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모의 유머스타일이 유아의 정서 표현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rents' Humor Styles on Children's Emotional Expressiveness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4 no.6, 2018년, pp.107 - 122  

오연경 (내리사랑교육연구소) ,  황혜신 (상명대학교 가족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ental humor style on their children's emotional expressiveness. Methods: Parental humor styles and their children's emotional expressiveness were measured in 306 parents and their 153 young children enrolled in a infant educati...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중에서 연구 참여에 동의한 부모와 자녀를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했으며, 각각의 검사 결과지를 작성 후 전달하였다. 또한 부모의 유머 스타일 및 온정적 양육행동은 아버지와 어머니가 각각 자기보고식으로 응답하고, 유아의 정서 표현성과 정서 조절능력은 부모가 함께 상의하거나 유아와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내는 부모 중 한 명이 자녀의 행동을 관찰한 것을 토대로 보고하도록 하였다.
  • 첫째, 부모의 유머 스타일이 유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부모유머의 이론적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이 부모의 유머를 개인의 기질적 성향으로 특정한 것과 달리 부모의 유머를 관계적 측면에서 살핌에 따라 부모가 자녀와의 관계에서 사용하는 유머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부모 유머의 효과를 밝힘으로써 현대사회의 부모자녀관계를 살피기 위한 새로운 관점에서의 다양한 함의를 제공하였다. 이에 따라 가벼운 것으로 여겨져 왔던 부모유머 교육의 필요성을 입증하였으며, 유머사용이 문화적 현상으로 자리매김했음에도 불구하고 부모 유머에 관한 연구가 미흡한 시점에서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본 연구는 부모가 자녀에게 사용하는 유머 스타일이 유아의 정서 표현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피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만5-6세 유아와 부모를 대상으로 아버지와 어머니의 유머 스타일과 유아의 정서 표현성을 측정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이 부모의 유머를 개인의 기질적 성향으로 특정한 것과 달리 부모의 유머를 관계적 측면에서 살핌에 따라 부모가 자녀와의 관계에서 사용하는 유머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부모 유머의 효과를 밝힘으로써 현대사회의 부모자녀관계를 살피기 위한 새로운 관점에서의 다양한 함의를 제공하였다. 이에 따라 가벼운 것으로 여겨져 왔던 부모유머 교육의 필요성을 입증하였으며, 유머사용이 문화적 현상으로 자리매김했음에도 불구하고 부모 유머에 관한 연구가 미흡한 시점에서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부모가 자녀와의 관계에서 사용하는 유머 스타일을 탐색하되, 아버지와 어머니가 사용하는 유머스타일이 각각 유아의 정서표현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볼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머란? 유머란 웃음을 수반하는 긍정적 정서표현이자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간접적인 방법으로 전달하는 의사소통 수단으로(허영주, 2010; Martin & Lefcourt, 1983), 표현하는 자신 뿐 아니라 상대방에게도 즐거운 자극을 만들어주며, 타인과의 언어적, 비언어적 상호작용 속에서 주로 나타나는 관계적 특성을 가진다. 아울러 똑같은 유머 상황에서도 큰 웃음으로 반응하는 사람이 있는 반면, 오히려 냉랭한 반응을 보이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유머를 받아들이고 표현하는 개인의 성향이 유머의 내용보다 우선함을 말해준다.
부모가 자신이 어떠한 정서적 성향을 가지고 있는지가 자녀의 정서표현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부모와 자녀가 어떠한 상호작용을 하는가와 더불어 부모 자신이 어떠한 정서적 성향을 가지고 있는가는 자녀의 정서표현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박잎새, 남은영, 2015). 정서표현은 출생과 동시에 본능적으로 나타나는 최초의 정서반응으로, 언어발달이 미숙한 어린연령의 유아일수록 의사소통으로서 강력한 효과(오정민, 2012)를 가지며, 정서표현에 대한 반응을 통해 자신의 정서를 인식하고, 타인의 정서를 이해해 나간다. 아울러 이러한 정보들을 바탕으로 자신의 정서를 발달시키기 때문에 유아가 자신의 정서를 충분히 표현해보는 경험은 매우 중요하다(박하얀, 정윤경, 최해연, 2015).
유머의 특성이란? 유머란 웃음을 수반하는 긍정적 정서표현이자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간접적인 방법으로 전달하는 의사소통 수단으로(허영주, 2010; Martin & Lefcourt, 1983), 표현하는 자신 뿐 아니라 상대방에게도 즐거운 자극을 만들어주며, 타인과의 언어적, 비언어적 상호작용 속에서 주로 나타나는 관계적 특성을 가진다. 아울러 똑같은 유머 상황에서도 큰 웃음으로 반응하는 사람이 있는 반면, 오히려 냉랭한 반응을 보이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유머를 받아들이고 표현하는 개인의 성향이 유머의 내용보다 우선함을 말해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7)

  1. 강연미 (2005). 위험생활사건과 유머 스타일이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유화 (2009). 유아의 유머 특성 및 또래 관계 속 유머를 둘러싼 맥락적 요소와 의미에 관한 문화기술적탐구. 생태유아교육연구, 8(3), 151-174. 

  3. 김지연, 정계숙 (2013).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유머감각,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양육스트레스간의 관계. 생애학회지, 3(1), 59-77. 

  4. 김진영 (2004). 유아들의 유머와 친구 관계에 대한 질적 연구. 유아교육연구, 24(6), 113-133. 

  5. 류현수 (2008). 유머활동경험이 정서지능 수준에 따라 유아의 자아개념 및 유머이해도와 감지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8(1), 119-142. doi:10.18023/kjece.2008.28.1.006 

  6. 박수영 (2010). 교사의 정서 표현성이 아동의 정서 표현성 및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카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박일, 고영건 (2011). 대학생의 유머감각과 유머 스타일이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1(1), 308-308. 

  8. 박잎새, 남은영 (2015). 부부공동양육, 아버지 양육참여 및 유아의 정서 조절능력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8(4), 135-153. 

  9. 박지선, 김인석, 현명호, 유재학 (2008). 정서자각 결함, 정서 표현성, 정서 표현에 대한 양가감정이 신체화, 우울, 스트레스 경험빈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3), 571-581. doi:10.17315/kjhp.2008.13.3.002 

  10. 박하얀, 정윤경, 최해연 (2015). 정서표현양가성의 발달과 이에 따른 정서 표현성, 문제행동 및 심리적안녕감: 아동?청소년?성인집단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8(3), 189-207. 

  11. 소은주 (2009). 부모의 정서사회화가 유아의 혼합정서이해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손소영 (2013). 아버지 역할이 나타난 TV광고 분석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4(5), 217-227. 

  13. 손영지, 박성연 (2011).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간의 관계: 성격의 중재효과. 인간발달연구, 18(2), 125-144. 

  14. 송하나 (2006). 부모의 정서 표현성이 아동의 애착 관계에 대한 내적 표상에 미치는 영향. 인간 발달연구, 13(3), 39-55. 

  15. 신태화, 김명희 (2014). 상사의 유머가 상사의 신뢰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서울 특1급 호텔 중심으로. 외식경영연구, 17(5), 55-75. 

  16. 양승희 (2003). 정서 지능 수준에 따른 유머 활동 경험이 유아의 창의성과 유머 이해 및 표현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여은진, 이경옥(2009). 유아와 어머니 정서성, 어머니의 정서사회화 행동 및 유아 정서조절간의 구조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4(5), 275-295. 

  18. 오정민 (2012). 미술치료가 정서조절의 어려움을 가진 아동의 정서표현과 조절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예술치료학회지, 12(2), 189-213. 

  19. 오지현 (2013). 아동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 반응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유안진 (1990). 한국전통사회의 유아교육.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1. 유해미, 정주영, 양유진 (2013). 일?가정 양립을 위한 남성의 자녀양육 지원 실태와 개선방안.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2. 윤경옥 (2011). 유머감각이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학부모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윤보람 (2010). 부모의 정서사회화 행동이 아동의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강이, 최인숙, 성미영 (2007). 부모의 정서사회화와 유아의 정서성 발달의 관계. 아동학회지, 28(3), 187-199. 

  25. 이덕로, 김태열 (2013). 상사의 유머가 부하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내재적 동기부여의 매개효과와 팀인적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인사조직연구, 21(1), 29-63. 

  26. 이자형, 김혜영 (2004). 학령전기 자녀 아버지의 양육행동. 부모자녀건강학회지, 7(1), 50-60. 

  27. 이진화, 강은진 (2014).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유머감각과 자아탄력성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5(11), 6576-6586. doi:10.5762/kais.2014.15.11.6576 

  28. 임미화 (2011). CEO의 유머감각이 대인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임영심, 전순한, 이경하 (2007). 유머동화를 활용한 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어린이문학교육연구, 8(2), 165-184. 

  30. 임태섭 (1999).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연구: 한국인의 커뮤니케이션 가치관: 전통과 변화.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7, 52-66. 

  31. 장해순, 이만제 (2014). 유머감각과 유머 스타일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25, 308-334. 

  32. 전경옥 (2008). 저소득가정 부모의 정서표현과 유아의 감정조망수용능력 및 감정조절능력간의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정윤경, 박보은 (2010). 정서 표현성과 정서표현양가성의 발달적 관련 변인.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3(4), 111-125. 

  34. 조현지, 김욱영 (2005). 유머 종류에 따른 유머 선호와 활용에 관한 연구: 성별, 연령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31, 355-378. 

  35. 최남정, 오정희 (2011). 유아교사의 유머감각과 임파워먼트 간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66, 45-67. 

  36. 최명선, 최태산, 안재영 (2007). 청소년의 유머감각, 유머 스타일이 리더십기술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4(5), 149-167. 

  37. 하정 (1997). 정서표현 성향과 스트레스 평가 및 대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정서, 사고, 행동영역의 통합적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한유미, 손경화 (2004).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에 관한 연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2(1), 197-206. 

  39. 허영주 (2010). 예비교사의 유머감각과 유머 스타일이 교사교육에 요구하는 변화. 교육방법연구, 22(2), 19-49. doi:10.17927/tkjems.2010.22.2.19 

  40. 황혜신, 오연경 (2014). 부모의 유머 스타일과 아동의 정서성 및 또래유능성의 관계.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2(2), 199-211. doi:10.6115/fer.2014.52.2.199 

  41. Berlyne, D. (1972). Humor and its kin. In J. Goldstein, & P. McGhee (Eds.), The psychology of humor (pp. 43-60). New York: Academic Press. doi:10.1016/B978-0-12-288950-9.50008-0 

  42. Brown, G. E., Wheeler, K. J., & Cash, M. (1980). The effects of a laughing versus a nonlaughing model on humor responses in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29(2), 334-339. doi:10.1016/0022-0965(80)90024-7 

  43. Cassidy, J., Parke, R. D., Butkovsky, L., & Braungart, J. M. (1992). Family-peer connections: The roles of emotional expressiveness within the family and children's understanding of emotions. Child Development, 63(3), 603-618. doi:10.2307/1131349 

  44. Denham, S., & Kochanoff, A. T. (2002). Parental contributions to preschoolers' understanding of emotion. Marriage & Family Review, 34(3-4), 311-343. doi:10.1300/j002v34n03_06 

  45. Fox, C. L., Dean, S., & Lyford, K. (2013). Development of a humor styles questionnaire for children. Humor, 26(2), 295-319. doi:10.1515/humor-2013-0018 

  46. Hugelshofer, D. S., Kwon, P., Reff, R. C., & Olson, M. L. (2006). Humour's role in the relation between attributional style and dysphoria. European Journal of Personality, 20(4), 325-336. doi:10.1002/per.586 

  47. King, L. A., & Emmons, R. A. (1990). Conflict over emotional expression: psychological and physical correlat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8(5), 864-877. doi:10.1037//0022-3514.8.5.864 

  48. 5Kuiper, N. A., Grimshaw, M., Leite, C., & Kirsh, G. (2004). Humor is not always the best medicine: Specific components of sense of humo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Humor, 17(1/2), 135-168. doi:10.1515/humr.2004.002 

  49. Lyttle, Jim. (2007). The judicious use and management of humor in the workplace. Business Horizons, 50(3), 239-245. doi:10.1016/j.bushor.2006.11.001 

  50. Malatesta, C. Z., & Haviland, J. M. (1985). Signals, symbols, and socialization. The Socialization of Emotions, 5, 89-116. doi:10.1007/978-1-4613-2421-8_5 

  51. Martin, R. A., & Lefcourt, H. M. (1983). Sense of humor as a moderator of the relation between stressors and mood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5(6), 1313-1324. doi:10.1037/0022-3514.45.6.1313 

  52. Martin, R. A., Puhlik-Doris, P., Larsen, G., Gray, J., & Weir, K. (2003). Individual differences in uses of humor and their relation to psychological well-being: Development of the humor styles questionnaire.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37(1), 48-75. doi:10.1016/s0092-6566(02)00534-2 

  53. McGhee, P. E. (1976). Children's appreciation of humor: A test of the cognitive congruency principle. Child Development, 47(2), 420-426. doi:10.2307/1128797 

  54. Osborne, K., & Chapman, A. J. (1977). Suppression of adult laughter: An experimental approach. In A. J. Chapman, & H. C. Foot (Eds.), It's a funny thing, humour (pp. 429-431). Elmsford, NY: Pergamon. doi:10.1016/b978-0-08-021376-7.50084-x 

  55. Parke, R. D. (2000). Father involvement a developmental psychological perspective. Marriage & Family Review, 29(2-3), 43-58. doi:10.1300/j002v29n02_04 

  56. Piaget, J. (1952). Play, dreams and imitation in childhood. Journal of Consulting Psychology, 16(5), 413-414. doi:10.1037/h0052104 

  57. Varga, D. (2000). Hyperbole and humor in children's language play. Journal of Research in Childhood Education, 14(2), 142-151. doi:10.1080/025685400095947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