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통행시간 변화의 요인분석: 생활시간조사자료를 중심으로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ravel Time Change Using the Time Use Survey Data in Seoul 원문보기

韓國ITS學會 論文誌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17 no.1, 2018년, pp.1 - 16  

구자헌 (홍익대학교 도시계획과) ,  추상호 (홍익대학교 건설도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생활패턴의 변화는 통행의 목적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통행패턴의 변화를 야기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1999년부터 2014년까지 통계청에서 조사한 생활시간조사자료를 활용하여 연도별 통행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가구관련, 개인관련, 시간관련 변수들을 고려한 통행시간에 관한 다중선형회귀모형을 구축하였으며, 요일별 차이를 보기위해 주중과 주말을 분리하여 추정하였다. 모형 추정 결과, 가구관련, 개인관련, 시간관련 변수가 통행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구관련변수의 경우 개인관련변수에 비해 비교적 적은 변수들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통행이 개인특성에 더 큰 영향을 받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각 활동시간들은 통행시간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통행이 파생수요임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여가활동시간이 가장 큰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도출되어, 여가를 위한 통행시간이 타활동에 비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anges in the life style might vary trip purposes, ultimately leading to the change in the travel behavior.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ravel time change by using the time use survey data in Seoul, surveyed by the Statistics Korea in 1999~2014. We developed multiple linea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통행시간에 대한 가구 및 개인 관련변수들의 상관성 분석 및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통행시간에 대한 가구 및 개인 관련변수들의 상관성 분석 및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가구관련변수(주택종류, 입주형태, 주거전용면적)에 비해 개인관련변수(성별, 연령, 혼인상태, 교육정도, 경제활동여부, 종사상 지위, 월평균소득)가 통행시간과 더욱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통행은 가구특성보다는 개인특성에 의한 영향이 더욱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통행시간에 관한 다수의 연구가 수행되는 이유는? 여러 통행특성 중 통행시간은 중요한 특성 중 하나이다. 통행시간은 교통수단 및 교통시설의 효과판단의 척도로 사용이 되며, 수단 및 경로선택에 있어 큰 영향을 미친다. 이에 따라 통행시간에 관한 다수의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나, 대부분 통행시간의 예측을 위한 모형 구축을 목적으로 수행되고 있거나, 전체 통행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닌 통근통행만을 대상으로 통행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있다.
전체 생활의 패턴을 변화시키는 요인은? 기술 발달에 따른 교통수단의 발전, 전반적인 소득 향상에 따른 삶의 질 향상 등은 전체 생활의 패턴을 변화시키고 있다. 교통수단의 발전은 통행속도를 증가시켜 통행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가져와, 시간 및 공간의 한계를 완화하여 다양한 목적지가 발생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asner M., Fomberstein K. M., Razavi F. M., Banks S., William J. H., Rosa R. R. and Dinges D. F.(2007), "American Time Use Survey: Sleep TIme and Its Relationship to Working Activities," Sleep, vol. 30, no.9, pp.1085-1095. 

  2. Bin M. Y.(2011), "Factors Influencing Commuting Time to Work for the Simple Linkage Trave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29, no, 4, pp.29-41. 

  3. Chae H. Y., Kim J. H. and Lee K. Y.(2011), "A Typology of Early Elderly Over 55 Years Using The Korean Time Use Survey from 2009,"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vol. 15, no. 2, pp.129-146. 

  4. Choi S. T., Kim S. J., Jang J. Y., Lee H. S. and Choo S. H.(2015), "A Study on the Key Factors Affecting Travel Time Budget for Elderly Pedestrians,"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vol. 14, no. 4, pp.62-72. 

  5. Choo S. H. and Na S. W.(2011), "Exploring Characteristics on Travel Time Budget : A Case Study of Seoul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vol. 24, no. 2, pp.3-22. 

  6. Choo S. H.(2008), "Analysis of Travel Behavior of Elderly People : A Case of Daejeon," Journal of Transport Research, vol. 15, no. 2, pp.59-72. 

  7. Choo S. H.(2012), "Analysing Weekend Travel Characteristics in Seoul,"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vol. 11, no. 3, pp.92-101. 

  8. Fan Y. Khattak A.(2012), "Time Use Patterns, Lifestyles, and Sustainability of Nonwork Travel Behavior," International Journal of Sustainable Transportation, vol. 6, no. 1, pp.26-47. 

  9. Gerike R., Gehlert T. and Leisch F.(2015), "Time Use in Travel Surveys and Time Use Surveys - Two Sides of the Same Coin?,"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Vol. 76, pp.4-24. 

  10. Gyeonggi Transport Information, http://gits.gg.go.kr/,2018.01.02. 

  11. Ironmonger D. and Norman P.(2007), Travel Behavior of Women, Men and Children : What Changes and What Stays the Same?, IATUR 29th Annual Conference. 

  12. Joly I.(2004), The Link Between Travel Time Budget and Speed : A Key Relationship for Urban Space-Time Dynamics, European Transport Conference 2004. 

  13. Kim S. J., Lee M. J. and Choi S. B.(2012), "Topography on Leisure Activities in Korean Society : Focus on Analysis of Leisure Activity Types on Weekdays and Holidays," Journal of Leisure Studies, vol. 10, no. 2, pp.55-85. 

  14. Kim S. J., Lim S. Y., Choi S. T., Choo S. H. and Ahn W. Y.(2016), "Identification of Key Factors of Travel Time Budget by Mode in Seoul : Using 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 Model,"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vol. 15, no. 3, pp.23-33. 

  15. Koo J. H.(2018),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 of Travel Time According to Change of Activity Time," Hongik University, Seoul. 

  16. 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http://kosis.kr/,2018.01.02. 

  17. Lee J. H.(2005), "Internet, Traditional Media, and Time-Use Pattern : Proposal of a Time Reallocation Hypothesis,"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vol. 49, no. 2, pp.224-254. 

  18. Lee J. W.(2004), "Interpretation of Interrelation among Household Head's Activity Participation, Travel Time, and Trip Chaining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 39, no. 2, pp.143-157. 

  19. Levinson D. and Kumar A.(1995), "Activity, Travel, and the Allocation of Time,"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vol. 61, no. 4, pp.458-470. 

  20. Ministry of Culture, Sport and Tourism(2013), A White Paper on Leisure, pp.3-72. 

  21. Ministry of Culture, Sport and Tourism(2016), Survey on National Leisure Activity, p.108. 

  22. Ministry of Labor(2007), Report on Wage Structure Survey, pp.36-656. 

  23. Raux C., Ma T. Y., Joly I., Kaufmann V., Cornelis E. and Ovtracht N.(2011), "Travel and Activity Time Allocation : An Empirical Comparison Between Eight Cities in Europe," Transport Policy, vol. 18, pp.401-412. 

  24. Schafer A. and Victor D. G.(2000), "The Future Mobility of the World Population",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pp.171-205. 

  25. Son M. G.(2010), "The Gender Difference of Travel Behavior in the Seoul Metropolitan City : Analysis of Time Use Survey," Journal of The Population Association of Korea, vol.33, no.1, pp.1-25. 

  26. Statistics Korea, Future Population Estimate: 2015-2065, 2018, pp.4-22. 

  27.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2014), 2011, 2012 Traffic Congestion Cost: Estimation and Trend Analysis, pp.49-81. 

  28. Zahavi Y.(1979), The 'UTOM' Project, Prepared for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Washington, DC and Ministry of Transport, Federal Republic of Germany, Bonn, pp.1-2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