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활동 특이적 균형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in Community-dwelling Old Adults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9 no.4, 2018년, pp.520 - 529  

김희량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  고영 (가천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Methods: This is secondary analysis of data from an intervention study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2 to Septembe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자료는 다중회귀분석에 적합하였다. ‘85세 이상’,‘낙상두려움으로 인한 활동제한’, ‘허리둘레’, ‘우울’, ‘주관적 건강감’이 활동특이적 자신감에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F=11.
  • 또한 활동특이적 자신감과 영향요인과의 직접적인 인과관계를 확인하지 못한 단면연구로써 결과해석에 제한점이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남녀 노인을 한 집단으로 활동특이적 균형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남녀별로 허리둘레, 에너지 소비량, 악력은 남녀의 정상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연속변수로써 유의미한 독립요인들이 남녀에서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활동 특이적 균형자신감 수준과 영향요인을 확인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활동특이적 균형자신감 수준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활동특이적 균형자신감은 65.
  • 본 연구는 허약예방 통합 프로그램 효과평가 연구(1044396-201604-HR-025-02)에서 수집한 자료에 대한 이차자료분석연구이다. 본 연구대상은 K시에 위치한 경로당을 이용하는 노인으로 인지적, 신체적 장애요인이 없고 의사소통이 가능한 65세 이상 노인이다.
  • 또한 활동 특이적 균형자신감의 관련요인을 확인하는 일부 연구에서 신체적 및 기능적 요인, 심리적 요인을 모두 고려한 연구는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거주하는 건강한 노인의 활동 특이적 균형자신감 정도를 확인하고 일반적 특성 및 건강 관련 특성, 신체적 기능 및 심리적 요인이 활동 특이적 균형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는 향후 지역사회에서 낙상예방을 위해 활동 특이적 균형자신감 향상을 위한 중재방향 및 위험집단을 확인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자료는 K시 보건소 소속 정신보건간호사 1명, 간호사 9명, 운동처방사 1명이 K시에 위치한 16개소 경로당 회원 중 인지 기능강화 프로그램 참여에 자발적으로 서면 동의한 대상자에게 2017년 3월부터 9월까지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조사자간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연구책임자가 설문지작성에 대한 교육과 확인을 실시하여 측정자간 신뢰도를 최대한 유지하고자 노력하였다. 활동 특이적 균형자신감, 일반적 특성과 건강 관련 특성은 설문지를 이용하여 간호사와 운동처방사가 직접 읽어주고 답하도록 하였으며, 신체적 기능인 악력과 3m TUG는 직접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활동 특이적 균형자신감이란? 활동 특이적 균형자신감은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다양한 국가에서 낙상[6,9,10], 사망과 삶의 질[11]을 예측하며, 낙상과 관련된 자기효능감[11], 신체적 기능수준[8], 낙상두려움[5]과 관련성이 높은 측정도구로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되었다. 일부 국내외 연구에서 활동 특이적 균형자신감의 관련요인에 대한 보고가 있다.
활동 특이적 균형자신감은 무엇이며, 어떤 효과가 있나? 활동 특이적 균형자신감은 활동, 균형, 자신감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집안에서의 활동뿐만 아니라 집 밖의 외부 활동에 대해서 광범위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자신감을 연속선상을 보는 자기효능감 이론에 근거하여 개발된 도구로 노인 중에서 중간 이상의 기능 수준이 높은 대상자들의 균형손실을 평가하고 있어 지역사회 기반 낙상예방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측정 변수로 유용하다고 보고하고 있다[5-7]. 노인을 대상으로 한 전향적 연구에서도 활동 특이적 균형자신감, 낙상두려움과 3m 왕복걷기(Time UP & Go, TUG)가 낙상에 유의미한 예측변수이며, 전체 낙상 예측력 49.
고령화와 관련된 우리나라의 특징 및 전망은?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에 비해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노인인구의 비율이 2018년 14.3%, 2060년에는 40.1%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1]. 2017년 노인실태조사에서 지난 1년간 노인의 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Elderly Statistics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7 [cited 2018 April 20]. Available from: http://kosis.kr/publication/publicationThema.do 

  2. Jang KW, Oh Y, Lee YK, Oh M, Kang E, Kim KR, et al. 2017 living profile of older people survey in Korea. Research Report.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 2017 November. Report No.: 11-1352000-000672-12. 

  3. Lee JH, Ahn EM, Kim GE, Jeong YK, Kim JH, Kim JH, et al. The effects of falling and fear of falling on daily activity levels in the elderly residing in Korean rural community.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2009;13(2):79-88. 

  4. Kim YH, Yang KH, Park KS. Fall experience and risk factors for falls among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013;20(2):91-101. 

  5. Jang SN, Cho SI, Ou SW, Lee ES, Baik HW.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fall efficacy scale (FES) and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scale (ABC).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2003;7(4):255-268. 

  6. Kim SH, Kim SK, Kang CY, Kim SJ, Lee HJ. Fall risk analysis of elderly living in the ci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6;14(5):485-491. 

  7. Powell LE, Myers AM. The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ABC) scale.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1995;50(1):M28-M34. https://doi.org/10.1093/gerona/50A.1.M28. 

  8. Landers MR, Oscar S, Sasaoka J, Vaughn K. Balance confidence and fear of falling avoidance behavior are most predictive of falling in older adults: prospective analysis. Physical Therapy. 2016;96(4):433-442. https://doi.org/10.2522/ptj.20150184. 

  9. Cleary K, Skornyakov E. Predicting falls in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using the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scale.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2017;72:142-145. https://doi.org/10.1016/j.archger.2017.06.007 

  10. Moiz JA, Bansal V, Noohu MM, Gaur SN, Hussain ME, Anwer S, et al.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scale for predicting future falls in Indian older adults. Clinical Interventions in Aging. 2017;12:645-651. https://doi.org/10.2147/CIA.S133523 

  11. Schott 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German short version of the activities specific balance confidence (ABC-D6) scale in older adults.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2014;59(2):272-279. https://doi.org/10.1016/j.archger.2014.05.003 

  12. Han DW, Park KY.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risk of fallings among rehabilitation patients with impaired of mobility: focusing on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3;20(3):220-299. https://doi.org/10.7739/jkafn.2013.20.3.220 

  13. Kim OH, Lee EK, Kim EM. Effects of fall prevention program on fall efficacy scale and activities-specific of balance confidence scale in rural resi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1;25(2):187-196. 

  14. Springstroh KA, Gal NJ, Ford AL, Whiting SJ, Dahl WJ. Evaluation of handgrip strength and nutritional risk of congregate nutrition program participants in Florida. Journal of Nutrition in Gerontology and Geriatrics. 2016;35(3):193-208. https://doi.org/10.1080/21551197.2016.1209146 

  15. Podsiadlo D, Richardson S. The timed "Up &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1991;39(2):142-148. https://doi.org/10.1111/j.1532-5415.1991.tb01616.x 

  16. Rikli RE, Jones CJ.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6-minute walk test as a measure of physical endurance in older adults. Journal of Aging and Physical Activity. 1998;6(4):363-375. https://doi.org/10.1123/japa.6.4.363 

  17. Kim GW, Kim MH, Kim BG, Kim JR, Kim TH, Moon SW, et al. Standardization of diagnostic tools for dementia. Research Report. Gyeonggido, Seongnam: Bundang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2009 December. Report No.: 11-1351000-000589-01. 

  18. Kee BS.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 Association. 1996;35(2):298-307. 

  19. Son J, Kim S, Won C, Choi H, Kim B, Park M. Physical frailty predicts medical expenses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patients: three-year prospective findings from living profiles of older people surveys in Korea. European Geriatric Medicine. 2015;6(5):412-416. https://doi.org/10.1016/j.eurger.2015.05.003 

  20. Yim ES, Kim DS, Kim BH. Comparisons of the falls and intrinsic fall risk factors according to gender in the elderly at transitional periods of life.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3;13(12):276-290. https://doi.org/10.5392/JKCA.2013.13.12.276. 

  21. Jung YM, Lee SE, Chung KS.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falls according to health status in elderly living in the communit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06;26(2):291-303. 

  22. Yoo I. Fall and housing environmental problem of the couple and singl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2005;12:199-205. 

  23. Lim JY, Kim BH, Park JH, Lee SB, Paik NJ, Kim KW. The effect of age and gender in physical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in Korean elderly: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n health and ag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2007;31(4):457-465. 

  24. Jeon BJ, Lee JS, Lee OJ, Shim MS, Han SJ, Chang YS.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falls of the elderly in rural area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009;17(4):99-112. 

  25. Hinton R, Moody RL, Davis AW, Thomas SF. Osteoarthritis: diagnosis and therapeutic considerations. American Family Physician. 2002;65(5):841-848. 

  26. Boulgarides LK, McGinty SM, Willett JA, Barnes CW. Use of clinical and impairment-based tests to predict falls by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Physical Therapy. 2003;83(4):328-339. https://doi.org/10.1093/ptj/83.4.328 

  27. Bandura A. Social cognitive theory of self-regulation.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1991;50(2):248-287. https://doi.org/10.1016/0749-5978(91)90022-L 

  28. Choi K, Ko Y.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fear of falling and activity restriction in South Korean older adults. Journal of Aging and Health. 2015;27(6):1066-1083. https://doi.org/10.1177/0898264315573519 

  29. Kim JM, Suh HK. Risk factors for falls in the elderly by lifecycle.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10;27(1):21-34. 

  30. Ko Y, Lee IS. Factors affecting the self-rated health of vulnerabl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09;20(1):31-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