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문가 FGI를 통한 건설기술자 경력관리 방안 연구: 건설기술자 역량지수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areer Management for Construction Engineers through the Professional FGI Results: Focused on the Index of Construction Engineer's Competenc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12, 2018년, pp.432 - 443  

임지은 (인천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  박용호 (인천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창의인재개발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건설기술자 경력관리체계의 현황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안 도출을 목표로 한다. 특히, 건설기술자 경력관리의 근간을 이루는 건설기술자 역량지수(Index of Construction Engineer's Competency: ICEC)에 기초한 등급제도와 실제 업무현장에서의 능력 개발의 이슈를 중심으로 현 운영제도를 탐색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현대 경력개발의 주요 흐름과 이론적 개념들을 탐색하였다. 또한 향후 건설기술자 경력관리 방안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초점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 FGI)을 실시하였다. FGI에는 경력관리업무를 수행하는 공공기관 담당자 6명과 기업체 담당자 6명 등 총 12명이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향후 건설기술자의 경력관리와 관련하여 첫째, 신규인력의 적극적인 유인책 마련, 둘째, 현재 활용되고 있는 직무/전문분야의 제도적 보완, 셋째, ICEC의 최종 등급산정에서 현장경력의 중시, 넷째, 건설기술자 경력 평가 시 다양한 경력구성 요소의 고려, 그리고 다섯째, 특급인력의 실질적 업무 전문성 제고 등의 발전방안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한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 및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career management system for construction engineers and propose the developed future plan for the career management system. Especially, this study explores the Index of Construction Engineer's Competency(ICEC) and issues for workplace competency development whi...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FGI에는 건설기술자들의 경력관리업무와 관련된 전문가들이 참여하였다. FGI는 현재 건설기술자의 경력관리 시스템 운영실태 및 문제점에 기초하여 향후 건설기술자 경력관리 발전방향을 탐색하고자 실시되었다. FGI에는 총 12명이 참여하였는데, 건설기술자들의 경력관리업무를 수행하는 공공기관 담당자 6명과 기업체 담당자 6명이 참여하였다.
  • 현상의 자료에 기초한 기술적(descriptive) 분석을 넘어 현 제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탐색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FGI를 연구의 방법론으로 채택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건설기술자 경력관리체계에 초점을 맞추어 국내 건설기술자 경력관리제도의 현상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안 도출을 목표로 한다. 특히, 건설기술자 경력관리의 근간을 이루는 ICEC에 기초한 등급제도 및 실제 업무현장에서의 능력 개발과 관련한 논의를 중심으로 현행 운영제도에 대한 탐색과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건설기술자 경력관리체계의 현황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안 도출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특히 건설기술자들을 대상으로 한 경력관리의 기초를 이루는 건설기술자 역량지수(Index of Construction Engineer’s Competency: ICEC)에 기초하고 있는 등급제도와 실제 업무현장에서의 역량의 개발을 중심으로 현재의 운영제도를 탐색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건설기술자 인력 동향을 파악하고자 한국건설기술인협회의 ‘건설기술자 통계현황’을 토대로 2007년부터 2017년까지 건설기술자 현황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이러한 현대사회의 경력환경의 변화와 새로운 경력개념을 바탕으로 건설기술자들의 경력관리 체계를 탐색하고자 한다. 특히 실질적 업무능력 중시, 개인 주도적 경력관리, 그리고 이동을 통한 경력개발 등의 현대 경력환경의 경향이 어떻게 향후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경력관리에 적용될 수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 본 연구는 이러한 현장에 기초하여 향후 건설기술자 경력관리 방안이 어떠한 방향으로 발전을 이루어야 하는지를 모색하기 위해 해당 분야 경력관리와 관련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신규인력의 적극적인 유인책 마련, 직무/전문분야의 제도적 보완, ICEC 최종 등급산정 시 현장경력 중시, 다양한 경력구성 요소의 고려, 그리고 특급인력의 실질적 업무 전문성 제고 등이 발전방안으로 이 도출되었다.
  • 본 연구는 건설기술자 인력 동향을 파악하고자 한국건설기술인협회의 ‘건설기술자 통계현황’을 토대로 2007년부터 2017년까지 건설기술자 현황을 분석하였다. 연구시점에서 자료 확보 여부에 따라 본 연구는 2017년까지의 자료를 토대로 현황을 파악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경력을 신고한 건설기술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약 80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건설기술자들의 경력관리 방안에 대한 논의를 통해 현대 경력환경에 적합한 경력관리 방안은 탐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현대 사회에 적절한 경력관리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 FGI)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기초로 연구결과를 도출하고자 한다. 현상의 자료에 기초한 기술적(descriptive) 분석을 넘어 현 제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탐색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FGI를 연구의 방법론으로 채택하였다.
  • 이미 앞서 살펴 본 바와 같이 건설기술자들의 연령별 분석결과는 지속적으로 해당 분야의 고령화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신규인력의 유입을 통한 지속가능한 발전의 토대가 마련이 되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는 점을 FGI에 참여한 전문가들을 지적하였다. 이와 관련된 전문가들의 언급은 다음과 같다.
  • 이를 위해 특히 건설기술자들을 대상으로 한 경력관리의 기초를 이루는 건설기술자 역량지수(Index of Construction Engineer’s Competency: ICEC)에 기초하고 있는 등급제도와 실제 업무현장에서의 역량의 개발을 중심으로 현재의 운영제도를 탐색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또한 특정 직무를 대상으로 현대 사회에 적합한 경력관리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수행된 연구도 많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건설기술자들의 경력관리 방안에 대한 논의를 통해 현대 경력환경에 적합한 경력관리 방안은 탐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현대 사회에 적절한 경력관리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 FGI)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기초로 연구결과를 도출하고자 한다.
  • 경력의 신고, 신고된 경력의 평가, 그리고 평가된 경력의 활용 등이 협회나 공공기관 등의 조직의 입장 혹은 인력관리 정책의 입장에서 운영되어 온 것이 사실인데, 이러한 현행 제도에 대한 향후 발전방향 모색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앞서 이론적 배경으로 제시된 현대 사회 경력환경에서의 주요 변화를 근거로 현재의 제도를 평가하고 이후 발전방향 탐색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이러한 현대사회의 경력환경의 변화와 새로운 경력개념을 바탕으로 건설기술자들의 경력관리 체계를 탐색하고자 한다. 특히 실질적 업무능력 중시, 개인 주도적 경력관리, 그리고 이동을 통한 경력개발 등의 현대 경력환경의 경향이 어떻게 향후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경력관리에 적용될 수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현재 건설기술자들을 대상으로 한 경력관리의 경우 정부의 건설기술자들에 대한 인력관리 정책에 근거하여 운영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건설기술자 경력관리체계에 초점을 맞추어 국내 건설기술자 경력관리제도의 현상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안 도출을 목표로 한다. 특히, 건설기술자 경력관리의 근간을 이루는 ICEC에 기초한 등급제도 및 실제 업무현장에서의 능력 개발과 관련한 논의를 중심으로 현행 운영제도에 대한 탐색과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 건설기술자들의 경력관리를 위해 개인의 역량을 중심으로 한 평가와 이에 대한 활용의 강조는 학력이나 자격이 아닌 업무능력을 강조한 이전의 선행연구와 동일한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18-20]. 특히, 본 연구의 결과는 ICEC에서 가장 높은 등급인 특급인력들의 실제 업무현장에서의 능력이 제고되어야 함을 지적하고 있다. 이론적으로 논의한 학력이나 자격 중심의 경력관리가 아닌 역량기반의 경력관리의 필요성을 본 연구는 확인시켜주었다고 할 수 있다.
  • 본 연구의 결과는 이론적으로 논의한 경력환경의 변화가 실제 업무현장에 미치는 영향을 건설기술자라는 특정한 직무를 기초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현대 사회 경력환경의 변화가 실제 개인들의 경력을 관리하는 제도와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를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전문가들을 현재 사용되고 있는 직무/전문분야에 대한 수정 및 보완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는데, 이는 이미 앞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이전의 연구에서도 지적하고 있는 바이다[1][16].
  • 이러한 연구목적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현대 사회에 적절한 경력관리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 FGI)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기초로 연구결과를 도출하고자 한다. 현상의 자료에 기초한 기술적(descriptive) 분석을 넘어 현 제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탐색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FGI를 연구의 방법론으로 채택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건설기술자 경력관리체계에 초점을 맞추어 국내 건설기술자 경력관리제도의 현상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안 도출을 목표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업능력개발 정책에서 역량을 다루는 대표적인 사례는? 이러한 환경에서 조직과 개인은 업무현장에서 실질적인 업무능력을 중시하게 되었는데, 학문적 혹은 실천적으로 역량(competency)에 대한 관심의 증가는 이러한 업무능력을 강조하는 경향과 일치한다. 직업능력개발 정책에서 역량을 다루는 대표적인 사례는 국가역량체계(National Qualifications Framework: NQF) 혹은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등을 들 수 있으며, 기업을 중심으로 한 조직에서의 역량과 관련된 논의는 핵심역량(core competency), 역량(competency), 그리고 역량모델링(competency modeling) 등이 대표적이다. 우리나라에서 역량개념 활용에는 혼란이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10], 대체적으로 역량을 업무현장에서 개인이 발휘하는 실질적인 능력으로 이해하는 것에는 큰 이견은 없다.
기존 연구들이 심리적 계약에 대하여 지적하는 내용은? 개인의 노동에 대한 보상으로 조직이 어떠한 형태의 고용을 보장할 것인가의 근간이 바로 심리적 계약이다. 선행연구들은 이러한 심리적 계약이 최근 ‘조직중심’에서 ‘개인중심’으로 ‘관계적(relational) 계약’에서 ‘거래적(transactional) 계약’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11][12]. 이러한 심리적 계약의 변화와 현대사회의 경력환경의 변화는 새로운 경력개념으로 경력연구분야에서 다루어지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사례가 프로티언경력(protean career)과 무경계경력(boundaryless career)이다.
경력환경의 변화 속에서 조직중심의 안정적인 경력 관리의 경향이 점차 개인중심의 거래적인 형태로 변화하고 있는 경향과 일치하는 근거는? 경력환경의 변화 속에서 조직중심의 안정적인 경력 관리의 경향은 점차 개인중심의 거래적인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조직과 개인은 업무현장에서 실질적인 업무능력을 중시하게 되었는데, 학문적 혹은 실천적으로 역량(competency)에 대한 관심의 증가는 이러한 업무능력을 강조하는 경향과 일치한다. 직업능력개발 정책에서 역량을 다루는 대표적인 사례는 국가역량체계(National Qualifications Framework: NQF) 혹은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등을 들 수 있으며, 기업을 중심으로 한 조직에서의 역량과 관련된 논의는 핵심역량(core competency), 역량(competency), 그리고 역량모델링(competency modeling) 등이 대표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김상범, 김용비, "건설엔지니어링 기술자 표준 경력관리 효율화 방안 연구," 대학토목학회논문집, 제33권, 제3호, pp.1181-1189, 2013. 

  2. 임한진, "건설기술자의 경력관리 실태와 문제점 및 개선방안," 건설경제, 제7권, pp.18-25, 2001. 

  3. 홍성욱, 김형일, 안용선, "국내 건설기업의 리스크 관리의 실태분석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구조계, 제19권, 제5호, pp.153-160, 2003. 

  4. 이종국, "건설엔지니어의 경력개발 수요조사 분석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구조계, 제24권, 제2호, pp.121-128, 2008. 

  5. Y. Baruch and M. Peiperl, "High-flyers: Glorious Past, Gloomy Present, Any Future?," Career Development International, Vol.2, No.7, pp.354-358, 1997. 

  6. D. T. Hall, "The Protean Career: A Quarter-century Journey,"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65, No.1, pp.1-13, 2004. 

  7. S. E. Sullivan, "The Changing Nature of Careers: A Review and Research Agenda," Journal of Management, Vol.25, No.3, pp.457-484, 1999. 

  8. D. T. Hall, Careers in and out of Organizations, Sage, 2002. 

  9. M. B. Arthur and D. M. Rousseau, The Boundaryless Career: A New Employment Principle for a New Organizational Era,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10. http://homenet.kocea.or.kr/home/comm/pds/pdsLst010.do 

  11. 박용호, "역량에 대한 재탐구: 개념이해 및 활용에서의 혼동뛰어넘기," 평생교육.HRD연구, 제14권, 제3호, pp.89-113, 2018. 

  12. D. M. Rousseau, Psychological Contracts in Organizations: Understanding Written and Unwritten Agreements, Sage, 1995 

  13. A. Forrier, L. Sels, and D. Stynen, "Career Mobility at The Intersection between Agent and Structure: A Conceptual Model,"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82, No.4, pp.739-759, 2009. 

  14. D. T. Hall and D. E. Chandler, "Psychological Success: When the Career Is a Calling,"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26, No.2, pp.155-176, 2005. 

  15. J. P. Briscoe and D. T. Hall, "The Interplay of Boundaryless and Protean Careers: Combinations and Implication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69, No.1, pp.4-18, 2006. 

  16. J. P. Briscoe, D. T. Hall, and R. L. F. DeMuth, "Protean and Boundaryless Careers: An Empirical Explorat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69, No.1, pp.30-47, 2006. 

  17. 국토해양부, 건설기술인력 분류체계 개편방안, 국토해양부, 2011. 

  18. 교육부, 고용노동부, 한국형 국가역량체계 (KQF) 기본틀 설계 시안(안), 교육부, 고용노동부, 2016. 

  19. OECD,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OECD, 2005. 

  20. 나승일, "능력중심사회를 위한 자격제도의 혁신과 국가역량체계(NQF) 구축 방향," The HRD Review, 제19권, 제5호, pp.2-6,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