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19 구급대원의 직무스트레스, 소진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job stress and burnout on the quality of life among 119 EMTs 원문보기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22 no.3, 2018년, pp.131 - 148  

윤유진 (대전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홍선우 (대전대학교 응급구조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s of job stress and burnout with the quality of life (QOL) among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EMTs). Methods: Using a descriptive correlational design, 260 EMTs working in D City or S City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119 구급대원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삶의 질의 정도를 파악하고,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119 구급대원의 일반적인 특성과 직무스트레스 및 소진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에 연구 결과를 기초로 구급대원의 직무스트레스, 소진, 삶의 질을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119 구급대원의 일반적인 특성과 직무스트레스, 소진과 삶의 질의 관계 및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119 구급대원의 일반적인 특성과 직무스트레스 및 소진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에 연구 결과를 기초로 구급대원의 직무스트레스, 소진, 삶의 질을 논의하고자 한다.
  • 국내에서도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근골격계 증상[5], 소진[3, 10], 삶의 질[11-13]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긴 했으나 다른 소방공무원보다 119 구급대원에게서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14] 119 구급대원만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삶의 질을 함께 다룬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119 구급대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119 구급대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우리나라의 119 구급대원의 출동이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자연재난과 사회재난의 발생 및 평균수명 연장에 따른 고령자의 급·만성 질환의 증가로 인해 119 구급대원의 출동이 증가하고 있다[1]. 또한 119 구급대원의 출동 건수는 2015년 기준 2,535,412건으로, 2005년의 1,493,416건에 비하여 10년간 100만 건 이상이 폭증하여 구급대원의 업무 부담이 늘어나고 있다[2].
직무 스트레스는 어떠한 문제점은 야기하는가? 119 구급대원 출동 시, 환자와 보호자는 위급한 상황으로 인한 불안감 및 판단력 저하로 인하여 흥분하고 구급대원에게 폭력을 행사하기도 하여 구급대원은 스트레스에 노출되고, 이는 출동 시 업무에 대한 회의감을 느끼게 하며 직무스트레스를 유발한다[3]. 직무 스트레스는 부정적인 행동을 일으키는 심리적 긴장 상태를 만들어 삶의 질을 저하시키며, 직무 스트레스가 만성적으로 누적될 때 소진이 나타난다[4].
119 구급대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이 국민건강에도 영향을 미치는 이유가 무엇인가? 119 구급대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은 근골격계 질환을 일으킬 수 있으며[5], 계속된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은 구급대원의 자존감을 떨어트리고 우울감과 무기력을 느끼게 하여 삶의 질의 저하를 초래한다[4]. 또한 119 구급대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은 자신의 조직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게 하여 조직의 사기저하 및 비정상적인 업무수행을 유발하며, 병원 전 응급의료서비스의 질 저하를 초래한다[6]. 그러므로 국민건강을 위해서도 119 구급대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삶의 질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Park YJ, Kim BW. Correlation between injury and the injury severity score in geriatric traffic accident patients transported by 119 rescue services. Korean J Emerg Med Ser 2016;20(3): 7-19. https://doi.org/10.14408/KJEMS.2016.20.3.007 

  2. National Fire Agency. 2016 Statistical yearbook of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https://www.nfa.go.kr/nfa/ 

  3. Park KS, Choi SW. The relationship of violence experience with psychosocial stress and burnout in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in the ICT age. Journal of the KIECS 2016;11(11):1149-58. https://doi.org/10.13067/JKIECS.2016.11.11.1149 

  4. Choi ES. A model for post-traumatic stress and burnout in firefighters. J Korean Soc Emerg Med Tech 2001;5:147-64. 

  5. Hong SW, Uhm DC, Jun MH. Job stress and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Korean J Occup Health Nurs 2010;19(2):223-35. 

  6. Prati G, Pietrantoni L, Cicognani E. Coping strategies and collective efficacy as mediators between stress appraisal and quality of life among rescue workers. Int J Stress Manag 2011;18(2):181-95. https://doi.org/10.1037/a0021298 

  7. Nirel N, Goldwag R, Feigenberg Z, Abadi D, Halpern P. Stress, work overload, burnout, and satisfaction among paramedics in Israel. Prehosp Disaster Med 2008;23(6):537-46. https://doi.org/10.1017/S1049023X00006385 

  8. Alexander DA, Klein S. Ambulance personnel and critical incidents: Impact of accident and emergency work on mental health and emotional well-being. Br J Psychiatry 2001;178:76-81. https://doi.org/10.1192/bjp.178.1.76 

  9. van der Ploeg E, Kleber RJ. Acute and chronic job stressors among ambulance personnel: predictors of health symptoms. Occup Environ Med 2003;60(1):40-6. https://doi.org/10.1136/oem.60.suppl_1.i40 

  10. Hong HJ, Sung MH. Factors affecting burnout of staff in emergency medical service (focusing on 119 rescuers in Busan and Gyeongnam). Korean J Occup Health Nurs 2012;21(2):164-73. https://doi.org/10.5807/kjohn.2012.21.2.164 

  11. Yang CM. Job stress,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firefighters in a provi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2014, Iksan, Korea. 

  12. Lee KJ, Heo HT, Kim DW, Kim IA, Kim SY, Rho JR et al. The factors related to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HRQOL), and correlation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HRQOL among municipal fire officers in Incheon.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9;21(3):267-75. 

  13. Choi BR. Association between occupational stress, psychosocial stress and quality of life in 119 ambulance workers. Unpublished doctoral thesis, Wonkwang University 2015, Iksan, Korea. 

  14. Ha JH, Kim DI, Seo BS, Kim WS, Ryu SH, Kim SG. Job stress and psychosocial stress among firefight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8;20(2):104-11. 

  15. Chang SJ, Koh SB. Development of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KOSS). Korean J Stress Res 2005;13:183-97. 

  16. Jung HY. A study of relationship among violence experience, coping and burnout of emergency department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2007, Gimhae, Korea. 

  17. Min SK, Lee CI, Kim KI, Suh SY, Kim DK. Development of Korea Version of WHO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WHOQOL-BREF). Korean J Stress Res 2000;39(3):571-9. 

  18. Choi SS, Kim GW. Impact of job-stress on fatigue among 119 rescue worke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6;17(4):433-9. https://doi.org/10.5762/KAIS.2016.17.4.433 

  19. Kim TW, Kim KS, Ahn YS.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field firefight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10;22(4):378-87. 

  20. Chang SJ, Cha BS, Koh SB, Kang MG, Koh SR, Park JK. Association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psychosocial distress of industrial workers. Korean J Prev Med 1997;30(1):129-44. 

  21. Kim H. Job stress, coping type, and job satisfaction in firefighters. Korean J Occup Health Nurs 2015;24(4):323-30. https://doi.org/10.5807/kjohn.2015.24.4.323 

  22. Lee SC, Lee RH, Kong HS. Resolution method of women's EMT stresses at the fire station: Focused on the Gyungbuk province. J Korea Saf Manag Sci 2014;16(1):45-52. https://doi.org/10.12812/ksms.2014.16.1.45 

  23. Lee SH, Choi YH. A study o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119 relief squads.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06;17(4):521-9. 

  24. Lee JY, Park KW. Job stress factors among firefighters and their priority: the case of Incheon metropolitan fire station. Korean J Public Administration 2011;49(4):331-56. 

  25. Jung HY, Lee HJ. Work experiences of nurses working as 119 paramedics. Korean J Occup Health Nurs 2010;19(2):128-39. 

  26. Jeon SY, Ha JY. Traumatic events,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and physical symptoms among emergency nurses. Korean J Adulth Nurs 2012;24(1):64-73. https://doi.org/10.7475/kjan.2012.24.1.64 

  27. Kim JH, Uhm DC, Kim EA. Correlation between violence, burn-out, and self-esteem of 119 rescue worke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0;11(11):4433-40. https://doi.org/10.5762/KAIS.2010.11.11.4433 

  28. Park GH. The actual situation and improvement plan of the work environment of the firefighter. KRUMA 2002;12:63-79. 

  29. Chae J, Woo SC. A study on the method of revitalization for fire services organization - The solution for conflict between desk officials and outside duty ones. Fire Sci Eng 2009:23(2):85-95. 

  30. Hyun HJ, Shin MJ, Lee HJ. Comparison of job stress, quality of life scale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public health officials and general administration officials. Korean J Occup Health Nurs 2016:25(4):320-8. https://doi.org/10.5807/kjohn.2016.25.4.3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