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acillus toyonensis CAB12243-2 균주를 이용한 배추 무름병의 생물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using Bacillus toyonensis Strain CAB12243-2 against Soft Rot on Chinese Cabbage 원문보기

韓國有機農業學會誌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v.26 no.1, 2018년, pp.129 - 140  

김병련 (충청남도농업기술원 친환경농업과) ,  박명수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  한광섭 (충청남도농업기술원 친환경농업과) ,  함수상 (충청남도농업기술원 친환경농업과) ,  박인희 (충청남도농업기술원 친환경농업과) ,  송재경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은 배추를 포함한 대부분의 채소작물에 강한 병원성을 나타낸다. 포장 방제 효과 검정을 통하여 배추 무름병 억제인자로 선발된 CAB12243-2 균주는 16S rRNA gene의 염기서열 상동성 분석으로 Bacillus toyonensis로 확인되었다. B. toyonensis CAB12243-2 균주는 무름병균의 펙틴분해 작용을 억제하였고 탄소원으로 glucose와 trehalose를 이용하였다. 또한 이 균주는 '노랑봄' 품종으로 봄배추 재배 시 73%, '불암3호' 품종으로 가을배추 재배 시 68.9%의 포장 방제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B. toyonensis CAB12243-2 균주는 채소류의 무름병에 대한 효과적인 생물적 방제제로 활용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 was found to be highly virulent to various vegetables, including Chinese cabbage. The antibacterial isolate CAB12243-2 was tested in a field bioassay for suppressing soft rot disease. The nucleotide sequencing of the 16S rRNA gene identified, the CAB1224...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배추 무름병 발병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미생물을 분리, 선발하여 특성을 검정하고 포장에서의 미생물 처리방법, 생물적 방제 효과 등에 대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 (기탁번호 KACC92027)로 기탁하였고, 배추 무름병 방제제 Bacillus sp.로 특허등록(제10-1765304) 하였으나 본 논문을 통하여 B. toyonensis로 명명하고자 한다(Fig. 2). B.
  • 무름병 억제 미생물은 병원균에 대한 항세균 활성과 함께 무름병의 발병 기작을 억제할 수 있는 균주의 선발을 목표로 수행하였다. Pectate lyase는 식물 병원균이 체외로 분비하는 병원성 결정인자이며, 이 효소의 생산 여부와 양에 따라 병원성의 강약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Zucker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배추 무름병에 관여하는 병원세균의 특성은? 배추 무름병에 관여하는 병원세균은 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으로 보고(KSPP, 2009)되어 있고, 경작지뿐만 아니라 비경작지 토양에도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으며(Kikumoto, 2000), pectate lyase라는 효소를 생산하여 식물체의 세포벽을 붕괴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Toth et al, 2003). 배추 무름병의 평균 발병률은 전국적으로 8%에 달하고, 2014년 총 피해액은 640억원 이상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 되며(RDA, 2016), 2014년 강원도의 배추 재배 농가의 평균 무름병 발병주율은 17.
국내의 배추와 무의 무름병 평균 발병률은 어느정도인가? carotovorum으로 보고(KSPP, 2009)되어 있고, 경작지뿐만 아니라 비경작지 토양에도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으며(Kikumoto, 2000), pectate lyase라는 효소를 생산하여 식물체의 세포벽을 붕괴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Toth et al, 2003). 배추 무름병의 평균 발병률은 전국적으로 8%에 달하고, 2014년 총 피해액은 640억원 이상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 되며(RDA, 2016), 2014년 강원도의 배추 재배 농가의 평균 무름병 발병주율은 17.3%로 조사되었다(Lee et al., 2015).
최근 농업환경에서 사용되는 항생제 내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큰 이유는? , 2015). 특히 P. atrosepticum과 P. carotovorum그룹은 유전자 전이 요소의 영향으로 다양한 항생제 저항성을 획득하게 되고(Panda et al., 2016), 무름병을 일으키는 Pentobacterium과 Dickeya속 균들은 세포 표면 구성물인 지질다당체 (lipopolysaccharides)를 변화시켜 항균성 펩타이드에 저항성을 발현하기 때문에(Pandin et al., 2016) 배추 무름병 방제를 위하여 농용항생제를 장기적으로 사용할 경우 항생제 내성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Chang, Q., W. Wang, G. Regev-Yochay, M. Lipsitch, and W. P. Hanage. 2015. Antibiotics in agriculture and the risk to human health: how worried should we be?. Evolutionary Applications 8: 240-247. 

  2. Chen, W. C., H. J. Hsieh, and T. C. Tseng. 1998.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pectin lyase from Pythium splendens infected cucumber fruits. Bot. Bull. Acad. Sin. 39: 181-186. 

  3. Choi, C., M. G. Kim, I. P. Ahn, S. R. Park, S. C. Bae, and D. J. Hwang. 2010. Selection of a susceptible line (susceptible to Pectobacterium 1, Atstp1) to soft-rot disease in T-DNA insertion mutants pool of Arabidopsis. Res. Plant Dis. 16: 312-315. 

  4. Chung, E. K., X. Z. Zhang, Y. R. Yeoung, and B. S. Kim. 2003. Screening of effective control agents against bacterial soft rot on Chinese cabbage in alpine area. Korean J. Pesticide Science 7: 32-37. 

  5. Frank, J. A., C. I. Reich, S. Sharma, J. S. Weisbaum, B. A. Wilson, and G. J. Olsen. 2008. Critical evaluation of two primers commonly used for amplification of bacterial 16S rRNA genes. Appl. Environ. Microbiol. 74: 2461-2470. 

  6. Hildebrand, D. C., M. N. Schroth, and D. C. Sands. 1988. Identification Schemes: Laboratory Guide for Identification of Plant Pathogenic Bacteria 2nd edition, ed. by N. W. Schaad, APS Press, USA. p.61. 

  7. Jimenez, G., M. Urdiain, A. Cifuentes, A. Lopez-Lopez, A. R. Blanch, J. Tamames, P. Kampfer, A. B. Kolsto, D. Ramon, J. F. Martinez, F. M. Codoner, and R. Rossello-Mora. 2013. Description of Bacillus toyonensis sp. nov., a novel species of the Bacillus cereus group, and pairwise genome comparisons of the species of the group by means of ANI calculations. Sys. Appl. Microbiol. 36: 383-391. 

  8. Kantas, D., V. G. Papatsiros, P. D. Tassis, I. Giavasis, P. Bouki, E. D. Tzika. 2015. A feed additive containing Bacillus toyonensis (Toyocerin(R)) protects against enteric pathogens in postweaning piglets. J. Appl. Biol. 118: 727-738. 

  9. Kikumoto, T. 2000. Ecology and biocontrol of soft rot of Chinese cabbage. J. Gen. Plant Pathol. 66: 275-277. 

  10.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 (KCPA). 2017. 2017 Agrochemicals Use Guide Book. pp. 1531-1532. 

  11. Kwon Y. H., A. Y. Yoo, J. E. Yu, and H. Y. Kang. 2009.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lant pathogen that caused soft rot disease in Napa cabbage. J. of Life Sci. 19: 1177-1182. 

  12. Kyeremeh, A. G., T. Kikumoto, D. Y. Chuang, Y. Gunji, Y. Takahara, and Y. Ehara. 2000. Biological control of soft rot of chinese cabbage using single and mixed treatments of bacteriocin-producing avirulent mutants of 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 J. Gen. Plant Pathol. 66: 264-268. 

  13. Lee, Y. K., E. H. Lee, I. S. Myung, H. W. Choi, Y. G. Lee, and H. S. Shim. 2015. Occurrence of soft rot on Chinese cabbage and characters of related phytopathogenic bacteria. Proceeding of Korean Society of Pesticide Science p. 176 (abstract). 

  14. McKenna, M. 2013. Antibiotic resistance: The last resort. Nature 499: 394-396. 

  15.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2016. The Numerical Statement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pp. 308-309. 

  16. Panda, P., B. R. Vanga, A. Lu, M. Fiers, P. C. Fineran, R. Butler, K. Armstrong, C. W. Ronson, and A. R. Pitman. 2016. Pectobacterium atrosepticum and Pectobacterium carotovorum harbor distinct, independently acquired integrative and conjugative elements encoding coronafacic acid that enhance virulence on potato stems. Frontiers in Microbiol. 7: 1-13. 

  17. Pandin, C., M. Caroff, and G. Condeminea. 2016. Antimicrobial peptide resistance genes in the plant pathogen Dickeya dadantii. Appl. Environ. Microbiol. 82: 6423-6430. 

  18.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16. Damage assessment for nine main crops by degree of outbreak in disease and insect. pp. 114-127. 

  19. Santos, F. D. S., Y. A. Menegon, R. E. A. Piraine, P. R. C. Rodrigues, R. C. Cunha, and F. P. Leivas Leite. 2017. Bacillus toyonensis improves immune response in the mice vaccinated with recombinant antigen of bovine herpesvirus type 5. Beneficial Microbes doi.org/10.3920/BM2017.0021. 

  20. Shrestha, A., E. C. Kim, C. K. Lim, S. Cho, H. H. Jang, and D. H. Park. 2009. Biological control of soft rot on chinese cabbage using beneficial bacterial agents in greenhouse and field. Korean J. Pesticide Sci. 13: 325-331. 

  21. Statistics Korea. 2017. Crop Production in 2016. pp. 74-81. 

  22. Tallur, P. N., D. B. Sajjan, S. I. Mulla, M. P. Talwar, A. Pragasam, V. M. Nayak, H. Z. Ninnekar, and S. S. Bhat. 2016. Characterization of antibiotic resistant and enzyme producing bacterial strains isolated from the Arabian Sea. 3 Biotech doi.org/10.1007/s13205-015-0332-3 

  23. Tamura, K., G. Stecher, D. Peterson, A. Filipski, and S. Kumar. 2013. MEGA6: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version 6.0. Mol. Biol. Evol. 30: 2725-2729. 

  24. The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KSPP). 2009. List of Plant Disease in Korea. 5th ed. The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Suwon, Korea. p. 106. 

  25. Togashi, J., K. Ueda, and T. Namai. 2001. Overwintering of 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 in diseased tissues in soil and its role as inoculum for soft rot of Chinese cabbage (Brassica campestris, Pekinensis group). J. Gen. Plant Pathol. 67: 45-50 

  26. Toth, I. K. and P. R. J. Birch. 2005. Rotting softy and stealthily", Current Opinion in Plant Biol. 8: 424-429. 

  27. Toth, I. K., K. S. Bell, M. C. Holeva, and P. R. J. Birch. 2003. Soft ot erwiniae: from genes to genomes. Mol. Plant Pathol. 4: 17-30 

  28. Tournas, V. H. 2005. Spoilage of vegetable crops by bacteria and fungi and related health hazard. Critical Rev. in Microbiol. 31: 33-44. 

  29. Tsuda, K., G. Tsuji, M. Higashiyama, H. Ogiyama, K. Umemura, M. Mitomi, Y. Kubo, and Y. Kosaka. 2016. Biological control of bacterial soft rot in Chinese cabbage by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 BY under field conditions. Biological Control 100: 63-69. 

  30. Zhao, Y., P. Li, K. Huang, Y. Wang, H. Hu, and Y. Sun. 2013. Control of postharvest soft rot caused by Erwinia carotovora of vegetables by a strain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and its potential modes of action. World J. Microbiol. Biotech. 29: 411-420. 

  31. Zucker, M. and L. Hankin. 1971. Inducible pectate lyase synthesis and phytopathogenicity of Pseudomonas fluorescens. Canadian J. Microbiol. 17: 1313-131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