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월경태도, 일상생활 스트레스,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월경전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Study on the effects of Menstrual Attitudes, Life Stress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on premenstrual syndrome i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10, 2020년, pp.361 - 370  

조미옥 (혜전대학교 간호학과) ,  양영미 (백석대학교 간호학과) ,  백경화 (경북보건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월경태도, 일상생활 스트레스,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월경전증후군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월경전증후군은 대상자의 월경에 대한 태도(r=.28, p=.004), 일상생활 스트레스(r=.31, p=.001) 그리고 임상실습 스트레스(r=.29, p=.003)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을 한 결과 월경전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요인은 운동의 규칙성과 월경통으로 나타났는데 즉,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지 않을수록(β=-.18, p=.006), 월경통이 심할수록(β=.51, p=.000) PMS를 더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38.0%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 of menstrual attitude, life stress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on premenstrual syndrome of nursing students.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22.0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imple linear regression. Pr...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PMS 정도를 확인하고 월경태도, 일상생활 스트레스 그리고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PMS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행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월경태도, 일상생활 스트레스, 임상실습 스트레스, PMS와의 관계를 확인하고, PMS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월경태도, 일상생활 스트레스, 임상실습 스트레스, 월경전증후군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PMS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월경태도, 일상생활 스트레스, 임상실습 스트레스 그리고 월경전증후군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PMS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PMS 정도를 확인하고 월경태도, 일상생활 스트레스 그리고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PMS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이를 통해 PMS 중재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MS의 치료목표는 무엇인가? PMS의 치료목표는 증상을 개선 또는 제거하고 일상생활이나 대인관계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키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 PMS 증상을 겪고 있는 여성에게는 우선 비약물요법 치료가 제공되어야 한다.
월경전증후군이란 무엇인가? PMS는 황체기에 시작하여 월경 후 4일 후에 끝나는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변화가 나타나는 주기적인 과정이다[4-6]. PMS의 정서적 증상으로는 우울감, 분노 폭발, 과민성, 울음, 불안, 혼동, 사회적 위축, 주의력 감소, 불면증, 낮잠의 증가, 성욕의 변화 등이 있으며, 신체적 증상으로는 식욕증가 및 특정 음식에 대한 갈망, 유방 압통, 체중증가, 두통, 손발의 붓기, 통증, 피로, 피부 문제, 위장장애, 복통 등이 있다[5].
PMS의 증상은 어떤것들이 있는가? PMS는 황체기에 시작하여 월경 후 4일 후에 끝나는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변화가 나타나는 주기적인 과정이다[4-6]. PMS의 정서적 증상으로는 우울감, 분노 폭발, 과민성, 울음, 불안, 혼동, 사회적 위축, 주의력 감소, 불면증, 낮잠의 증가, 성욕의 변화 등이 있으며, 신체적 증상으로는 식욕증가 및 특정 음식에 대한 갈망, 유방 압통, 체중증가, 두통, 손발의 붓기, 통증, 피로, 피부 문제, 위장장애, 복통 등이 있다[5]. PMS의 증상은 개인에 따라 다양하며 어느 연령대에서 발생할 수 있으나 사춘기와 20대 사이에서 흔하게 나타난다[4,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 D. A. Acikgoz & T. Binbay. (2017). Prevalence of premenstrual syndrome and its relationship to depressive symptoms in first-year university students. Saudi medical journal, 38(11), 1125-1131. DOI : 10.15537/smj.2017.11.20526 

  2. K. Dalton & R. Greene. (1953). The premenstrual syndrome. British Medical Journal, 1(4818), 1007-1014. DOI : 10.1136/bmj.1.4818.1007 

  3. M. J. Kim, Y. S. Nam, K. S. Oh & C. M. Lee. (2003). Some important factors associated with premenstrual syndrome Influence of excercise, menarche, and age on PMS. Journal of Physical Growth and Motor Development, 11(2), 13-26. 

  4. S. Hofmeister & S. Bodden. (2016). Premenstrual syndrome and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American Family Physician, 94(3), 236-240. 

  5. American College of Obstetricians and Gynecologists. (2015). Premenstrual syndrome. ACOG. https://www.acog.org 

  6. L. Hantsoo & C. N. Epperson. (2015).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 epidemiology and treatment. Philadelphia : Penn Center for Women's Behavioral Wellness. DOI : 10.1007/s11920-015-0628-3 

  7. C. N. Epperson, M. Steiner, S. A. Hartlage, E. Eriksson, P. J. Schmidt, I. Jones & K. A. Yonkers. (2012).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evidence for a new category for DSM-5.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69(5), 465-475. DOI : 10.1176/appi.ajp.2012.11081302 

  8. G. S. Jung, H. M. Oh & I. R. Choi. (2014). The influential factors on premenstrual syndrome college female students.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5), 3025-3036. DOI : 10.5762/KAIS.2014.15.5.3025 

  9. D. H. S. Kang. (2017). Influencing factors in premenstrual syndrome(PMS)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3), 277-286. DOI : 10.14400/JDC.2017.15.3.277 

  10. J. E. Song et al.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yle, menstrual attitude and premenstrual syndrome in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9(2), 119-128. DOI : 10.4069/kjwhn.2013.19.2.119 

  11. M. Clement, L. W. Jankowski, L. Bouchard, M. Perreault & Y. Lepage. (2002). Health behaviors of nursing students: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1(6), 257-265. DOI : 10.3928/0148-4834-20020601-06 

  12. K. S. Han & G. M. Kim. (2007). Comparison to self esteem, family adaptati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ymptoms of stress between nursing and other major university women student.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6(1), 78-84. 

  13. I. S. Park, R. Kim & M. H. Park. (2007).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Nursing Education, 13(2), 203-211. 

  14. N. Y. Yang & S. Y. Moon. (2013). The impact of health status,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ocial problem ability on college adjustment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Nursing Education, 19(1), 33-42. DOI : 10.5977/jkasne.2013.19.1.33 

  15. Y. J. Son, E. Y. Choi & Y. A. Song.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in nursing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18(4), 345-351. 

  16. Y. K. Yang, K. S. Han, M. H. Bae & S. H. Yang. (2014). Social support, academic stress, clinical practice stress in college student of nursing.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2(1), 23-34. 

  17. L. M. Dickerson & P. J. Mazyck & M. H. Hunter. (2003). Premenstrual syndrome. American Family Physician, 67(8), 1743-1752. 

  18. D. O. Yang. (2002). The relationship between increased years after menarche and attitudes toward menstruation.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19. G. G Jeon. H. Kim & J. S. Lee (2000). Development of the Revised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5(2), 316-335. 

  20. J. Y. Lee. (2007). A study on the psychosocial factor influencing he suicide ideation of university student. Master's Thesis. Kong Ju National University, Gongju. 

  21. S. J. Whang. (2002).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a tool for the nursing student's clinical stress. Jesus University, 14(1), 35-54. 

  22. R. H. Moos. (1968). The development of a menstrual distress questionnaire. Psychosomatic Medicine, 30(6), 853-867. DOI : 10.1097/00006842-196811000-00006 

  23. H. W. Kim & M. K. Kwon. (2004). Study on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MMDQ (Moos menstrual Distress Questionnair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Parent Child Health Journal, 7(2), 111-120. 

  24. H. Y. Jung. (2016). The convergence influence of life stress, depression and ego resiliency on college life adapta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7), 259-268. 

  25. J. Y. Kim, (2006). Self - Differentiation, Stress Level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Nursung Education, 12(2), 238-247. 

  26. K. S. Han et al. (2007) Interpersonal attachment style, emotional regulation, and symptoms of stress,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6, 198-204. 

  27. K. A. Yonkers, P. M. O'Brien & E. Eriksson. (2008). Premenstrual syndrome. Lancet, 371, 1200-1210. DOI : 10.1016/S0140-6736(08)60527-9 

  28. T. S. M. Cardoso & A. P. C. B. P. Leme. (2003). A equivalencia da danca do ventre a cinesioterapia na terapeutica da dismenorreia primaria. Fisioter Bras. 4(2). 96-102. 

  29. L. R. Gerzon, J. F. Padilha, M. M. Braz & A. Gasparetto. (2014). Fisioterapia na dismenorreia primaria: revisao de literatura. Rev Dor. 15(4), 290-2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