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COVID-19 상황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 사회적지지, 커뮤니티 탄력성 및 불안과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Resilience, Social Support, Community Resilience, and Anxiety of Nursing Students Experienced COVID-19 Situation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38 no.1, 2021년, pp.37 - 47  

김애정 (여주대학교 간호학과) ,  문진하 (여주대학교 간호학과) ,  서연희 (여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COVID-19 상황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 사회적지지, 커뮤니티 탄력성 및 불안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의 Y대학교 대학생 252명을 대상으로 구1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 수집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회복탄력성은 5점 만점에 평균 3.10점, 사회적지지는 5점 만점에 4.22점, 커뮤니티 탄력성은 5점 만점에 3.21점, 불안은 4점 만점에 평균은 2.21점으로 나타났다. 회복탄력성은 사회적지지(r=.32, p<.001)와 커뮤니티 탄력성(r=.18, p=.004)과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불안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64, p<.001). 따라서 대학생들의 회복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사회적지지와 커뮤니티 탄력성을 강화하고 불안감을 조절하고 대처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현실적인 지원 방안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social support, community resilience, and anxiety in nursing students. 252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the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do and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사회적 재난을 통해 학교 시스템이 마비되는 상황에 노출된 간호대학생들이 경험하고는 있는 스트레스 및 불안으로 인한 일상생활 적응 및 복귀에 영향을 미치는 회복 탄력성에 대한 연구는 상당한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COVID-19 상황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 사회적지지, 커뮤니티 탄력성과 불안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COVID-19 상황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회복탄력성, 사회적지지, 커뮤니티 탄력성 및 불안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COVID-19 상황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 사회적지지, 커뮤니티 탄력성 및 불안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경우 경제적 상태가 좋을수록, 가족관계 만족도가 좋을수록 회복 탄력성, 커뮤니티 탄력성, 사회적지지 정도가 높았고, 불안 정도는 낮았다.
  • 본 연구는 COVID-19 상황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 사회적지지, 커뮤니티 탄력성과 불안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National Disaster Safety Portal in 2018. cited 2020 September 27], Available from; http://www.safekorea.go.kr/idsiSFK/neo/ 

  2. H. S. Kim, M. S. Kim, "The Impact of Disaster Victim's Social Support on Quality of Lif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21, Vol.14, No.4 pp. 841-854, (2019). 

  3. M. K. Moon, H. S. Joo, H. N. Ahn, "Differences in Social Sharing and Community Resilience after Disaster among Social Empathy Latent Classe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17, No.6 pp. 183-204, (2016). 

  4. D. W. Lee, G. H. Kwon, "An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of Disaster Resilience: Focused on Natural Disaster", Korean Policy Studies Review, Vol.26, No.2 pp. 475-509, (2017). 

  5. S. Cheng, C. Chen, W. Hsieh, M. Chi, S. Lin, Y. Liao, "Effects of Individual Resilience Intervention on Indigenous People who Experienced Typhoon Morkot in Taiwan", The Kaohsiung Journal of Medical Sciences, Vol.28, No.2 pp. 105-110, (2012). 

  6. C. Ni, A. M. Chow, X. Jiang, S. Li, S. Pang, "Factors Associated with Resilience of Adult Survivors Five Years after the 2008 Sichuan Earthquake in China", PloS One, Vol.10, No.3 pp. 1-14, (2015). 

  7. S. Y. Sim, Y. W. Sohn, S. H. Park, J. W. Yoon, "Disaster Victims' Post-trauma Risk, Posttraumatic Growth and Subjective Well-being - Social Support as a Mediator and Income as a Moderator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31, No.6 pp. 105-112, (2016). 

  8. B. Egeland, E. Carlson, L. A. Sroufe, "Resilience as Process",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Vol.54, pp. 517-528, (1993). 

  9. S. Kimhi, M. Shamai, "Community Resilience and the Impact of Stress: Adult Response to Israel's Withdrawal from Lebano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Vol.324, pp. 439-451, (2004). 

  10. M. S. Cho, "Factors Associated with Quality of Life among Disaster Victims: An Analysis of the 3rd Nationwide Panel Survey of Disaster Victims",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Vol.30, No.2 pp. 217-225, (2019). https://doi.org/10.12799/jkachn.2019.30.2.217 

  11. H. S. Park, "137 Medical staff Infected COVID-19", Newstouch, http://www.newstouch.site/news/articleView.html?idxno9667.(accessedFeb 01,2021). 

  12. O. S. Kim, J. H. Oh, K. H. Lee, "The Convergence Study on Anxiety, Knowledge, Infection Possibility, Preventive Possibility and Preventive Behavior Level of MERS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7, No.3 pp. 59-69, (2016). 

  13. B. W. Smith, J. Dalen, K. Wiggins, E. Tooley, P. Christopher, J. Bernard, "The Brief Resilience Scale: Assessing the Ability to Bounce Back",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Vol.15, No.3 pp. 194-200, (2008). 

  14. J. W. Park, A Study to Development a Scale of Social Support, Unpublished Doctoral thesis, Yonsei University, (1985). 

  15. E. K. Yu, H. S. Seol, "Factorial Structure of the Social Support Scale", Survey Research, Vol.16, No.1 pp. 155-184, (2015). 

  16. D. Leykin, M. Lahad, O. Cohen, A. Goldberg, L. Aharonson-Daniel, "Conjoint Community Resiliency Assessment Measure -28/10 Items CCRAM28 and CCRAM10: A Self-Report Tool for Assessing Community Resilience",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Vol.523, No.4 pp. 313-323, (2013). 

  17. S. T. An, S. M. Kang, "College Student's Stress and Individual Resilience : Effects of Community Resilience and Institutional Trust", Mental Health & Social Work, Vol.46, No.2 pp. 209-238, (2018). 

  18. C. D. Spielberger, R. L. Gorsuch, R. E. Lushene, "STAI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elf-evaluation questionnaire").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1975). 

  19. J. T. Kim, D. K. Shin, "A Study Based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STAI for Korea", New Med J, Vol.21, pp. 69-75 (1978). 

  20. G. H. Park, Effect of Post-traumatic Stress on Social Adaptation in People Who Experienced Disaster: Focu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2020). 

  21. D. Sarokhani, A. Delpisheh, Y. Veisani, M. T. Sarokhani, R. E. Manesh, K. Sayehmiri, "Prevalence of Depress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Study", Depression Research and Treatment, Vol.2013, pp. 1-7 (2013). https://doi.org/10.1155/2013/373857 

  22. A. J. Kim, J. S.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Yangsaeng of College Student in Korea", Health & Nursing Vol.30, No.1, pp. 1-14, (2018). 

  23. H. B, Lee. "The Influence of Elderly Surgical Patients' Pain, Death Anxiety and Social Support on Resili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2020). 

  24. E. J. Lee, S. J. Lee, "Associations of Interpersonal Relations with Irrational Beliefs and Social Supports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Vol.27, No.4 pp. 313-320, (2018). 

  25. D. Y. Park, "The Effects of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Ego-Resiliency on Reality Shock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20, No.4 pp. 648-657, (2020). 

  26. T. E. Drabek, Human System Responses to Disaster: An Inventory of Sociological Findings, New York: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 

  27. S. T. An, J. Y. Lee, "The Importance of Community Resilience Based on Life Satisfaction: Effects on College Students' Individual Resilienc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26, No.2 pp. 281-312, (2019). 

  28. E. H. Jo, "Mediating Effects of the Relationship of Perceived of Stress and Anxiety with Resilience in Nursing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9, No.10 pp. 677-688, (2019). 

  29. Y. J. Jee, K. N. Kim, "Factors Influencing Resilience of a Nursing College Student",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6, No.12 pp. 19-27,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