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손바닥 선인장 열매의 영양성분 분석과 항산화 활성
Component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1 no.5, 2011년, pp.691 - 697  

신언환 (울산과학대학 호텔조리과) ,  박성진 (한림성심대학 관광외식조리과) ,  최상규 ((주)나무와벽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손바닥선인장열매의 기능성 식품 및 화장품 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손바닥선인장열매의 영양성분 및 항산화활성 관련 성분을 분석하였다. 손바닥 선인장열매의 일반성분은 건량 기준으로 탄수화물 66.79%, 조단백질 5.51%, 조지방 9.89% 및 조회분 9.29%이었고, 손바닥 선인장열매 100 g의 함유 열량은 378.21 kcal로 분석되었으며, 총 식이섬유소 함량은 건량 기준으로 36.54%로 나타났다. 또한, 필수아미노산과 비필수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1,635.14 mg, 3,012.68 mg이었고, 무기질 중 칼륨의 함유량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으로 나타나 알칼리성 재료임을 알 수 있었다. 유리당 함량의 경우 sucrose가 가장 높은 함량(149.98 mg/g)을 나타내었으며, fructose(22.57 mg/g, glucose mg/g)순으로 나타났으며 maltose와 lactose는 검출되지 않았다. 손바닥선인장열매 80% 에탄올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은 2.21 ${\mu}g$/ mg,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80 ${\mu}g$/mg으로 분석되었으며, DPPH 소거 활성을 농도별로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 3.2 mg/mL 농도에서 44.57%의 활성을 보였다. 또한, 환원력의 경우에는 손바닥선인장열매 추출물이 6.25 mg/mL의 농도에서 3.18로 높은 환원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손바닥선인장열매 80% 에탄올 추출물은 항산화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손바닥선인장열매를 식품 첨가물 또는 다른 약용으로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using Opuntia ficus-indica as a natural health food source. To accomplish this, the contents of general and antioxidative nutrient contents of Opuntia ficus-indica were measured. The carbohydrate, crude protein, crude fat and crude ash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들어 손바닥 선인장에 대한 건강기능식품 소재로서의 국내 외 사용빈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나, 선인장의 식품소재화를 위한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손바닥 선인장의 건강기능식품 소재화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손바닥선인장의 함유성분 및 체내에서 생리활성 효능을 발휘할 수 있는 함량을 분석하여 향후 손바닥 선인장의 유효성을 평가하는데 기초 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손바닥선인장열매의 기능성 식품 및 화장품 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손바닥선인장열매의 영양성분 및 항산화활성 관련 성분을 분석하였다. 손바닥선인장열매의 일반성분은 건량 기준으로 탄수화물 6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각종 만성질환이 급속히 늘어난 이유는 무엇인가? 경제의 급속한 발달로 우리의 생활은 예전에 비해 풍요로워 졌지만 환경의 오염, 생활의 스트레스, 운동량 부족, 식습관의 변화로 인한 영양 불균형 등의 이유로 생활 습관병을 포함한 각종 만성질환이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Yim et al 1998, Moon SJ 1996, Han SM 2001). 또한 생활 및 의료 수준의 향상에 따라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식․의약의 섭취를 포함한 생활환경을 조절함으로써 노화를 지연시키고 질병을 예방하려는 국민 개개인의 요구 수준은 점점 높아져 가고 있는 실정이다.
손바닥선인장은 무엇에 사용되어져 왔는가? 손바닥선인장은 예로부터 식용이나 식품 대용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기관지, 천식, 기침, 폐질환, 위염, 변비, 장염, 신장염, 고혈압, 당뇨, 심장병, 신경통 및 관절염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민간요법으로는 이뇨효과, 장운동의 활성화, 식욕증진, 피부질환, 류마티스 및 화상치료에 사용되어왔다(Kim TJ 1996, Lee et al 2005). 최근의 연구 결과를 보면 Park et al(2005)은 천년초 줄기의 물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 및 사염화탄소로부터 간 손상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으며, Lee KS(2004)는 천년초 선인장으로부터 분리한 flavanol 계열의 taxifolin이 α-tocopherol보다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다고 보고하였다.
본 논문에서 손바닥선인장열매의 기능성 식품 및 화장품 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손바닥선인장열매의 영양성분 및 항산화활성 관련 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손바닥선인장열매의 기능성 식품 및 화장품 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손바닥선인장열매의 영양성분 및 항산화활성 관련 성분을 분석하였다. 손바닥선인장열매의 일반성분은 건량 기준으로 탄수화물 66.79%, 조단백질 5.51%, 조지방 9.89% 및 조회분 9.29%이었고, 손바닥 선인장열매 100 g의 함유 열량은 378.21 kcal로 분석되었으며, 총 식이섬유소 함량은 건량 기준으로 36.54%로 나타났다. 또한, 필수아미노산과 비필수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1,635.14 mg, 3,012.68 mg이었고, 무기질 중 칼륨의 함유량이 가장 높 았으며, 그 다음이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으로 나타나 알칼리성 재료임을 알 수 있었다. 유리당 함량의 경우 sucrose가 가장 높은 함량(149.98 mg/g)을 나타내었으며, fructose(22.57 mg/ g, glucose mg/g)순으로 나타났으며 maltose와 lactose는 검출 되지 않았다. 손바닥선인장열매 80% 에탄올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은 2.21 μg/ mg,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80 μg/mg으로 분석되었으며, DPPH 소거 활성을 농도별로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 3.2 mg/mL 농도에서 44.57%의 활성을 보였다. 또한, 환원력의 경우에는 손바닥선인장열매 추출물이 6.25 mg/ mL의 농도에서 3.18로 높은 환원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손바닥선인장열매 80% 에탄올 추출물은 항산화능이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현화진, 송경희, 최미경, 손숙미 (2007) 쉽게 보는 식품칼로리와 영양성분표. 교문사, pp 106. 

  2. AACC (2000) Approved Method of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 10th. ed., Association. St. Paul. MN USA. 

  3. AOAC (1984)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4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p 878. 

  4. Carmen S (2000) Processing technologies: An alternative for cactus pear (Opuntia spp.) fruits and cladodes. J Aarid Environ, 46: 209-225. 

  5. Cha WS, Kim CK, Kim JS (2002) On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health beverages using citrus reticulate, Ostrea glgas. Korean J Biotechnol Bioeng 17: 503-507. 

  6. Choi MS, Do DH, Choi DJ (2002) The effect of mixing beverage with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root on blood pressure and blood constituents of the diabetic and hypertensive elderly. Korean J Food & Nutr 15: 165-172. 

  7. Choi KS, Lee HY (1999) Characteristics of useful components in the leaves of Baechohyang (Agastache rugosa O. Kuntz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326-322. 

  8. Duval B, Shetty K (2001) The stimulation of phenolic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pea (Pisum sativum) elicited by genetically transformed andise root extract. J Food Biochem 25: 361-377. 

  9. Han H, Song YJ, Park SH (2004) Development of drink from composition with medicinal plants and evaluation of its physiological function in Aorta relaxation.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18: 1078-1082. 

  10. Han IH, Lee KA, Byoun KE (2007) The antioxidant activity of loreean cactus (Opuntia humifusa) 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cacus powder added.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443-451. 

  11. Han SM (2001) Studies on the functional components and cooking aptitude for medicinal tea of Chrysanthemum indicum L.. MS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p 25. 

  12. Kang YH, Park YK, Lee GD (1996)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624-630. 

  13. Kim DJ, Jung JH, Kim SG, Lee HK, Lee SK, Hong HD, Lee BY, Lee OH (2011) Antioxidants and anti-obesity activities of hot water and ethanolic extracts from Cheonnyuncho (Opuntia humifusa). Korean J Food Preserv 18: 366-373. 

  14. Kim JH, Park JH, Park SD, Choi SY, Seong JH, Moon KD (2002) Prepar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ealth drink with extract powders from safflower seed.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617-624. 

  15. Kim TJ (1996) A pictorial book of the Korean flora.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pp 140-141. 

  16. Lee HH, Lee SY (2008) Cytotoxic and antioxidant effects of Taraxacum coreanum Nakai and T. officinale WEB extract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6: 79-85. 

  17. Lee JH, Lee SR (1994) Some physiological activity of phenolic substances in plant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318-323. 

  18. Lee KS, Oh CS, Lee KY (2005) Antioxidative effect of the fractions extracted from a Cactus Cheonnyuncho (Opuntia humifusa).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474-478. 

  19. Lee KS (2004) Antioxidant, antimicrobial effect of the extracts of cactus Cheonnyuncho (Opuntia humifusa) and identifica tion of activity substance. MS thesis Hoseo University, Asan. 

  20. Middleton EJ, Kandaswami C (1994) Potential health promoting properties of citrus flavonoids. Food Technol 48: 115. 

  21. Moon SJ (1996) Korean disease pattern and nutrition. Korean J Nutr 29: 381-383. 

  22. Moreno MIN, Isla MIN,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 of Argentiana. J Enthropharmacology 71: 109-114. 

  23.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s: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apanese J Nutr 44: 307-315. 

  24. Park MK, Lee YJ, Kang ES (2005) Hepatoprotective effect of Cheonnyuncho (Opuntia humifusa) extract in rats treated carbon tetrachloride. J Korean Food Sci Technol 37: 822- 826. 

  25. Prosky L, Asp NG, Furda I, Devries JW, Schweizer TF, Harland BF (1985) Determination of total dietary fiber in food products collaborative study. J Assoc Off Anal Cereal Chem 68: 677-680. 

  26. Richmond ML, Brandao SCC, Gray JI, Markakis P, Stine CM. 1981. Analysis of simple sugar and sorbitol in fruit by HPLC. J Agric Food Chem 29: 4-7. 

  27. Waters Associates (1983)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in amino acid system of operators manual of the Waters Associates. Milford MA. USA. p 37. 

  28. Yim JE, Choue RW, Kim YS (1998) Effect of dietary counseling and HMG CoA reductase inhibitor treatment on serum lipid levels in hyperlipidemic patients. Korean J Lipidology 8: 61-76. 

  29. Yim MH, Hong TG, Lee JH (2006)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fermentation and ethanol extracts of pine needles (Pinus densiflora).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15: 582-588. 

  30. Yoon JA, Hahm SW, Son YS (2009) Nutrients contents in different parts of pickly pear (Opuntia humifusa) and possible anti-breast cancer effect. Korean J Food and Nutri 22: 485- 4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