 항산화, 인지개선 등 다양한 효능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손바닥선인장 줄기추출물의 지표물질 함량과 인지개선 효능을 높이기 위해 유산균 발효를 수행하였으며, 비발효추출물과 발효추출물 간 지표물질 함량 차이를 비교하고 acetylcholinesterase (AChE)의 저해 활성도를 평가하여 유산균 발효가 인지장애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였다. 지표물질로는 손바닥선인장 줄기 중 함량이 높은 dihydrokaempferol(DHK)과 항산화 효능이 우수하다고 알려진 quercetin-3-methyl ether (3-MeQ)를 선정하였으며, 함량은 HPLC-PDA (280 nm, 360 nm)로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발효추출물의 DHK 함량은 비발효추출물에 비해 16.7 % 증가하였고, 3-MeQ 함량은 L. plantarum과 L. fermentum 발효추출물에서 각각 28.6 %, 21.4 % 증가하였다. 또한, 발효추출물의 AChE 저해 활성이 비발효추출물 ($IC_{50}=28.35mg/mL$)보다 높았으며, 발효추출물 중에서도 L. plantarum 발효추출물 ($IC_{50}=12.56mg/mL$)이 L. fermentum 발효추출물 ($IC_{50}=17.71mg/mL$)보다 높은 AChE 저해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손바닥선인장 줄기추출물은 유산균 발효에 의해 지표성분 함량이 증가되었으며, AChE 저해 활성이 높아지고 이로 인해 인지장애 개선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는 효능이 향상된 고부가가치의 손바닥선인장 제품 개발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ruit and stem of Opuntia ficus-indica var. aboten (OFS), a native plant of Jeju Island, are considered a safe food source. Moreover, stem extracts have been previously reported to possess a variety of biological effects (e.g.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including the ability to partiall...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손바닥선인장 줄기추출물의 지표물질 함유량과 효능을 증가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유산균 발효를 수행하였다.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를 이용하여 손바닥선인장 발효추출물과 비발효추출물 간의 지표물질 함량 변화를 확인하고, AChE 저해 활성도 평가를 통해 발효추출물의 인지장애 개선에 대한 효과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발효에 사용한 균주는 산업현장에서 식용 균주로 사용되고 있는 Lactobacillus plantarum과 Lactobacillus fermentum으로, 손바닥선인장 줄기추출물을 발효시킨 다음, HPLC를 이용하여 지표성분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 기존 연구에서 인삼을 발효하였을 때 흡수율이 증가13하였고, 항염·항통증14 및 항산화15 효과가 향상되는 것이 확인된 보고가 있어 본 연구에서는 손바닥선인장 줄기추출물을 L. plantarum과 L. fermentum로 유산균 발효하였을 때 인지능력 개선 효능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AChE 저해 활성을 평가하였다.
  • 이러한 기전으로 인해 AChE에 대한 억제제가 치매 치료제로도 개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손바닥선인장 줄기추출물의 유산균 발효에 의한 인지능력 개선 효과를 확인하고자 AChE 저해 활성도를 평가하였다. Fig.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손바닥선인장 줄기추출물의 지표물질 함유량과 효능을 증가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유산균 발효를 수행하였다.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를 이용하여 손바닥선인장 발효추출물과 비발효추출물 간의 지표물질 함량 변화를 확인하고, AChE 저해 활성도 평가를 통해 발효추출물의 인지장애 개선에 대한 효과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손바닥선인장은 어떤 식물인가? 손바닥선인장은 제주도에서 자생하는 다년초로서 민간에서 기관지, 천식, 위염, 신장염, 당뇨 등의 증상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최근 손바닥선인장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위 점막 보호 및 항염증 작용,2, 3 면역체계 개선 효과,4 인지 개선5등에 대한 다양한 효능이 보고되었다.
손바닥선인장의 열매와 줄기 추출물은 인체에 어떤 효능이 있는가? 1 최근 손바닥선인장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위 점막 보호 및 항염증 작용,2, 3 면역체계 개선 효과,4 인지 개선5등에 대한 다양한 효능이 보고되었다. 특히 인지장애개선과 관련하여 손바닥선인장의 열매와 줄기 추출물이 항산화 효과와 신경 보호 효과가6 있으며, 마우스를 이용한 동물실험에서 손바닥선인장 줄기 추출물이 장기 기억을 향상시켰다.5
고부가가치의 손바닥선인장 제품 개발이 기대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결론적으로 손바닥선인장 줄기추출물은 유산균 발효에 의해서 지표성분의 함량과 인지개선 효과가 증가되었다. 이는 효능이 향상된 고부가가치의 손바닥선인장 제품 개발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D. J. Kim, J. H. Jung, S. G. Kim, H. K. Lee, S. K. Lee, H. D. Hong, B. Y. Lee, and O. H. Lee, Korean J. Food Preserv., 18(3), 366-373 (2011). 

  2. E. H. Park, J. H. Kahng, S. H. Lee, and K. H. Shin, Fitoterapia, 72(3), 288-290 (2001). 

  3. E. H. Park, J. H. Kahng, and E. A. Paek, Arch. Pharm. Res., 21(1), 30-34 (1998). 

  4. M. C. Kwon, J. G. Han, H. S. Jeong, S. A. Qadir, Y. B. Choi, J. R. Ko, T. I. Lim, and H. Y. Lee,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6(1), 1-8 (2008). 

  5. J. M. Kim, D. H. Kim, S. J. Park, D. H. Park, S. Y. Jung, H. J. Kim, Y. S. Lee, C. Jin, and J. H. Ryu, Prog. Neuropsychopharmacol. Biol. Psychiatry, 34(6), 1011-1017 (2010). 

  6. H. Dok-Go, K. H. Lee, H. J. Kim, E. H. Lee, J. Lee, Y. S. Song, Y. H. Lee, C. Jin, Y. S. Lee, and J. Cho, Brain Res., 965(1-2), 130-136 (2003). 

  7. M. R. Park, C. Yoo, Y. N. Chang, and B. Y. Ahn, Korean J. Plant Res., 25(4), 379-386 (2012). 

  8. S. S. Suhr and S. K. Jung, Kor. J.Orient. Int. Med, 30, 465-680 (2009). 

  9. M. Tsukahara, N. Shinzato, Y. Tamaki, T. Namihira, and T. Matsui, Appl. Biochem. Biotechnol., 158(2), 476-482 (2009). 

  10. D. H. K. Seungbae Park, Changbae Jin, Hyoung Ja Kim, J. Korean Soc. Food Sci. Nutr., 46(2), 210-219 (2017). 

  11. G. L. Ellman, K. D. Courtney, V. Andres Jr, and R. M. Featherstone, Biochem. Pharmacol., 7(1), 88-95(1961). 

  12. E. H. Lee, H. J. Kim, Y. S. Song, C. Jin, K. T. Lee, J. Cho, and Y. S. Lee, Arch. Pharm. Res., 26(12), 1018-1023 (2003). 

  13. H. Jin, J. H. Seo, Y. K. Uhm, C. Y. Jung, S. K. Lee, and S. V. Yim, J. Ethnopharmacol., 139(2), 664-647 (2012). 

  14. H. J. Jung, H. Choi, H. W. Lim, D. Shin, H. Kim, B. Kwon, J. E. Lee, E. H. Park, and C. J. Lim, J. Pharm. Pharmacol., 64(5), 756-62 (2012). 

  15. S. J. Hur, S. Y. Lee, Y. C. Kim, I. Choi, and G. B. Kim, Food Chem, 160, 346-356 (201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