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전공자 예비교사의 컴퓨팅 사고력 함양을 위한 프로그래밍 교육의 효과성 분석
Analysis of Effectiveness of Programming Learning for Non-science Major Preliminary Teachers' Development of Computational Thinking 원문보기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22 no.1, 2018년, pp.41 - 52  

한영신 (인하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컴퓨팅 사고력은 디지털 사회에서 핵심 인재로 성장하기 위한 기초 학습 능력으로서 강조되고 있다. 국가적으로 컴퓨팅 교육에 대해 많은 관심과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우리 정부도 컴퓨팅 교육을 교육과정에 포함시켰다. 이 같은 변화에 따라 예비교사들이 갖추어야 하는 컴퓨터 활용 능력의 수준이 높아지고, 디지털 사회에 맞추어 컴퓨팅 사고력 지도자로서의 역할이 교사들에게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예비 교사 양성 교육과정에서 부터의 다양한 프로그래밍 학습을 통해 컴퓨팅 사고력을 이해할 수 있는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비전공자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한 프로그래밍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교육을 진행하였으며, 개발한 설문 도구를 통해 비전공자 예비교사의 컴퓨팅 사고력 함양에 대한 프로그래밍 교육의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Computational thinking is emphasized as a basic learning ability to grow into a key talent in the digital society. There is much interest and discussion on computing education nationally, and the Korean government has also included education in the curriculum. As a result of these changes, the 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전공자 예비교사가 프로그래밍에 대한 긍적적인 태도를 형성하기 위해 비전공자가 프로그래밍 교육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어려움을 고려하여 프로그래밍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 본 연구는 비전공자 예비교사의 컴퓨팅 사고력 함양을 위한 프로그래밍 교육의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비전공자 예비교사의 컴퓨팅 사고력 함양을 위해 프로그래밍 교육과정 설계 및 설문도구를 개발하였다.
  • 본 연구는 비전공자 예비교사의 컴퓨팅 사고력 함양을 위한 프로그래밍 교육의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비전공자 예비교사의 컴퓨팅 사고력 함양을 위해 프로그래밍 교육과정 설계 및 설문도구를 개발하였다. 설계된 프로그래밍 교육과정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래밍 언어는 스크래치(scratch)와 파이썬(python)이며, 비전공자가 프로그래밍 교육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어려움을 고려하여 설계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비전공자 예비교사의 컴퓨팅 사고력에 대해 프로그래밍 교육의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프로그래밍 교육과정은 비전공자가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겪을 수 있는 어려움을 고려하여 설계되었으며, 프로그래밍 언어로는 스크래치와 파이썬을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사범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프로그래밍 학습 전-후의 컴퓨팅 사고력과 프로그래밍 학습에 대한 인식 및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해 설문 도구를 개발하여 검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스크래치를 이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을 통해 비전공자 예비교사의 인지적 부담을 줄이고, 컴퓨팅 사고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 비전공자들은 주로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 학습 , 프로그래밍에 대한 생소함, 전공과 무관함 등을 어려움으로 언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프로그래밍의 기본 문법을 기초부터 학습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교육과정을 설계하였다. 또한 프로그래밍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높이기 위해 전공과 관련된 문제 해결과 풀이를 위주로 교육을 지도하였다.

가설 설정

  • Interest - Learning programming can be very dull.
  • Multiple Processes - Programming is not only more than a single skill. it also involves more than one distinct process.
  • ∙ Multiple Skills – programming is not a single skill.
  • Reputation and Image - Programming courses acquire the reputation of being difficult.
  • The Language - Languages designed for serious use by serious programmers are hardly suitable for the novice.∙ Education Novelty - Programming is a new subject for many of the students who take programming course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컴퓨팅 교육은 어떻게 실시되고 있는가? 전 세계적으로 컴퓨팅 교육에 대한 많은 관심과 논의가있어왔다. 미국이나 영국, 이스라엘, 유럽 등 해외 여러 나라는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을 기르기 위해 초등학교 저학년부터 소프트웨어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4], 이에 우리 정부도 컴퓨팅 사고력을 교육과정에 반영하기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소프트웨어 교육을 포함시켰다[13].
컴퓨팅 사고력이란? 컴퓨팅 사고력(Computational Thinking, CT)이란 컴퓨팅의 기본적인 개념과 원리를 기반으로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는 사고 능력이다[16].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의 종류로는 무엇이 있는가?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는 컴퓨터 과학뿐만 아니라 수학이나 과학과 같은 다양한 교과에서 활용되고 있는 교수학습 도구이다[2]. 대표적인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의 종류에는 엔트리(Entry), 앨리스(Alice), 로고(Logo), 스크래치(Scratch)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GyeongMi Ahn (2010). The Effect of the Programming Education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arning-Flow and programming ability.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2. HakJin Bae, EunKyoung Lee, & YoungJun Lee (2009). A Problem Based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Scratch Programming Educ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2(3), 11-22. 

  3. HuiSeon Jang (2013). Impact analysis on Netlogo programming advantage of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ability.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Ajou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4. International Society for Technology in Education & Computer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2011). CSTA K-12 Computer Science Standards Revised 2011. 

  5. Jenkins, Tony (2002). On the difficulty of learning to program. Proceedings of the 3rd Annual Conference of the LTSN Centre for Information and Computer Sciences, 4(2002). 

  6. JeongWon Choi, & YoungJun Lee (2014). The Design of Method for Evaluating Computational Thinking. In Proceedings of Korean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22(2), 177-178. 

  7. JinGee Ku (2017). A Study on the Software Convergence Education for Non-Majors Computer Science using Creative Robot. Th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2), 631-638. 

  8. JungHyun An (2010). Scratch programming instruction model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9. KiBbm Lee & SeokJae Moon (2016). Study on Basic Learning of Programming based on WeDo with Scratch for the Non-Science Major. The Journal of the Society of Convergence Knowldege, 4(2), 9-15. 

  10. KongJu Mun, JiYeong Mun, SeMi Kim, & SungWon Kim (2016). Application of Programming Curriculum for Pre-service Science Teacher and Examination of their Perceptions about Programming.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6(10), 825-842. 

  11. KyungKyu Kim & JongYun Lee (2016).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Computational Thinking-Based Programming Learning.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9(1), 27-39. 

  12. KyungMi Kim & HyunSook Kim (2014). A Case Study on Necessity of Computer Programming for Interdisciplinary Education. Th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11), 339-348. 

  13. Ministry of Education (2015). Guide of operating SW education. 

  14. SooHwan Kim (2015). Analysis of Non-Computer Majors' Difficulties in Computational Thinking Educ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8(3), 44-57. 

  15. TaeHun Kim (2015). STEAM education program based on programming to improve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Jeju National University, Korea. 

  16. Wing, Jannette M. (2006). Computational thinking. Communications of the ACM, 49(3), 33-35. 

  17. Yohan Hwang, Kongju Mun & Yunenbae Park (2016). Study of Perception on Programming and Computational and Attitude toward Science Learning of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Software Inquiry Activity : Focus on using Scratch and physical computing materials.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6(2), 325-335. 

  18. YongJu Jeon, & TaeYoung Kim (2016). The design of Computational Thinking-based Web programming course as a liberal art for Non-Computer Majored Preliminary Teachers. Proceedings of KSCI Conference 2015, 161-164. 

  19. Zion Hwang & Sungon Hwang (2017).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Software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 Focusing on Domestic Articles.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aition of Information Ecucation, 21(5), 509-525. 

  20. Computer Science & Engineering University of Washington (Non-Major Course Options). Retrieved December 1, 2017, from http://www.cs.washington.edu/prospective_students/undergrad/admissions/nonmajor 

  21. International Society for Technology in Education (ISTE) & Computer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CSTA) (2011). Computational thinking in K-12 education teacher resource. Retrieved December 1, 2017, from http://www.iste.org/docs/ct-documents/ct-teacher-resources_2ed-pdf.pdf?sfvrsn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