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FGI 분석을 통한 놀이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of Play & Education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4, 2019년, pp.165 - 173  

박혜진 (건국대학교 교수학습지원센터) ,  김용영 (건국대학교 국제비즈니스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아동을 대상으로 교육과정에 놀이를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지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놀이가 교육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제공되기 위해 필요한 요소들과 현재의 운영 현황을 토대로 놀이교육이 활성화 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놀이 전문가 및 학부모 대표 9명을 선정하여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시행하였다. FGI의 질문은 (1) 놀이 및 부모교육 지원 조직 설립과 공동운영, (2) 기존 교육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개선사항, (3) 놀이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4) 놀이교육 지원 인력에게 필요한 역량, (5) 놀이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FGI 조사를 통해 교육현장에서 아동의 긍정적인 성장발달 도모 및 체계적 프로그램 지원을 위한 놀이교육 운영 방안을 도출하였다. 교육현장에서 놀이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아동과 부모를 대상으로 교육이 진행되는 센터 설립과 동시에 놀이를 중심으로 통합적 접근이 가능하도록 운영할 필요가 있다. 또한 아동의 창의적 사고를 촉진할 수 있도록 예술 영역의 프로그램을 개발 지원될 필요성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놀이교육에 대한 구체적 목표 달성 및 질적 제고를 위한 방향으로의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a variety of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at utilize play in their curricula are supported. In this study, we are trying to draw up ways to activate play education based on the elements necessary for the play education to be effectively provided on the field and the current op...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FGI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유·초등 교육현장에서 놀이교육이 발전적인 방향으로 갈 수 있는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 놀이 전문가와 부모를 대상으로 현재의 놀이교육 관련 경험들을 바탕으로 놀이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한 다양한 의견들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놀이교육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관련 조직 내의 인력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에 대한 의견을 청취하였으며, 대표적으로 제시된 내용은 Table 6과 같다.
  •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아동에게 놀이는 학습과 발달의 여러 영역에 다양하게 기여를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놀이 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놀이교육이 교육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제공되기 위해 필요한 요소들과 현재의 운영 현황을 토대로 놀이교육이 활성화 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첫째, 놀이교육과 부모교육을 동시에 지원하는 조직이 설립·운영에 대한 견해에 대한 다수의 의견은 놀이교육을 운영하는 조직을 중심으로 학교와 교사에 대한 지원체계를 마련하고, 놀이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수 및 연구 기능이 포함되어 운영되어야 한다는 조건을 제시하였다. 또한 놀이교육과 부모교육을 동시에 지원하고자 할 경우, 놀이를 중심에 놓고 프로그램을 특화시켜 부모를 참여시킬 수 있는 방향도 제시하였다. 즉, 놀이교육과 부모교육의 역할이 각각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면서 두 가지 교육이 융·복합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놀이를 중심으로 유·초등생과 부모 대상의 교육을 통합적인 접근이 가능하도록 운영하는 방향이라고 볼 수 있다.
  • 본 연구는 놀이교육에 대한 인식과 중요성을 바탕으로 교육현장에서 놀이교육이 체계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고민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놀이교육의 운영방법 등 실제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문헌연구와 사례를 중심으로 FGI 질문지를 구성하였다.
  • 본 연구는 놀이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FGI를 실시하였다. FGI는 그룹 인터뷰로 연구대상의 생각과 의견을 알아보기 위해 동질적인 그룹을 구성하여 토론에 중점을 두거나 사회자의 안내에 따라 정해진 주제를 같이 토론하는 것이다[27].
  • 인터뷰 전 질문지 배포를 위해 FGI 문항을 연구 참여자에게 이메일을 보내어 질문의 방향에 대해 안내하였다. 본 연구에서 FGI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연구자 K가 사회를 맡아 인터뷰의 목적을 설명하였다. 또한 사전에 배포된 질문지의 순서대로 하위 목적에 맞게 배경을 인지시켰으며, 인터뷰 중간에 내용을 요약하고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놀이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놀이 전문가 및 학부모 대표를 선정하여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시행하였다. FGI 방법은 조사목적과 관련된 유용한 정보를 얻거나 설문조사를 통해 기대하지 못한 결과를 발견하는 데 있다[27].
  •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가정에서 부모와 아동의 놀이 참여 시간, 놀이를 대하는 태도, 부모가 아동의 놀이에 참여했을 때 아동에게 나타나는 효과성 등에 국한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놀이를 매개로 부모와 자녀가 함께 참여할 수 있는 놀이교육을 지원하고자 하는 조직에 대한 설립 및 놀이교육에 대한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오늘날 교육현장에서 아동의 인지적·정서적 성장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으로 놀이를 인식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놀이 몰입이 잘 이루어지는 특성 4가지는? 이러한 경험을 놀이 몰입이라고하는데, 놀이 몰입이 잘 이루어지는 특성은 다음과 같다[4]. 첫째, 놀이 구성원의 동일한 목적이 있어야 한다는 ‘목적성’이 전제되어야 한다. 둘째, 이야기 구성능력과 문제해결 능력 등 ‘인지능력의 유능성’이 발휘되어야 한다.셋째, 아동의 경험과 관련이 있어야 한다는 ‘관련성’이 제시되어야 한다. 넷째, 또래의 긍정적인 반응과 관련이 있어야 한다는 ‘반응성’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아동의 놀이는 자기목적성을 추구하며, 능동적인 경험을 통해 성장발달을 촉진하게 되어 몰입이 가능한 활동이라고할 수 있다.
학습경험이란? 즉, 아동의놀이는 다양한 학습경험을 창출할 수 있게 되는 수단이될 수 있다. 학습경험(learning experience)이란, 일정하게 고정된 교과영역의 학습뿐만 아니라 생활 속의 경험까지 포함되는 것으로 단순한 경험이 아닌 발전적으로연속되거나 현실적 생활에 깊이 관련을 맺고 있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아동에게 놀이란 다양한 영역에서의 확장과 외부 세계를 통합해 나갈 수 있는 요소로활용될 수 있다.
아동이 진정으로 놀이를 통해 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해 해야할 것은? 유·초등 대상의 교육기관에서 대부분의 학습은 놀이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아동이 진정으로 놀이를 통해 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적극적·능동적으로 놀이에 참여하여 의미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3]. 아동에게 놀이는 삶과 환경에서 적극적인 상호작용활동이며, 놀이를 통해 오랜 시간동안 관심 대상에 몰두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S. S. Shin. (2008). An Analysis on the Young Children's Communication Strategies, Social Behavior, and Problem-Solving Ability with the Types of Play. Doctoral S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usan. 

  2. Sutton-Smith, B.(1986). The Spirit of Play. In G. Fein & M. Rivkin(Eds.), The Young Child at Play. Reviews of research, 4, 3-16. Washington, DC: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3. E. S. Na. (201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Play Flow Scale for Young Children. Journal of Children's Literature and Education, 14(4), 589-608. 

  4. E. S. Na, S. J. Han. (2011). The Study of the Context of Flow in Young Children's free-choice Activities.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15(1), 61-78. 

  5. Y. H. Ha. (2005). The Analysis of Young Children's Play Behaviors in Daycare Center. Doctoral dissertation. Dong-A University, Pusan. 

  6. M. S. Kim, H. R. Cho, Y. L. Park, H. Y. Shin. (2013). The Study of Parents and Children Regarding Play : Focused on Parental Play Beliefs and Play Participation. Journal of Parent Education, 5(1), 37-54. 

  7. Smilansky, S. & Shefataya, L. (1990). Facilitating Play: A Medium for Promoting Cognitive, Social, and Academic Development in Young Children. Gaithersburg, MD. Psychology and Educational Publication. 

  8. Benson, T. R. (1994). Needed: Playleaders - The Adult's Role in Children's Play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ice No. ED 371-843. 

  9. L. Kim & S. Lee. (2018). A Delphi Study of Item Development of a Play Participation Attitude Scale for Parents of Preschoolers, Korean Journal of Play Therapy, 21(3), 379-397. 

  10. Y. Song & H. Kim. (2004). An Assessment Model of Parent-Child Interaction in Free Play Situation, Korean Journal of Play Therapy, 6(1), 29-44. 

  11. Snarey, J. (1993). How Fathers Care for the Next Generation: A Four Decade Study.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2. S. R. Choi. (2005). Play and Children's Development. Gyeonggi: Yangseowon. 

  13. Chafel, J. A. (1991). The Play of Children: Developmental Processes and Policy Implications. Child & Youth Care Forum, 20(2), 115-132. 

  14. Isenberg, J. P., & Quisenberry, N. (2002). Play: Essential for All Children. A Position Paper of the Association for Childhood Education International. Childhood Education, 79(1), 33-39. 

  15. Huizinga, J. (1955). Homo Ludens A Study of the Play-Element in Culture. Beacon Press. Boston. 

  16. H. S. Seo. (2008). The Analytical Exploration of the Concept of Play and It's Educational Values. Doctoral dissertation. Keimyun University, Daegu. 

  17. Goodman, J. F. (1994). "Work" Versus "Play" and Early Childhood Care. Child & Youth Care Forum, 23(3), 177-196. 

  18. King, N. R. (1979). Children's Conception Soft Their Own Play.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58, 81-85. 

  19. Piaget, J. (1962). Play, Dreams and Imitation in Children. New York: Norton. 

  20. Vygotsky, Lev S. (1978).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Edited by Cole, Michael, John-Steiner, Vera, Scribner, Sylvia, and Souberman, Elle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21. Bruner, J. (1972). The Nature and Uses of Immaturity. American Psychologist, 27, 687-708. 

  22. Connolly, J. & Doyle, A. (1984). Relation of Social Fantasy Play to Social Competence in Preschoolers. Developmental Psychology, 20, 797-806. 

  23. Seefeldt, C. (1980). A Curriculum for Preschool. Columbus, Ohio: Bell & Howell. 

  24. Bruner, J. (1983). Play, Thought, and Language. Peabody Journal of Education, 60(3), 60-69. 

  25. J. A. Eom. (2004). Kindergarten Teachers' Awareness of the Connection Between Play and Curriculum versus the Manifestation of that Connection in Classrooms.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4(1), 145-165. 

  26. Ministry of Education. (1998). Commentary on the 6th Kindergarten Curriculum. Seoul: Ministry of Education. 

  27. Krueger, R. A.(1988), Focus Groups: A Practical Guide for Applied Research, Newbury Park, CA: Sage. 

  28. Krueger, R, Casey, M. (2000). Focus Groups. Sage Publications, London. 

  29. Morgan, D.L.(1997), The Focus Group Guidebook, Thousand Oaks, CA: Saage. 

  30. Damast, A. M., Tamis-LeMonda, C & S., Bornstein, M. H. (1996). Mother-Child Play: Sequential Interactions and Relation Between Maternal Beliefs and Behaviors. Child Development, 67, 1752-1766. 

  31. Wholey, J. S. & Hatry, H. P. (1992). The Case for Performance Monitoring.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52(6), 604-610. 

  32. H. Jung. (2008). The Categories and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Play: Focused on Freinet's 'Play-Work'.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 College of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 39(1), 1-17. 

  33. Y. J. Jo & J. H. Bae. (2015). A Qualitative Study on the Teachers' Training Based on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n Gyeonggi Province.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32(2), 33-65. 

  34. Szekely, G.(1997). The Art Educator as Artist: Goerge Szekely's New Art. Art Education, 50(1), 29-32. 

  35. Johnson, J., Christie, J., Yawkey, T. (1999). Play and early childhood development(2nd ed.). New York: Longman. 

  36. Bredekamp, S., Copple, C. (1997).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in early childhood program. Washington, DC: NAEYC. 

  37. S. J. Park, S. W. Han. (2015).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ity, Play Preference and Particip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6(4), 703-720. 

  38. Husain, S. A., & Cantwell, D. P. (1991). Fundamentals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opathology.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ress. 

  39. Schaefer, C. E., & Drewes, A. A. (2014). The therapeutic powers of change: 20 core agents of change. New Jersey: Wiley. 

  40. Ray, D., Bratton, S., Rhine, T. & John, L. (2001). The effectiveness of play therapy: Responding to the critics. International Journal of Play Therapy, 10(1), 85-108. 

  41. Kirkpatrick, D. L. (2006). Seven Keys to Unlock the Four Levels of Evaluation. Performance Improvement, 45(7), 5-8. 

  42. Dewey, J. (1977). How we thinking. Boston: D.C Health and Compan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