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스마트도시란 도시의 경쟁력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건설 정보통신기술 등을 융 복합하여 건설된 도시에 다양한 도시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속가능한 도시이다. 본 기고에서는 국 내외 스마트도시 추진동향과 지방자치단체의 스마트도시 조직을 분석하여 지속가능한 스마트도시 구현을 위해 지방자치단체의 스마트도시 조직체계 추진방향을 기술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mart City is a sustainable city that provides a variety of city services to cities that are built with a mix of constructi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etc.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and quality of life of the city. In this paper, we analyze trends of domestic and foreign s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 스마트도시 추진동향 통해 국내지방자치단체 스마트도시 조직체계 문제점을 분석하고 향후개선 필요성을 제시한다.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도시와 관련된 국·내외 추진동향과 국내 지자체의 정보화 및 스마트도시 조직체계 분석을 하였다.
  • 스페인 바르셀로나는 도시의 정보기술 통합, 다른 지역과의 연계, 시너지 효과 및 부가가치 창출, 지식협력 등을 비전으로 설정하고 도시정보 공유를 통해 도시 관리 및 공공서비스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오픈데이터’를 적극 개방하여 민간의 창조적인 서비스 개발을 적극 유도하여 시민체감형 스마트도시를 구현하고자 한다.
  • 특히, 국가 시범도시는 부산에 코델타시티와 세종 5-1 생활권을 최초의 시범도시로 선정하여 백지상태에서 신기술 테스트베드, 도시문제해결, 혁신 산업생태계 조성을 담을 수 있도록 진행할 예정이다. 여기에 분야별로 단절되어 있는 도시 데이터를 상호 연계하여 빅데이터로 통합ㆍ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허브 모델구현과 도시계획 초기부터 민간기업이 창의적인 비즈니스모델을 가지고 참여하여 시민과 민간기업의 참여를 확대하여 활성화 하고자 한다.
  • 특히 ‘오픈데이터’를 적극 개방하여 민간의 창조적인 서비스 개발을 적극 유도하여 시민체감형 스마트도시를 구현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도시란? 스마트도시란 도시의 경쟁력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건설 정보통신기술 등을 융 복합하여 건설된 도시에 다양한 도시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속가능한 도시이다. 본 기고에서는 국 내외 스마트도시 추진동향과 지방자치단체의 스마트도시 조직을 분석하여 지속가능한 스마트도시 구현을 위해 지방자치단체의 스마트도시 조직체계 추진방향을 기술하고자 한다.
스마트도시는 어떻게 교통, 에너지, 범죄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가? 기존 도시가 교통, 에너지, 범죄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도로나 발전소를 건설하고 경찰력을 확대했다면, 스마트도시에서는 우회도로 정보를 제공하고 CCTV 모니터링, 실시간 전기요금 정보를 제공하는 등 첨단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도시기반시설의 효율성을 증진시켜 문제를 해결한다. 영국 시장 조사기관인 주니퍼 리서치는 시민이 스마트도시에서 생활하면 모빌리티·공공안전·생산성·헬스케어 부문에서 매년 125시간을 절약할 것으로 분석했다(Juniper Research, 2018).
어떤 문제의 해결책으로 스마트도시가 각광받고 있는가? 전 세계적으로 도시화에 따른 자원 및 인프라, 에너지 부족, 기후 변화, 교통 혼잡 등 각종 도시 문제가 점차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유엔 보고서 “World Urbanization Prospects(2014)”에 따르면 2014년 세계 인구의 54%는 도시에서 생활하며, 2050년에는 세계 인구의 약 70%가 도시에서 생활할 것으로 예측한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도시경쟁력 및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속가능한 도시모델로 스마트도시가 각광받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Juniper Research (2018). "Smart Cities-What's in it for citizens. Report. pp. 2-7. 

  2. United Nations (2014). "World Urbanization Prospects", The United Nations. pp. 1-32. 

  3. 국토교통부 (2017). "2017 도시업무편람". pp. 211-214. 

  4. 스마트도시법 (2018). "스마트도시 조성 및 산업진흥 등에 관한 법률 제2조 1항". 스마트도시법 법률 제14569호. 

  5. 스마트도시협회 (2018), "스마트도시란". Website URL: http:// smartcity.or.kr/ucity/background.php. 

  6. 4차산업위원회 (2018). "도시혁신 및 미래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스마트도시 추진전략", pp. 1-36. 

  7. 조희진, 장용석, 정명은 (2016). "광역자치단체 정보화 조직 역량 분석과 발전모델 제안", 정보화정책 논문집. 23(3): pp. 84-115. 

  8.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8). "세계 선도형 스마트시티 연구개발 사업". 스마트시티 예비타당성 조사 보고서, pp. 63-87. 

  9. 한국지역정보개발원 (2017). "2017 지역정보화 백서 부록 1". pp. 16-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