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에 따른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 능력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hildren's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Skills According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6, 2021년, pp.380 - 391  

이한나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심리학과 아동학전공) ,  성미영 (동덕여자대학교 아동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에 따라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서울 및 인천지역 소재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와 그 어머니 116쌍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및 독립표본 t-검증에 의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성별에 따라 슬픔의 정서성에 차이가 나타나서 여아가 남아보다 슬픔의 정서성이 더 높았고, 형제가 없는 유아보다 형제가 있는 유아의 어머니가 부정적 정서표현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정적 정서성이 낮은 유아보다 부정적 정서성이 높은 유아의 어머니가 부정적 정서를 더 많이 표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 능력은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116 pairs of 5-year-olds and their mothers who are attending at child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n Seoul and Incheon were selected for the study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the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hildren's ability to solve interpersonal problems. The data wer...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에 따라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대인 간 문제해결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이 아니라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을 기준으로 어머니 변인인 정서표현성과 유아 변인인 대인 간 문제해결 능력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유아 부정적 정서 성의 중요성을 확인하는 데 연구목적과 의의가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에 따라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대인 간 문제해결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이 아니라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을 기준으로 어머니 변인인 정서표현성과 유아 변인인 대인 간 문제해결 능력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유아 부정적 정서 성의 중요성을 확인하는 데 연구목적과 의의가 있다. 이와 더불어,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 유아의 대인 간 문제해결 능력이 유아의 성별과 형제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서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서울 및 인천지역 소재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116명과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유아의 성별, 형제 유무, 그리고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에 따라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대인 간 문제해결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에 근거한 논의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이 아니라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을 기준으로 어머니 변인인 정서표현성과 유아 변인인 대인 간 문제해결 능력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유아 부정적 정서 성의 중요성을 확인하는 데 연구목적과 의의가 있다. 이와 더불어,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 유아의 대인 간 문제해결 능력이 유아의 성별과 형제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서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1)

  1. L. G. Eaton, R. D. Collings, C. R. D'Agati, E. M. Moore, and M. C. Kellar, "Extraversion and ego-resiliency: Predicting electroencephalograph measured positive emotion," Individual Differences Research, Vol.5, No.3, pp.175-193, 2007. 

  2. 배윤미, 유아의 정서성과 정서조절전략이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3. S. D. Calkins and N. A. Fox, "Self-regulatory processes in early personality development: A multilevel approach to the study of childhood social withdrawal and aggression,"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Vol.14, No.3, pp.477-498, 2002. 

  4. M. K. Rothbart and J. E. Bates, "Temperament," In N. Eisenberg (ed.).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New York: Wiley, Vol.3, pp.105-176, 1998. 

  5. 김선희,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어머니의 우울이 유아의 내재화 행동문제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다변량잠재성장모형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제20권, 제5호, pp.421-446, 2016. 

  6. 임효진, "유아의 기질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긍정적 또래놀이 상호작용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교육종합연구, 제14권, 제3호, pp.143-161, 2016. 

  7. N. Eisenberg, R. A. Fabes, J. Bernzweig, M. Karbon, R. Poulin, and L. Hanish, "The relations of emotionality and regulation to preschoolers' social skills and sociometric status," Child Development, Vol.64, pp.1418-1438, 1993. 

  8. J. P. Demos, Past, present, and personal,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86. 

  9. 이승미, 하지영, 서소정, "유아의 기질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23권, 제2호, pp.277-298, 2016. 

  10. S. A. Denham and L. Grout, "Socialization of emotion: Pathway to preschoolers' emotional and social competence," Journal of Nonverbal Behavior, Vol.17, No.3, pp.205-227, 1993. 

  11. A. M. Kring, D. A. Smith, and J. M. Neale, "Individual differences in dispositional expressivenes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motional Expressivity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6, No.5, pp.934-949, 1994. 

  12. 김영미,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언어 통제 유형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13. N. Eisenberg, E. T. Gershoff, R. A. Fabes, S. A. Shepard, A. J. Cumberland, S. H. Losoya, I. K. Guthrie, and B. C. Murphy, "Mother's emotional expressivity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nd social competence: Mediation through children's regula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Vol.37, pp.475-490, 2001. 

  14. 안미정, 어머니의 행복감과 정서표현 유형이 유아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15. 정진선,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자아탄력성 및 유아교육기관 적응의 관계,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16. N. Eisenberg, J. Liew, and S. U. Pidada, "The relations of parental emotional expressivity with quality of Indonesian children's social functioning," Emotion, Vol.1, No.2, pp.116-136, 2001. 

  17. S. Ramsden and J. Hubbard, "Family expressiveness and parental emotion coaching: Their role in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nd aggression,"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Vol.30, pp.657-667, 2002. 

  18. N. Eisenberg, T. L. Spinrad, and N. D. Eggum, "Emotion-related self-regulation and its relation to children's maladjustment," Annual Review of Clinical Psychology, Vol.6, pp.495-525, 2010. 

  19. 송하나, "가족의 인구학적 변인과 아동의 정서적 반응이 부모의 정서표현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제44권, 제1호, pp.75-85, 2006. 

  20. 여은진, 이경옥, "남녀 유아의 정서조절 관련 변인에 대한 구조적 관계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6권, 제6호, pp.25-47, 2011. 

  21. 강상, 권가영, 류경희,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와 아버지의 애정적 양육태도: 정서지능과 대인문제 해결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제13권, 제4호, pp.329-356, 2013. 

  22. 박찬옥, 아동의 대인문제해결사고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6. 

  23. 차영남, 도덕과 교육과정과 연계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초등학생과 통합학급 또래학생의 사회적 기술과 교유관계 및 대인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4. G. Spivak, J. J. Platt, and M. B. Shure, The problem-solving approach to adjustment, San Francisco: Jossey-Bass, 1976. 

  25. 손승희, 이은해, "아동의 또래유능성과 대인간 문제해결 능력 및 어머니 양육행동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제42권, 제4호, pp.167-177, 2004. 

  26. K. H. Rubin and L. Rose-Krasnor,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nd social competence in children," In V. B. Van Hasselt & M. Hersen (Eds.), Perspectives in developmental psychology. Handbook of social development: A lifespan perspective, New York: Plenum Press, pp.283-323, 1992. 

  27. 김소민, 성소영, "자기표현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대인문제해결사고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17권, 제2호, pp.183-204, 2010. 

  28. 이유정, 배려 및 협력 중심의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대인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29. K. L. Klump, M. McGue, and W. G. Lacono, "Genetic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ity and eating attitudes and behavior,"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111, No.2, pp.380-389, 2002. 

  30. A. L. Singh and I. D. Waldman, "The etiology of associations between negative emotionality and childhood externalizing disorder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119, No.2, pp.376-388, 2010. 

  31. A. Sanson, S. A. Hemphill, and D. Smart, "Connections between temperament and social development: A review," Social Development, Vol.13, No.1, pp.142-170, 2004. 

  32. 오정순,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의도적 통제를 통해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33. P. A. Smiley, S. J. Tan, A. Goldstein, and J. Sweda, "Mother Emotion, Child Temperament, and Young Children's Helpless Responses to Failure," Social Development, Vol.25, No.2, pp.285-303, 2016. 

  34. 성미영,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또래놀이행동 간 관계에서 행동문제의 매개적 역할: 성차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제13권, 제5호, pp.1-17, 2017. 

  35. 하지영, "유아의 정서성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정서지도 신념의 조절효과," 한국보육학회지, 제17권, 제3호, pp.83-110, 2017. 

  36. 이여주,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관계, 호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37. M. K. Rothbart, Children's Behavior Questionnaire (Version. 1), 1996. 

  38. 권연희, 아동의 정서성과 대인간 문제 해결 전략 및 어머니 행동이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39. A. G. Halberstadt, J. Cassidy, C. A. Stifter, R. D. Parke, and N. A. Fox, "Self-expressiveness within the family context: Psychometric support for a new measure," Psychological Assessment, Vol.7, No.1, pp.93-103, 1995. 

  40. M. B. Shure and G. Spivack, Social adjustment of young children, San Francisco: Jossey-Bass, 1974. 

  41. 고현실,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및 정서표현 수용태도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42. 김미라, 어머니의 정서표현 양가성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정서수용태도의 매개효과,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43. G. L. Brown, A. B. Craig, and A. G. Halberstadt, "Parent gender differences in emotion socialization behaviors vary by ethnicity and child gender," Parenting, Vol.15, No.3, pp.135-157, 2015. 

  44. 김현지, 정경아, "유아의 또래상호작용 및 대인문제 해결력과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제7권, 제4 호, pp.273-299, 2011. 

  45. 박서연, 송하나,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귀인오류가 유아의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제10권, 제1호, pp.27-42, 2014. 

  46. 이지선, 정옥분, "부모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유아기 자녀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제23권, 제1호, pp.17-35, 2002. 

  47. 김현미, 도현심,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제25권, 제6호, pp.279-298, 2004. 

  48. 김언경,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동시성과 유아의 조망수용능력 및 대인문제해결능력 간의 관계,"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49. 박화윤, 마지순, 김민영, "유아의 대인관계 형성능력에 미치는 정서조절능력과 대인문제해결사고의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1호, pp.5083-5090, 2012. 

  50. D. S. Pellegrini, "Social cognition and competence in middle childhood," Child Development, Vol.56, No.1, pp.253-264, 1985. 

  51. 강경선, 박선미, "유아의 놀이성 및 정서지능이 대인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발표논문집, pp.299-299, 2018. 

  52. R. L. Selman, W. Beardslee, L. H. Schultz, M. Krupa, and D. Podorefsky, "Assessing adolescent interpersonal negotiation strategies: Toward the integration of structural and functional models," Developmental Psychology, Vol.22, No.4, pp.450-459, 1986. 

  53. D. R. Shaffer, Soci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4th ed.), Wadsworth/Thomson Learning, 2000. 

  54. 김주련, 송하나, "어머니와 교사의 정서표현성이 유치원 적응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부적 정서성과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31권, 제4호, pp.225-243, 2018. 

  55. 손현주,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놀이성 간의 관계: 어머니 정서표현 수용태도의 조절효과 및 긍정적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56. 송하나, 최경숙, "모자 상호작용에서 정서표현성이 아동의 사회 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제44권, 제11호, pp.51-65, 2006. 

  57. C. L. Lee and J. E. Bates, "Mother-infant interaction at age two years and perceived difficult temperament," Child Development, Vol.56, pp.1314-1325, 1985. 

  58. A. Sanson, D. Smart, M. Prior, and F. Oberklaid, "Precursors of hyperactivity and aggression,"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Vol.32, pp.1207-1216, 1993. 

  59. 성미영,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 전략과 유아의 정서성, 정서지식, 사건지식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제44권, 제5호, pp.59-68, 2006. 

  60. J. Belsky, "Variation in susceptibility to rearing influence: An evolutionary argument," Psychological Inquiry, Vol.8, pp.182-186, 1997. 

  61. J. Belsky, Differential susceptibility to rearing influence. Origins of the social mind: Evolutionary psychology and child development, NY: Guilford Press, 2005. 

  62. A. Thomas and S. Chess, Temperament and development, New York: Brunner/Mazel, 1977. 

  63. 최미숙, "유아의 인지수준과 사회적 유능성이 대인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력," 유아교육연구, 제31권, 제6호, pp.5-24, 2011. 

  64. 심혜숙, 왕정희, "초등학생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능력 및 대인문제해결력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3권, 제1호, pp.163-175, 2001. 

  65. S. A. Denham, J. Mitchell-Copeland, K. Strandberg, S. Auerbach, and K. Blair, "Parental contributions to preschoolers' emotional competenc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Motivation and Emotion, Vol.1, No.1, pp.65-86, 1997. 

  66. S. A. Denham, C. E. Brown, and C. E. Domitrovich, "Plays nice with others: Social-emotional learning and academic success,"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Vol.21, pp.652-680, 2010. 

  67. R. A. Fabes, N. Eisenberg, M. Karbon, J. Bernzweig, A. L. Speer, and G. Carlo, "Socialization of children's vicarious emotional responding and prosocial behavior: Relations with mothers' perceptions of children's emotional reactivity," Developmental Psychology, Vol.30, No.1, pp.44-55, 1994. 

  68. J. M. Gottman, L. F. Katz, and C. Hooven, "Parent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emotional life of families: Theoretical models and preliminary data,"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Vol.10, No.3, pp.243-268, 1996. 

  69. 고정리, "유아 기질 및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5호, pp.524-540, 2014. 

  70. 박혜정,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또래유능성 간의 관계: 유아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1호, pp.603-614, 2021. 

  71. 최윤희, 문혁준, "부모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7호, pp.221-228, 201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