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계열 대학생의 공감 능력과 회복 탄력성의 관계
Capability of empathy and resilience among healthcare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22 no.3, 2018년, pp.117 - 129  

박정희 (건양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윤병길 (건양대학교 응급구조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empathy and resilience among healthcare college students.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by healthcare college students from August 13 to October 13, 2018.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alysis of variance, Pearson's cor...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공감 능력과 회복 탄력성을 확인하고 그들의 미래의 직업인 보건계열 종사자로 건강하게 성장해나가도록 교육적 준비가 필요하다. 그리하여 이 연구를 통해 보건계열 대학생의 공감 능력과 회복 탄력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여 회복 탄력성을 향상하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보건계열 대학생의 공감 능력과 회복 탄력성을 살펴보고 회복 탄력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여 회복 탄력성을 향상하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보건계열 대학생의 공감 능력과 회복 탄력성을 확인하는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이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의 공감 능력과 회복 탄력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여 회복탄력성을 향상하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 이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의 공감 능력과 회복 탄력성을 살펴보고 회복 탄력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여 회복 탄력성을 향상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공감 능력을 살펴보면 공감 능력에서 하위영역에 해당하는 관점 취하기는 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감 능력이 보건계열 대학생들에게는 필요한 전문적 자질인 이유는? 공감 능력이란 타인과 같은 위치에서 상대의 입장과 관점을 정확히 이해하고 수용하는 것이다[2]. 보건계열 대학생(간호학과, 응급구조학과, 방사선학과, 물리치료학과, 치위생학과, 안경광학과, 임상병리학과 등)들은 다양한 임상실습을 경험하게 되는데 치료적 관계를 효율적으로 돕기 위해서는 다양성을 이해하고 수용하며 의사소통하는 능력이 필요하며 특히 공감 능력은 가장 중요하고 우선되어야 할 요건이라고 볼 수 있다[3]. 이처럼 공감 능력은 임상현장에서 치료적 관계를 형성할 보건계열 대학생들에게는 필요한 전문적 자질이라고 볼 수 있다.
공감이란? 공감은 대상자의 감정이나 심리상태 혹은 경험을 마치 자신의 것처럼 지각하여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것이다[1]. 공감 능력이란 타인과 같은 위치에서 상대의 입장과 관점을 정확히 이해하고 수용하는 것이다[2].
회복 탄력성의 특징은?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공감 능력을 확인하고 공감능력을 향상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일이야말로 전문직을 준비하는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역량을 키울 수 있는 의미 있는 일이다. 회복 탄력성은 상황적 요구나 스트레스가 많은 환경에서 적절한 자아 통제를 바탕으로 유연하게 반응하여 성공적인 적응을 이룰 수 있는 능력을 말하며[9], 변화하는 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인간의 총체적 능력이다[10]. 회복 탄력성은 환경변화에 따라 유동적이며[11], 적극적인 태도로 스트레스에 대처하여 문제해결 능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Park SH. empathy and prosocial behavior seoul; Moonumsa. 1997. 34-37. 

  2. Rogers D, Hudson C. The role of emotion control and emotional rumination in stress management trai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tress Management 1995;2(3):119-32. 

  3. Lee JY. The effect of ego states and life positions on empathy in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012;20(2):113-22. 

  4. Ward J, Schaal M, Sullivan J, Brown ME, Erdmann JB, Hojat M.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Jefferson scale of empathy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2009;17(1):73-88. https://doi. org/10.1891/1061-3749.17.1.73 

  5. Jang SY. The effect of empathy on resilience of nursing students. The Korean Academy on Communication in Healthcare 2017;12(2)2:211-21. 

  6. Kim HJ, Yi MS. Factors influencing empathy in nursing students in Korea. Journal of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5;21(2):237-45. https://doi.org/10.5977/jkasne.2015.21.2.237 

  7. Lee OS, Gu MO.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mmunication skill, clinical competence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3;14(6):2749-59. https://doi.org/10.5762/KAIS.2013.14.6.2749 

  8. Yeo HJ. Predictors of empathy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7;18(1):177-84. https://doi.org/10.5762/KAIS.2017.18.1.177 

  9. Block J, Kremen AM.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96;70(2):349-61. https://pdfs.semanticscholar.org/4f22/0efea84f23601abbe934de2fde345afefe22.pdf 

  10. Jang SH, Lee MY. Relationship between stress, self-efficacy and resilience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2015;19(2):255-65. https://doi.org/10.21184/jkeia.2015.06.9.2.255 

  11. Kwon HR, Joo JJ. The effects of police officer's resili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8;18(3):499-50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3.499 

  12. Gillespie BM, Chaboyer W, Wallis M, Grimbeek P. Resilience in the operating room: developing and testing of a resilience model. J Adv Nurs 2007;59(4):427-38.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7.04340.x 

  13. Mitchell BS, Kem L, Conroy MA. Supporting students with emotional or behavioral disorders: state of the field. Behavioral Disorders, First published December 10, 2018. https://doi.org/10.1177/0198742918816518 

  14. Cho HJ, Jung MS. Effect of empathy, resilience, self-care on compassion fatigue in oncology nurses. J Korean Acad Nurs Adm 2014;20(4):373-82. https://doi.org/10.11111/jkana.2014.20.4. 

  15. Kwon YE. A study on emotional labor, 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8;19(2)339-46. https://doi.org/10.5762/KAIS.2018.19.2.339 

  16. Garcia-Dia MJ, DiNapoli JM, Garcia-Ona L, Jakubowski R, O'Flaherty D. Concept analysis: resilience. Arch Psychiatr Nurs 2013;27(6):264-70. https://doi.org/10.1016/j.apnu.2013.07.003 

  17. Jackson D, Firtko A, Edenborough M. Personal resilience as a strategy for surviving and thriving in the face of workplace adversity: A literature review. J Adv Nurs 2007;60(1):1-9.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7.04412.x 

  18. Davis MH.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JSAS Catalog of Selected Documents in Psychology 1980;10:85-103. https://www.uv.es/friasnav/Davis_1980.pdf 

  19. Connor KM, Davidson JRT. Development of a new resilience scale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CD-RISC). Depression and anxiety. 2003;18:76-82. https://pdfs.semanticscholar.org/cdf7/e48f5b42847e1d7cabd7a4fdcb3761a40279.pdf 

  20. Park JH, Chung SK. The relationship among self-esteem, empathy, communication skill and clinical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5;16(11):7698-707. https://doi.org/10.5762/KAIS.2015.16.11.7698 

  21. Ji EJ. Influence of nursing professionalism, empathic ability on communication ability in senior nursing student.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4;16(3B):1685-97. 

  22. Kim JM, Hong SK. Influence of self-reflection, self-esteem, and empathy on happiness index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16;22(2):113-20. https://doi.org/10.14370/jewnr.2016.22.2.113 

  23. Cho MK, Shin, IN, Lee YJ, Lee JH, Jang, EH, Jeong HR et al. University nursing students' empathic ability and cultural competency.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2015;12(2):106-14. https://doi.org/10.16952/pns.2015.12.2.106 

  24. Kang MJ, Shim MK.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parental intelligence and children's abilities of self-control and empathy.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011;32(4):203-16. 

  25. Derryberry D, Rothbart MK. Arousal, affect and attention as components of temperament. J Pers Soc Psychol 1988;55(6):958-66. https://doi.org/10.1037/0022-3514.55.6.958 

  26. Kang JS, Lim JY. Effects of clinical nurses' resilience on job stress and burnout.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5;15(11):263-73. https://doi.org/10.5392/JKCA.2015.15.11.263 

  27. Park JH, Chung SK.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resilience on nursing performance in university hospit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6;17(10):236-44. https://doi.org/10.5762/KAIS.2016.17.10.236 

  28. Kim HJ, Choi HK.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happiness of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7;26(1):40-6. https://doi.org/10.5807/kjohn.2017.26.1.40 

  29. Lee KS, Park EN. Influencing effects of role conflict, resilience on burnout in physician assistants.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017;29(5):1424-34. https://doi.org/10.13000/JFMSE.2017.29.5.1424 

  30. Cho HY. Park SH. Development of a resilience scale for paramedics. Korean J Emerg Med Ser 2018; 22(2):35-49. https://doi.org/10.14408/KJEMS.2018.22.2.035 

  31. Lee YE, Kim E, Park SY. Effect of self-esteem, emotional intellig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resilience in nursing students. Korean Academy of Child Nursing 2017;23(3):385-93. https://doi.org/10.4094/chnr.2017.23.3.385 

  32. Ju HH, Kim DW. Influence of ego resilience and self efficacy on major satisfaction of paramedic students. Korean J Emerg Med Ser 2017;21(3):85-95. https://doi.org/10.14408/KJEMS.2017.21.3.0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