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자 중학생의 월경불편감과 수면장애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Menstrual Distress and Sleep Disturbance in Middle-school Girls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4 no.4, 2018년, pp.392 - 403  

박세영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  박소미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menstrual distress and characterize the relationship between menstrual distress and sleep disturbance in middle-school girls. Methods: Participants in this correlational study were 117 middle-school girls who were recrui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월경불편감 관련 선행연구에서 제시되고 있는 월경 관련 특성, 월경태도 등 생리·심리적 요인 이외에도 최근 환경문제가 건강의 중요한 화두로 대두되는 실정을 고려하여 환경호르몬 노출위험 생활양식과 월경불편감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불쾌증상 이론을 기반으로 월경불편감 관련 생리적, 심리적, 상황적 요인들을 개념적 기틀로 구성하여 초경을 시작하고 배란기가 안정기에 접어들 때까지 월경불편감을 흔하게 경험하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월경불편감 관련요인, 월경불편감과 수면장애의 관련성을 확인하여 여자 중학생의 월경불편감과 이로 인한 수면장애를 완화시키는 전략의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 또한 월경 관련 특성이나 월경태도와 같은 심리적 요인을 월경불편감의 관련요인으로 제시한 대부분의 선행연구와 달리 산업화의 가속화로 환경문제가 중요한 화두로 제시되고 있는 시점에 환경호르몬 노출 위험 생활양식과 월경불편감과의 관련성이 확인된 것은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이라 하겠다. 또한 월경불편감 정도와 수면장애 발생의 관련성을 확인하여 신체적, 정신적 성장기에 있는 청소년의 질적인 수면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월경불편감 중재가 선행되어야 함을 확인한 것도 본 연구의 의의라 하겠다.
  • 본 연구는 월경불편감을 흔하게 경험하는 초기 여자 청소년 중학생을 대상으로 흔하게 경험하는 건강문제인 월경불편감의 관련요인을 불쾌증상이론을 근거로 개념적 기틀을 구축하여 관련요인을 확인함으로서 미래세대의 건강과 직결되는 초기 청소년의 생식건강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이론적 근거를 제공했다는데 그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또한 월경 관련 특성이나 월경태도와 같은 심리적 요인을 월경불편감의 관련요인으로 제시한 대부분의 선행연구와 달리 산업화의 가속화로 환경문제가 중요한 화두로 제시되고 있는 시점에 환경호르몬 노출 위험 생활양식과 월경불편감과의 관련성이 확인된 것은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이라 하겠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 중학생을 대상으로 월경불편감과 수면장애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여자 청소년의 월경불편감으로 인한 수면장애를 완화시킬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여자 중학생의 월경불편감과 수면장애 간의 관련성을 규명하는 상관관계 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자 청소년의 월경불편감 관련요인과, 월경불편감과 수면장애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부모지지가 월경불편감으로 인한 수면장애를 완화시킬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본 연구의 개념적 기틀을 다음과 같이 구축하였다(Figure 1). 월경불편감은 여성이 경험하는 불쾌 증상 중 하나이므로 월경불편감 관련요인의 개념적 기틀로 Lenz 등[14]의 불쾌증상이론을 근거로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월경불편감 관련 선행연구에서 제시되고 있는 월경 관련 특성, 월경태도 등 생리·심리적 요인 이외에도 최근 환경문제가 건강의 중요한 화두로 대두되는 실정을 고려하여 환경호르몬 노출위험 생활양식과 월경불편감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월경불편감이란 무엇인가? 월경불편감은 배란 후 황체기에 느끼는 신체적, 정서적, 행동적으로 복합된 월경전증후군 증상과 통증을 동반한 월경곤란증을 의미하며, 본 연구에서 Yang [22]의 도구로 측정한 점수를 의미하며, 통증 관련 4문항, 부종 관련 증상 4문항, 부정적 정서 관련 증상 4문항의 총 12문항의 5점 Likert 척도로 총점 범위 12점에서 60점이다. 점수가 높을수록 월경불편감이 심한 것을 의미하며, Yang [22]의 신뢰도 Cronbach’s ⍺는 .
청소년에게 영향을 주는 상황적 요인들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청소년은 신체적, 심리적 성장단계에 있기 때문에 타인에 대한 의존성이 높아서 상황적 요인에 많은 영향을 받을 수 있다[12]. 특히, 초기 사춘기 여학생의 경우 초경이나 월경 시기에 경험하는 예민한 감정과 주변 환경의 영향으로 더 많은 스트레스에 노출되거나 과민하게 반응할 위험이 있어서 수면의 시간과 질의 저하, 정신건강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청소년의 수면 양상은 지지적인 부모양육태도에 영향을 받으며[13] 청소년의 월경 관련 건강문제는 부모의 지지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제시되고 있어[12] 초경을 경험하고 월경을 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여자 중학생의 경우 특히 부모지지가 유용한 지지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
초경 초기에 겪을 수 있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초경은 다른 2차 성징의 점진적인 변화와 달리 소녀에서 여성으로서의 변화를 나타내는 극적인 신호로 여성의 삶에서 중요한 변환점으로 인식되는 사건이다[1]. 그러나 초경 초기에는 월경전증후군이나 월경곤란증과 같은 월경불편감을 겪게 된다[2]. 한국 여성을 대상으로 한 생애주기별 건강인식 조사 결과에서도 초경 초기에 해당하는 중학생부터 고등학생까지의 청소년기에 가장 발생빈도가 높은 건강문제가 월경불편감으로 조사되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Marvan ML, Morales C, Cortes-Iniestra S. Emotional reactions to menarche among mexican women of different generations. Sex Roles. 2006;54(5-6):323-330. https://doi.org/10.1007/s11199-006-9002-6 

  2. Sharma P, Malhotra C, Taneja DK, Saha R. Problems related to menstruation amongst adolescent girls. Indian Journal of Pediatrics. 2008;75(2):125-129. https://doi.org/10.1007/s12098-008-0018-5 

  3. Rhee YM, Cho HN, Choi EJ, Choi KS, Lim JY, Park CY, et al. Korean study of women's health-related issues (K-Stori), 2016.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17;10(43):1138-1147. 

  4. Kim HO, Lim SW, Woo HY, Kim KH. Premenstrual syndrome and dysmenorrhea in Korean adolescent girls.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2008;51(11):1322-1329. 

  5. Vichnin M, Freeman EW, Lin H, Hillman J, Bui S. Premenstrual syndrome (PMS) in adolescents: severity and impairment. Journal of Pediatric and Adolescent Gynecology. 2006;19(6): 397-402. https://doi.org/10.1016/j.jpag.2006.06.015 

  6. Wie SU, Kim YM. Attitude toward menstruation, menstrual symptoms, and coping behaviors among Korean primary school student.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4;14(8):297-306. https://doi.org/10.5392/JKCA.2014.14.08.297 

  7. Jeon GE, Kim YI. Factors affecting dysmenorrhea of middle school gir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11;24(1):99-109. 

  8. Sohn GJ, Kim HJ, Kang SH, Lim MH, Chung HG, Choi JH, et al. Sleep patterns and predictors of daytime sleepiness in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y Association. 2014;53(6):426-433. https://doi.org/10.4306/jknpa.2014.53.6.426 

  9. Yun HJ. Effect of stress and sleep quality on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16;29(2):98-106. https://doi.org/10.15434/kssh.2016.29.2.98 

  10. Park DH. Menstruation and sleep.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2002;9(2):81-85. 

  11. Asci O, Gokdemir F, Kahyaoglu Sut H, Payam F. The relationship of premenstrual syndrome symptoms with menstrual attitude and sleep quality in Turkish nursing student. Journal of Caring Sciences. 2015;4(3):179-187. https://doi.org/10.15171/jcs.2015.018 

  12. Jeon JH, Hwang SK.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premenstrual syndrome in adolescent gir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4;44(6):660-671. https://doi.org/10.4040/jkan.2014.44.6.660 

  13. Brand S, Hatzinger M, Beck J, Holsboer-Trachsler E. Perceived parenting styles, personality traits and sleep patterns in adolescents. Journal of Adolescence. 2009;32(5):1189-1207. https://doi.org/10.1016/j.adolescence.2009.01.010 

  14. Lenz ER, Pugh LC, Milligan RA, Gift A, Suppe F. The middle- range theory of unpleasant symptoms: an update.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997;19(3):14-27. 

  15. Han YK, Hwang SH. A study on dysmenorrhea for female students at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in some colleges.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Dental Hygiene. 2011; 13(4):451-462. 

  16. Park SR. A study on middle school girls' menstrual symptoms, attitudes, and coping behaviors related menstruation [master's thesis]. Kwangju: Chonnam University; 2006. 48 p. 

  17. Hwang WY. Women's menstrual discomforts and coping. Health & Nursing. 2004;16(2):41-50. 

  18. Kim HK. Impact of pro-environmental behavior on dysmenorrh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2): 236-244. https://doi.org/10.4040/jkan.2011.41.2.236 

  19. Mendola P, Messer LC, Rappazzo K. Science linking environmental contaminant exposures with fertility and reproductive health impacts in the adult female. Fertility and Sterility. 2008; 89(2 Suppl):e81-e94. https://doi.org/10.1016/j.fertnstert.2007.12.036 

  20. Yoon SJ. Influence of type D personality, dietary assessment and increase exposure toward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on the dysmenorrh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8;22(1):17-24. https://doi.org/10.21896/jksmch.2018.22.1.17 

  21. Kim HJ, Kim MR. Recognition, information acquisition behavior, knowledge, behaviors to decrease exposure and education need toward endocrine disruptors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09;21(3):123-142. 

  22. Yang DO. The relationship between increased years after menarche and attitudes toward menstruation [master's thesis]. Gwangju: Chonnam University; 2002. 40 p. 

  23. Park SY. A study on stress coping styles in youth [master's thesis]. Chunche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1998. 86 p. 

  24. Lee MR. A study on the social support system to influence on the high school students' adaptation to school life [master's thesis]. Gyungsan: Daegu University; 2001. 72 p. 

  25. Johns MW. A new method for measuring daytime sleepiness: The Epworth sleepiness scale. Sleep. 1991;14(6):540-545. https://doi.org/10.1093/sleep/14.6.540 

  26. Park MJ, Lee IS, Shin EK, Joung HJ, Cho SI. The timing of sexual maturation and secular trends of menarchial age in Korean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2006;49(6):610-616. 

  27. Telama R, Yang X, Viikari J, Valimaki I, Wanne O, Raitakari O. Physical activity from childhood to adulthood: a 21-year tracking study.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005;28 (3):267-273. https://doi.org/10.1016/j.amepre.2004.12.003 

  28. De Sanctis V, Soliman AT, Elsedfy H, Soliman NA, Soliman R, El Kholy M. Dysmenorrhea i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a review in different country. Acta Bio-Medica. 2017;87(3):233-246. 

  29. Cho KJ, Lee MH.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s, stress, stress-coping and self-effic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10;16(2):120-127. https://doi.org/10.4094/jkachn.2010.16.2.120 

  30. Jung HJ. Effect research that parents' rearing attitudes gets in adolescents' character formation [master's thesis]. Seoul: Kyung Hee University; 2002. 91 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