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확률론적 기법을 활용한 건설현장 외부 인명피해 정량화 모델 개발
Quantification Model Development of Human Accidents on External Construction Site by Applying Probabilistic Method 원문보기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18 no.6, 2018년, pp.611 - 619  

하선근 (School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University of Ulsan) ,  김태희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Mokpo National University) ,  손기영 (School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University of Ulsan) ,  김지명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Mokpo National University) ,  손승현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Kyung Hee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까지의 건설 안전관리와 리스크에 관한 연구들은 건설현장 내부(근로자)에 한정되어 있어 건설현장 외부(제 3자)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그 결과, 건설현장 주변의 일반인들이 피해를 받고 있으며 산재 다발이라는 부정적인 이미지로 언론이나 일반 대중들에게 투영되고 있다. 일반 대중들에게 부정적인 이미지를 탈피하기 위해서는 건설현장 내부(공종, 건축물)에만 집중되어있는 기존의 안전관리가 아닌 건설 현장 외부(제 3자)에 대해서도 고려된 종합적 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설 현장 외부(제 3자)의 인명사고 리스크를 정량화하고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리스크가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 예측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첫째,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불안전한 상태와 인명사고 발생형태를 정의한다. 둘째, 14년 간 건설현장 외부에서 발생한 제 3자 인명 손해배상액 데이터를 수집한다. 셋째, 수집된 데이터의 사고내용을 분석하여 사고 발생분석 모델을 설정한다. 넷째, 리스크 정량화 모델을 구축하고 불안전한 상태, 인명사고 발생형태별 사고발생확률과 손해배상액 확률분포를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도출된 사고 형태별 분포결과를 분석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건설현장 내 외부 안전관리 체크리스트 개발 및 인명사고 예측 관리 시스템 개발의 참고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searches have only conducted regarding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and risk on interior construction site(workers) and is insufficient about the exterior construction site(third party). As a result, ordinary people who were near construction sites have injured and hold a negative view when ...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건설현장 내부에만 집중되어있는 기존의 안전 관리 아닌 건설현장 외부에 대해서도 고려된 종합적 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써 건설현장 외부(제 3자) 인명사고를 정량화를 수행하기 위해 14년 간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제 3자 인명사고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의 사고내용을 분석하여 인명사고 발생모델을 설정하였으며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모델에 입력변수로 작용하는 불안전한 상태와 인명사고 발생형태별 사고발생 확률과 의확률분포를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건설현장 외부에 대한 인명사고(제3자 대인) 정량화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5가지 단계를 수행하였으며 다음 Figure 1과 같이 나타내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실제 건설현장 외부에서 안전관리 미흡으로 발생한 인명사고 보상지급액(제 3자 대인 손해배상액)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고원인분석(Level 1), 인명사고 발생 형태(Level 2)에 대한 정량화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선·후행요인과 결과요인을 정의하고 사고발생 및 분석 모델을 설정해야한다.
  • 즉,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제3자 대인 손해배상 데이터는 상당히 제한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4년간의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건설현장의 제 3자 인명피해 리스크를 정량화하기 위해 제3자 대인 손해배상액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 건설현장 외부에서 안전관리 미흡으로 발생한 인명사고 보상지급액(제 3자 대인 손해배상액) 데이터를 활용하여 건설현장 외부의 인명피해 리스크 정량화 모델 구축을 수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건설현장 내·외부 안전관리 매뉴얼 개발 기초연구로 수행되었으며 향후 참고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가설 설정

  • 117으로 정규성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보상지급액이 로그정규분포의 특징을 가지고 있음으로 로그정규분포로 가정하고자 한다.
  • 49)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손해배상액의 경우, 데이터 수가 15개 이상이면 분포적합도 검정을 수행하였으며 15개 미만의 경우에는 분포 위치를 가정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모두 로그정규분포로 나타났으며 Code B-2(15.
  • 로그정규 분포를 가정하기 위해서는 평균, 표준편차, 위치가 필요하다. 이에, 정규성 검증을 수행한 후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위치는 전체 보험비 분포의 위치로 가정하였다. 정규성 검증을 수행하는 이유는, 경험적 데이터를 토대로 확률분포를 가정할 시, 기존의 데이터가 정규성을 만족해야하기 때문이다[16].
  • 687)로 나타났다. 즉, 손해배상액 데이터는 전반적으로 로그정규분포를 따름으로써 인명사고 발생형태별 손해배상액의 분포는 로그정규 분포로 가정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설공사보험이란 무엇인가? 건설공사보험이란 토목 및 건설공사의 발주자, 시공자 등 모든 이해관계자가 사전에 인지하지 못한 사고로 인해 공사 목적물, 자재 및 가설물, 공사용 중장비 등에 발생한 물적 손해와 제 3자에 대한 대인, 대물 배상책임손해를 종합적으로 보상받을 수 있는 보험이다. 제 3자란 보험자(노동부장 관, 근로복지공단, 건설공제조합 등), 보험가입자(사업주), 피보험자(사업주 소속 근로자), 보험수입자(피재근로자, 유족)의 관계가 없는 자를 말한다.
건설업의 재해율이 매년 증가하고 있는 걸 보아 현재 안전관리수준은 어떠한가? 하지만, KOSHA(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의 산업재해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건설업의 재해율은 2013년 23,349명에서 2017년 25,649명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1]. 이는, 안전의식의 중요성이 증가한 만큼 안전관리수준도 향상 되어야하지만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건설업의 작업환경의 특성상 체계적으로 수행하지 있지 못함을 의미한다.
공사장에서의 사고내용분석을 위해 어떤 모델을 사용하였는가? 본 연구는 건설현장 내부에만 집중되어있는 기존의 안전 관리 아닌 건설현장 외부에 대해서도 고려된 종합적 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써 건설현장 외부(제 3자) 인명사고를 정량화를 수행하기 위해 14년 간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제 3자 인명사고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의 사고내용을 분석하여 인명사고 발생모델을 설정하였으며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모델에 입력변수로 작용하는 불안전한 상태와 인명사고 발생형태별 사고발생 확률과 의확률분포를 제시하였다. 불안전한 상태의 사고발생 확률은 작업통로 등 장소불량이 평균 56회, 방호조치의 부적절이 평균 15회로 높게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Lee HS. Current status of industrial accident occurrence in 2016 [Internet]. Seoul(Korea):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7 Mar[cited 2017 Apr 12]. 27 p. Available from: http://www.kosha.or.kr/cms/generate/FileDownload.jsp?content_id370792&category_id554&version5.1&file_name370792_2016.hwp 

  2. Go SS, Song H, Lee HM. Development of the safet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risk index for the building construction work.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005 Jun;21(5):113-20. 

  3. Lee JJ, Lee CS. Accident characteristics of aged construction worker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008 Mar;24(5):201-8. 

  4. Kim DC, Kim HJ. A plan of the accident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analysis of disaster information in construction project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001 Dec;17(11):139-45. 

  5. Anh H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accident classification systems for construction industry.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996 Jun:12(6):241-54. 

  6. Lee JS, Hong JS, Kim JJ. A self-control safety management activity model in construction sites through analysis of success factor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2008 Oct;8(5):109-17. 

  7. Shin WS, Son CB. Analyzing the image status of construction industry and its improvement measure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013 Oct;29(10):141-8. 

  8. Shim KB.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industrial safety effects on construction site. 1st ed. Seoul (Korea): Construction & Econom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2007. 124 p. 

  9. The Business Roundtable. More construction for the money[Internet]. Washington D.C(USA): The Business Roundtable; 1983 Jan. Available from: http://faculty.ce. berkeley.edu/tommelein/BRTMoreConstructionForTheMoney.pdf. 

  10. Everett JG, Frank JrPB. Costs of accidents and injuries to the construction industry.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996 Jun;122(2):158-64. 

  11. Hinze J, Appelgate LL. Costs of construction injurie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991 Sep;117(3):537-50. 

  12. Ha SG, Kim TH, Son KY, Kim JM. Quantification model development of human accidents based on the insurance claim payout on construction sit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2018 Apr;18(2):151-9. 

  13. Heinrich HW. Industrial accidents prevention: A scientific approach. 4th ed. New York(USA): McGraw-Hill Book; 1959. 480 p. 

  14. Yu YJ, Son KY, Kim JM. Risk analysis using construction insurance claim payout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2016 Aug;16(4):349-57. 

  15. Jornadan M. Analyze future risk using simulation. 1st ed. Seoul (Korea): Eretec; 2005. 549 p. 

  16. Kim DG, Park JS, Lee JH. Evaluation on intersection safety with respect to signalization and left-turn treatments. Seoul Studies. 2008 Sep;9(3):107-1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