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월경태도, 월경전증후군 및 스트레스반응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Menstrual Attitudes, Premenstrual Syndrome, and Stress Response on Quality of Life among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4 no.4, 2018년, pp.346 - 354  

장희진 (해운대 백병원) ,  성미혜 (인제대학교 간호학과.건강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identify effects of menstrual attitude, premenstrual syndrome, and stress response on quality of life of nursing students. Methods: Subjects were 135 nursing stude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간호대학생의 월경태도, 월경전증후군, 스트레스 반응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해 거의 다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월경태도, 월경전증후군, 스트레스반응 및 삶의 질 간의 관계를 확인 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여 간호대학생의 삶의 질을 높이기위한 효율적인 중재전략 마련에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월경태도, 월경전증후군, 스트레스반응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월경태도, 월경전증후군, 스트레 스반응 및 삶의 질을 확인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며 간호대학생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 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월경태도, 월경전증후군, 스트레스,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으며,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월경 태도, 월경전증후군, 스트레스반응 및 삶의 질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삶의 질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간호대학생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중재 전략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본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의 월경태도와 스트레스가 삶의 질과 상관관계는 있었으나 삶의 질 영향요인에서 제외된 것에 대한 규명이 필요하 다고 본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월경태도, 월경전증후군, 스트레스반응 및 삶의 질의 관계를 파악하고 간호대학생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월경태도, 월경전증후군, 스트레스,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으며,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삶의 질의 특징은 무엇인가 삶의 질은 건강수준이나 질병 정도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질병과 그에 따른 중재효과에 대해 대상자의 지각을 반영하며 치료와 중재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로 사용되고 있다[1].
월경태도와 월경전 증후군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월경은 일상적인 활동을 방해할 뿐 아니라 정신적, 신체적으로 가임기 여성의 삶에 주기적이고 계속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2]. 월경태도가 부정적일수록 월경전증후군은 심하게 나타나며, 월경전증후군이 심할수록 월경에 대한 부정적 태도가 증가하게 되는 악순환이 반복된다[3]. 매년 250만 명의 여성들에서 월경전증후군이 나타나는데[4], 지금까지 월경전증후군과 연령의 관계는 명확하지 않으며, 연령에 따른 월경전증후군의 유병율은 상반된 결과를 보이고 있다[5].
월경전증후군 측정척도는 어떤 문항으로 구성되었는가 월경을 하는 여성을 대상으로 개발한 월경전증후군 측정척도(Menstrual Distress Questionnaire, MDQ)[16]를 사용하 였으며 도구의 저작권을 소유한 ‘mind garden’을 통하여 도구를 구입 후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총 47문항으로, 행위변화 9 문항, 부정적 정서 9문항, 통증 7문항, 집중력 8문항, 수분 정체 6문항, 자율신경계 변화 6문항, 위장계 변화 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5점 Likert 척도로 각 문항은 ‘전혀 아니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으로 측정하였다. 점수범위는 47~235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월경 전 증상이 심한 것을 의미한다. 개발 당시의 도구[16]의 신뢰도 Cronbach’s ⍺는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Thomson DR, Yu CM.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oronary heart disease: Assessment tools.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2003;1(1):42-46. https://doi.org/10.1186/1477-7525-1-42 

  2. Ismail KMK, O'Brien PMS. Premenstrual syndrome. Current Obstetrics & Gynaecology. 2001;11(4):251-255. 

  3. Song JE, Chae HJ, Jang WH, Park YH, Lee KE, Lee SH,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yle, menstrual attitude and premenstrual syndrome in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Women Health Nursing. 2013;19(2):119-128. https://doi.org/10.4069/kjwhn.2013.19.2.119 

  4. Clayton AH. Symptoms related to the menstrual cycle: diagnosis, prevalence, and treatment. Journal of Psychiatric Practice. 2008;14(1):13-21. 

  5. Kim BM, Jung JI, Song YM, Lee JK, Yoo JH. Association of premenstrual syndrome with quality of life in young Korean women.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2008;29(2):108-113. 

  6. Lustyk MK, Widman L, Paschane A, Ecker E. Stress, Quality of life and physical activity in women with varying degrees of premenstrual symptomatology. Women and Health. 2004;39 (3):35-44. 

  7. Han SH, Hur MHS, Cho MK, Kang JY. Effects of aromatherapy on the stress response of college women with dysmenorrhea during menstru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2;32(3):317-326. 

  8. Lee JY, Lee JM, Lee CH, Cho JH, Jang JB, Lee KS. Analysis on the stress response inventory and heart rate variability of dysmenorrhoea patients. Journal of Oriental Obstetrics & Gynecology. 2008;21(1):216-239. 

  9. Yom YH, Lee KE. Factors affection eating attitude of female undergraduates in regard to BMI.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0;40(5):676-685. 

  10. Park BY, Shim OS. Predictors of quality of life in nursing students and general college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16;16(11):811-830. https://doi.org/10.22251/jlcci.2016.16.11.811 

  11. Park YR, Son YJ. Relationship of satisfaction with appearance self-esteem, depression, and stress to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women across the lifespa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9;16:353-361. 

  12. Park HH, Jang MY. The effect of nursing students' smartphone addic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level on quality of life.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2017;11(2):217-227. https://doi.org/10.21184/jkeia.2017.02.11.2.217 

  13. Lee MK, Kim KS, Cho MK, Ahn JW, Kim S. Study of stress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of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and factors associated with their quality of life. Journal of Muscle Joint and Health. 2014;21(2):125-134. 

  14. Kim MS. Comparison of dietary self-efficacy, obesity stress, and obesity 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BMI and stages of change in vegetable consumption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Academic Society Nursing Education. 2015;21(1):65-74. https://doi.org/10.5977/jkasne.2015.21.1.65 

  15. Yang DO, Youn GH. The relationship between increased years after menarche and attitudes toward menstruation.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2001;6(3):37-48. 

  16. Moos RH. The development of a menstrual distress questionnaire. Psychosomatic Medicine. 1968;30(6):853-867. 

  17. Koh KB, Park JK, Kim CH. Development of the stress response inventory.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0;39(4):707-719. 

  18. Choi SM, Kang TY, Woo JM.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odified form of the stress response inventory for workers.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6;45(6):541-553. 

  19. WHOQOL group. Study protocol for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project to develop a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strument (WHOQOL). Quality of Life Research. 1993;2:153-159. 

  20. Min SK, Lee CI, Kim KI, Suh SY, Kim DK.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WHO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 (WHOQOL-BREF).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 atric Association. 2000;39:571-579. 

  21. Shin MA, Jeong MH. The relationship between premenstrual syndrome and menstrual attitudes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06;12(1):43-51. 

  22. Park KE, Lee SE. A study on premenstrual syndrome and menstrual attitud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1;7(3):359-372. 

  23. Jang JH. The effects of motivation management program on stress response, self-efficacy and subjective well-being in the female university students with academic and career stress [master's thesis]. Seoul: Duksung Women's University; 2014. 83 p. 

  24. Park HH, Jang MY. The effect of nursing students' smartphone addic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level on quality of life.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2017;11(2):217-227. https://doi.org/10.21184/jkeia.2017.02.11.2.217 

  25. Choi SH, Ahn UM, Im MY. Relationship between living environment, health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by gender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Korean Society Living Environment System. 2016;23(1):55-71. 

  26. Kim MS, Noh GO, Kim SH.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QOL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7;19(4):2233-2245. 

  27. Yang SY. The mediated effects of quality of life, and moderating effects on premenstrual coping methods in relationship between premenstrual syndrome (PMS) and attitudes towards menstruation [master's thesis]. Daegu: Daegu Catholic University. 2018. 77 p. 

  28. Jeong EY, Kim KN. Influence of stress on snack consumption in middle school girls.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2007;1:349-355. https://doi.org/10.4162/nrp.2007.1.4.349 

  29. Goh KJ. The differences of stressors at grade and ways coping in nursing students. Medical Communication. 2010;5(2):79-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