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종에 따른 국내산 벌꿀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산화방지능 및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Antioxidative and antimelanogenic effects of ethyl acetate fractions of Korean domestic honeys from different floral source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50 no.6, 2018년, pp.660 - 664  

정하람 (경희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백영수 (경희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김대옥 (경희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이형재 (단국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 이용한 피나무 꿀, 헛개나무 꿀, 밤나무 꿀의 EAF는 마누카 꿀 EAF 보다 높은 산화방지능 및 타이로시네이스 억제능을 보였다. 특히 밤나무 꿀의 EAF는 양성대조군인 고지산에 버금가는 타이로시네이스 억제능을 보였다. 5가지 화종 유래 꿀의 EAF ($100{\mu}g/mL$) 처리시 B16F1 세포에서 멜라닌 생성 억제능은 밤나무 꿀>헛개나무 꿀>마누카 꿀>피나무 꿀>아카시아 꿀의 순서대로 낮아졌다. B16F1 세포 내 타이로시네이스의 효소활성 억제의 경우 5종류 꿀 EAF 중에서 밤나무 꿀 EAF ($100{\mu}g/mL$) 처리시 가장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화종의 국내산 꿀에 대한 생리활성소재 탐색을 통하여 산화방지능 및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미백활성 소재로서 기능성 식품 및 화장품 산업으로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oney is known to have a variety of health-promoting effects. Ethyl acetate fractions (EAFs) of four Korean domestic honeys from basswood, Korean raisin, chestnut, and acacia as well as a New Zealand manuka honey were analyzed comparatively to evaluate their antioxidative and antimelanogenic effects...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B16F1 세포 내 타이로시네이스의 효소활성 억제의 경우 5종류 꿀 EAF 중에서 밤나무 꿀 EAF (100 μg/ mL) 처리시 가장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화종의 국내산 꿀에 대한 생리활성소재 탐색을 통하여 산화방지능 및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미백활성 소재로서 기능성 식품 및 화장품 산업으로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생산된 4가지 화종 유래 꿀(피나무 꿀, 헛개나무 꿀, 밤나무 꿀, 아카시아 꿀)과 뉴질랜드에서 생산된 마누카 꿀의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분획물의 산화 방지능, 타이로시네이스 억제능, 마우스 흑색종인 B16F1 세포 내 멜라닌 합성 억제능과 타이로시네이스 억제능을 비교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타이로시네이스를 이용한 화장품 연구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이런 이유로 타이로시네이스 억제를 위한 연구는 식품, 화장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다. 또한 자외선에 의해 발생되는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를 제거하는 산화방지제를 이용한 미백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자외선 노출에 의한 과도한 멜라닌 형성이 주는 부작용은? 멜라닌은 진피의 기저층에 있는 멜라닌세포(melanocyte)에 의해 분비되며, 이는 포유류의 머리카락, 눈, 피부의 색소를 결정하거나 태양 광선으로부터 발생되는 자외선을 차단하여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Brenner와 Hearing, 2008). 그러나 장기간 자외선 노출에 의한 과도한 멜라닌 형성은 기미, 주근깨, 노인성 흑색점 등 피부의 색소침착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Breathnach와 Wyllie, 1964; Rigopoulos 등, 2007; Ünver 등, 2006), DNA 손상에 의한 흑색종(melanoma) 형성 및 비정상적 증식으로 인한 피부암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Pfeifer와 Besaratinia, 2012). 타이로시네이스(tyrosinase)는 아미노산인 타이로신(L-tyrosine)을 기질로 사용하여 L-DOPA, 도파퀴논(dopaquinone)을 생성하는 멜라닌 생합성 초기 단계인 가역적 산화반응에 관여한다(Sánchez-Ferrer 등, 1995).
멜라닌의 역할은? 멜라닌은 진피의 기저층에 있는 멜라닌세포(melanocyte)에 의해 분비되며, 이는 포유류의 머리카락, 눈, 피부의 색소를 결정하거나 태양 광선으로부터 발생되는 자외선을 차단하여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Brenner와 Hearing, 2008). 그러나 장기간 자외선 노출에 의한 과도한 멜라닌 형성은 기미, 주근깨, 노인성 흑색점 등 피부의 색소침착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Breathnach와 Wyllie, 1964; Rigopoulos 등, 2007; Ünver 등, 2006), DNA 손상에 의한 흑색종(melanoma) 형성 및 비정상적 증식으로 인한 피부암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Pfeifer와 Besaratinia,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ndrade P, Ferreres F, Amaral MT. Analysis of honey phenolic acids by HPLC, its application to honey botanical characterization. J. Liq. Chromatogr. Relat. Technol. 20: 2281-2288 (1997) 

  2. Anklam E. A review of the analytical methods to determine the geographical and botanical origin of honey. Food Chem. 63: 549-562 (1998) 

  3. Baek Y, Kim YJ, Baik M-Y, Kim D-O, Lee H. Total phenolic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Korean domestic honey from different floral sources. Food Sci. Biotechnol. 24: 1453-1457 (2015) 

  4. Bertolotto C, Busca R, Abbe P, Bille K, Aberdam E, Ortonne J-P, Ballotti R. Different cis-acting elements are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TRP1 and TRP2 promoter activities by cyclic AMP: pivotal role of M boxes (GTCATGTGCT) and of microphthalmia. Mol. Cell. Biol. 18: 694-702 (1998) 

  5. Bogdanov S, Jurendic T, Sieber R, Gallmann P. Honey for nutrition and health: a review. J. Am. Coll. Nutr. 27: 677-689 (2008) 

  6. Breathnach AS, Wyllie LM. Electron microscopy of melanocytes and melanosomes in freckled human epidermis. J. Invest. Dermatol. 42: 389-394 (1964) 

  7. Brenner M, Hearing VJ. The protective role of melanin against UV damage in human skin. Photochem. Photobiol. 84: 539-549 (2008) 

  8. Chang T-S. An updated review of tyrosinase inhibitors. Int. J. Mol. Sci. 10: 2440-2475 (2009) 

  9. Chung S-Y, Seo Y-K, Park J-M, Seo M-J, Park J-K, Kim J-W, Park C-S. Fermented rice bran downregulates MITF expression and leads to inhibition of ${\alpha}$ -MSH-induced melanogenesis in B16F1 melanoma. Biosci. Biotechnol. Biochem. 73: 1704-1710 (2009) 

  10. El-Kased RF, Amer RI, Attia D, Elmazar MM. Honey-based hydrogel: in vitro and comparative in vivo evaluation for burn wound healing. Sci. Rep. 7: 9692 (2017) 

  11. Eteraf-Oskouei T, Najafi M. Traditional and modern uses of natural honey in human diseases: a review. Iran. J. Basic Med. Sci. 16: 731-742 (2013) 

  12. Han S, Lee K, Yeo J, Woo S, Kweon H, Nam S, Ho Y, Kim W. Whitening effect of the honey from Korea. Korean J. Apic. 25: 39-43 (2010) 

  13. Heo H-J, Cho H-Y, Hong B, Kim H-K, Kim E-K, Kim B-G, Shin DH. Protective effect of 4,5-dihydroxy-3,6,7-trimethoxyflavone from Artemisia asiatica against A ${\beta}$ -induced oxidative stress in PC12 cells. Amyloid-J. Protein Fold. Disord. 8: 194-201 (2001) 

  14. Huang D, Ou B, Hampsch-Woodill M, Flanagan JA, Prior RL. Highthroughput assay of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using a multichannel liquid handling system coupled with a microplate fluorescence reader in 96-well format. J. Agric. Food Chem. 50: 4437-4444 (2002) 

  15. Jantakee K, Tragoolpua Y. Activities of different types of Thai honey on pathogenic bacteria causing skin diseases, tyrosinase enzyme and generating free radicals. Biol. Res. 48: 4 (2015) 

  16. Jung C. A note on the early publication of beekeeping of Western honeybee, Apis mellifera in Korea: Yangbong Yoji (Abriss Bienenzucht) by P. Canisius Kugelgen. J. Apic. 29: 73-77 (2014) 

  17. Kassim M, Achoui M, Mustafa MR, Mohd MA, Yusoff KM. Ellagic acid, phenolic acids, and flavonoids in Malaysian honey extracts demonstrate in vitro anti-inflammatory activity. Nutr. Res. 30: 650-659 (2010) 

  18. Kim HR, Kim H, Jung BJ, You GE, Jang S, Chung DK. Lipoteichoic acid isolated from Lactobacillus plantarum inhibits melanogenesis in B16F10 mouse melanoma cells. Mol. Cells 38: 163-170 (2015) 

  19. Kim D-S, Park S-H, Kwon S-B, Li K, Youn S-W, Park K-C. (-)-Epigallocatechin-3-gallate and hinokitiol reduce melanin synthesis via decreased MITF production. Arch. Pharm. Res. 27: 334-339 (2004) 

  20. Kim Y-J, Uyama H. Tyrosinase inhibitors from natural and synthetic sources: structure, inhibition mechanism and perspective for the future. Cell. Mol. Life Sci. 62: 1707-1723 (2005) 

  21. Kohsaka R, Park MS, Uchiyama Y. Beekeeping and honey production in Japan and South Korea: past and present. J. Ethnic Foods 4: 72-79 (2017) 

  22. Lee SK, Lee H. Antimicrobial activity of solvent fractions and bacterial isolates of Korean domestic honey from different floral sources. Food Sci. Biotechnol. 25: 1507-1512 (2016) 

  23. Levy C, Khaled M, Fisher DE. MITF: master regulator of melanocyte development and melanoma oncogene. Trends Mol. Med. 12: 406-414 (2006) 

  24. Masamoto Y, Ando H, Murata Y, Shimoishi Y, Tada M, Takahata K. Mushroom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esculetin isolated from seeds of Euphorbia lathyris L. Biosci. Biotechnol. Biochem. 67: 631-634 (2003) 

  25. Nithitanakool S, Pithayanukul P, Bavovada R, Saparpakorn P. Molecular docking studies and anti-tyrosinase activity of Thai mango seed kernel extract. Molecules 14: 257-265 (2009) 

  26. Pfeifer GP, Besaratinia A. UV wavelength-dependent DNA damage and human non-melanoma and melanoma skin cancer. Photochem. Photobiol. Sci. 11: 90-97 (2012) 

  27. Rigopoulos D, Gregoriou S, Katsambas A. Hyperpigmentation and melasma. J. Cosmet. Dermatol. 6: 195-202 (2007) 

  28. Sanchez-Ferrer A, Rodriguez-Lopez JN, Garcia-Canovas F, Garcia-Carmona F. Tyrosinase: a comprehensive review of its mechanism. Biochim. Biophys. Acta 1247: 1-11 (1995) 

  29. Sapkota K, Park S-E, Kim J-E, Kim S, Choi H-S, Chun H-S, Kim S-J. Antioxidant and antimelanogenic properties of chestnut flower extract. Biosci. Biotechnol. Biochem. 74: 1527-1533 (2010) 

  30. Ullah S, Khan SU, Saleh TA, Fahad S. Mad honey: uses, intoxicating/poisoning effects, diagnosis, and treatment. RSC Adv. 8: 18635-18646 (2018) 

  31. Unver N, Freyschmidt-Paul P, Horster S, Wenck H, Stab F, Blatt T, Elsasser HP. Alterations in the epidermal-dermal melanin axis and factor XIIIa melanophages in senile lentigo and ageing skin. Br. J. Dermatol. 155: 119-128 (2006) 

  32. Visavadia BG, Honeysett J, Danford MH. Manuka honey dressing: an effective treatment for chronic wound infections. Br. J. Oral Maxillofac. Surg. 46: 55-56 (2008) 

  33. Yoshioka S, Terashita T, Yoshizumi H, Shirasaka N. Inhibitory effects of whisky polyphenols on melanogenesis in mouse B16 melanoma cells. Biosci. Biotechnol. Biochem. 75: 2278-2282 (2011) 

  34. Zumla A, Lulat A. Honey-a remedy rediscovered. J. R. Soc. Med. 82: 384-385 (198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