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출산 후 모성경험
Vietnamese Immigrant Women's Experience of Maternity after Childbirth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4 no.4, 2018년, pp.355 - 366  

권영은 (포항대학교 간호학과) ,  박정숙 (고신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essence of Vietnamese migrant women's maternal experience after childbirth. Methods: A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was used for this study. Study participants were six Vietnamese marriage migrant women who had experience of childbirth in Korea. Data collectio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출산이란? 출산은 여성에게 있어 단순한 생물학적 생식현상만이 아닌, 출산 사건이 일어나는 맥락 안에서의 가치, 신념으로 영향을 주는 사회와 통합된 현상이다[3]. 출산 중에서도 산후조리는 조상대대로 내려온 전통적 영역으로[4], 한국에서는 ‘산후조리를잘해야 평생이 건강하다’라는 오랜 신념이 현재 여성들에게도 전해져[3] 그 중요성이 강하게 전달되어져 왔음을 볼 수 있다.
한국 베트남 결혼이 주여성의 타국생활이라는 초기 적응 가운데 출산으로 삶의 전환기를 맞게 되는 부담을 줄여 건강한 산모로서의 한국 적응을 도와주는 것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한국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산후우울은 한국인 산모보다더 많고[9], 산후우울은 어머니 역할 적응과 가족발달에 부정 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10,11]. 따라서 한국 베트남 결혼이 주여성의 타국생활이라는 초기 적응 가운데 출산으로 삶의 전환기를 맞게 되는 부담을 줄여 건강한 산모로서의 한국 적응을 도와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한국 출산 관리에서 갈등을 예상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산후조리는 한국의 민간대중에 의한 전통적인 산후관리로, 여성의 체험을 통하여 산모와 신생아, 더 나아가 여성의 전 생애 주기 동안의 건강을 도모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 돌봄이라 할 수있다[5]. 베트남에도 한국의 산후조리와 같은 맥락으로 쓰이는 ‘어끄(ở cữ)’가 있고[6], 출산 후 무리를 하면 고질병으로 고생할 수 있다는 전통적 신념이 존재하여[7]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한국 출산 관리에서 갈등을 예상할 수 있다. 또한 이주여성의 출산을 통한 모성 전환은 문화적 적응을 동시에 경험하게 되므로 일반 여성의 모성전환과는 달라서 더욱 신중을 기하여야 한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Kim YO, Kim HM. What it means to form 'global households': A case study of Korean-Vietnamese families in South Korea. Gender and Culture. 2013;6(2):177-213. 

  2. Statistics Korea. The 2016 multicultural demographics statistics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6 [cited 2018 August 13].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1/index.board?bmoderead&bSeq&aSeq364679&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sTargettitle&sTxt%EB%8B% A4%EB%AC%B8%ED%99%94 

  3. Yoo EK, Integrated postpartal care: Sanhujori and nursing care. Seoul: Hyunmoonsa; 2004. p. 13-88. 

  4. Kim JH. The culture of childbirth among young urban Korean women: The perspective of culture change. Korean Cultural Anthropology. 2007;40(2):249-251. 

  5. Yoo EK, Kim HJ, Jung ES, Kim YC, Lee MJ, Kim TK, et al. Sanhujori guideline. Seoul: Fornurse; 2016. 155 p. 

  6. Van Vo Tu. The childbirth rituals of Coho Sre in Di Linh District, Lam Dong Province.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ment Journal. 2016;19(2):32-40. https://doi.org/10.32508/stdj.v19i2.748 

  7. Small R, Rice PL, Yelland J, Lumley J. Mothers in a new country: The role of culture and communication in Vietnamese, Turkish and Filipino women's experiences of giving birth in Australia. Women & Health. 1999;28(3):77-101. 

  8. Roh EH, Song JE. Grounded theory approach for becoming a mother of Chinese immigrant wome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7;21(3): 166-175. https://doi.org/10.21896/jksmch.2017.21.3.166 

  9. Choi EY, Lee EH, Choi JS, Choi SH. A comparative study on the postpartum depression of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Korean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1;17(1):39-51. 

  10. Logsdon MC, Wisner KL, Pinto-Foltz MD. The impact of postpartum depression on mothering.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 Neonatal Nursing. 2006;35(5):652-658. https://doi.org/10.1111/j.1552-6909.2006.00087.x 

  11. Song JE. Factors related to the childcare stress among primiparous women who delivered at women's health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09;13(2):158-170. 

  12. Oh EJ, Park JS, Kim YK, Lee HS, The meaning of pregnancy and childbirth experience of women in multi-cultural famil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3;17(2):256-269. 

  13. Cho HH, Park ES, Oh WO. Maternal conflicts of Vietnamese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4;44(6):617-629. 

  14. Kim SH. Health care experiences of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during pregnancy, childbirth, and postpartum period in Korea.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5;29(2):325-343. https://doi.org/10.5932/jkphn.2015.29.2.325 

  15. Giorgi A. The theory, practice, and evaluation of the phenomenological method as a qualitative research procedure. Journal of Phenomenological Psychology. 1997;28(2):235-260. https://doi.org/10.1163/156916297x00103 

  16. Lincoln YS, Guba EG.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s; 1985. p. 301-331. 

  17. Cho IJ, Hyun AN. Structural relations among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in married immigrant women based on the theory of the process of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Mental Health and Social Work. 2012;40(1):177-206. 

  18. Kim HR. Maternal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marriagebased women immigrants in Korea and policy direction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09;155:50-64. 

  19. Song JE, Park SM, Roh EH. The postnatal care experiences among first time Chinese immigrant mothers living in Korea.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6;22(1):48-60. https://doi.org/10.4069/kjwhn.2016.22.1.48 

  20. Rutter M. Maternal deprivation, 1972-1978: New findings, new concepts, new approaches.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1979;50(2):283-305. https://doi.org/10.2307/1129404 

  21. Joo EK, Yoo EK. Husbands' awareness of sanhujori, needs for education and family strength.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5;21(2):93-105. https://doi.org/10.4069/kjwhn.2015.21.2.93 

  22. Cohen S, McKay G. Social support, stress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A theoretical analysis. In: Baum A, Taylor SE, Singer JE, editors. Handbook of psychology and health. Hillsdale, NJ: Erlbaum; 1984. p. 253-267. 

  23. Lee LC, Hung CH. Predictors of post partum-stress in Vietnamese immigrant women in Taiwan. Japan Journal of Nursing Science. 2016;13(1):38-45. https://doi.org/10.1111/jjns.12084 

  24. O'Keane V, Marsh MS. Antidepressant prescribing and pregnancy: Comment on 'Prevalence and predictors of antidepressant use in a cohort of pregnant women', by Ramos et al. BJOG: An International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aecology. 2007; 114(9):1051-1054. https://doi.org/10.1111/j.1471-0528.2007.01388.x 

  25. Korea Multicultural Broadcasting. Multi-cultural postpartum caregiver like mother-in-law[internet]. Seoul: Korea Multicultural Broadcasting; 2015 [cited 2018 October 5]. Available from: http://www.kmbnews.co.kr/news/view.asp?idx1811&msec tion2&ssection84&page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