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우사상이 발생함에 따라 시설용량을 초과하여 미처리된 상태로 방류수계에 직접 배출되는 합류식 관거 월류수(Combimed Sewer Overflows, CSOs) 및 분류식 관거 월류수(Separated Sewer Overflows, SSOs)의 관리는 집중호우가 잦아지는 근래에 들어 그 관리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밀집도가 높은 도심지에 적용성이 유리한 여과기술은 지속적인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CSOs에 적용된 사례가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로프형 섬유여재가 적용된 Pilot 규모의 수평흐름식 여과장치를 CSOs에 적용하기 위해 공정최적화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인공시료를 적용한 사전연구와 하수를 적용한 현장연구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인공시료를 적용한 사전연구에서 여재 자체의 손실수두는 약 1.1cm정도로 분석되었고, 선속도 10m/hr 증가에 따라 약 0.1cm 정도의 손실수두 증가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S 제거효율은 81.4% 정도로 안정적이었고, 여과지속시간은 6시간 이상 유지되었으며, 공기역세척만으로도 98% 정도의 손실수두 평균 회복율을 보였다. 하수를 적용한 현장평가에서는 여재의 조기폐색을 방지하기 위한 전처리공정으로 벨트 형 미세스크린(450mesh 이상)를 적용했을 때 2시간 내외의 여과지속시간을 확보할 수 있었고, 평균 83.9%의 SS 제거효율을 나타내었다. CSOs 및 SSOs에 여과공정 적용을 위해서는 효율적 측면보다 여과지속시간의 안정적 유지를 위한 수리적 측면을 보완하기 위해서 전처리공정과의 조합이 중요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건기와 비교하여 우기의 유입하수 수질은 다소 낮은 보였으며, 이는 분류식 관거 비율이 높은 배수구역의 특성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우기와 건기의 유입수질에 따른 제거효율 차이는 미미하였다.
강우사상이 발생함에 따라 시설용량을 초과하여 미처리된 상태로 방류수계에 직접 배출되는 합류식 관거 월류수(Combimed Sewer Overflows, CSOs) 및 분류식 관거 월류수(Separated Sewer Overflows, SSOs)의 관리는 집중호우가 잦아지는 근래에 들어 그 관리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밀집도가 높은 도심지에 적용성이 유리한 여과기술은 지속적인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CSOs에 적용된 사례가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로프형 섬유여재가 적용된 Pilot 규모의 수평흐름식 여과장치를 CSOs에 적용하기 위해 공정최적화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인공시료를 적용한 사전연구와 하수를 적용한 현장연구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인공시료를 적용한 사전연구에서 여재 자체의 손실수두는 약 1.1cm정도로 분석되었고, 선속도 10m/hr 증가에 따라 약 0.1cm 정도의 손실수두 증가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S 제거효율은 81.4% 정도로 안정적이었고, 여과지속시간은 6시간 이상 유지되었으며, 공기역세척만으로도 98% 정도의 손실수두 평균 회복율을 보였다. 하수를 적용한 현장평가에서는 여재의 조기폐색을 방지하기 위한 전처리공정으로 벨트 형 미세스크린(450mesh 이상)를 적용했을 때 2시간 내외의 여과지속시간을 확보할 수 있었고, 평균 83.9%의 SS 제거효율을 나타내었다. CSOs 및 SSOs에 여과공정 적용을 위해서는 효율적 측면보다 여과지속시간의 안정적 유지를 위한 수리적 측면을 보완하기 위해서 전처리공정과의 조합이 중요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건기와 비교하여 우기의 유입하수 수질은 다소 낮은 보였으며, 이는 분류식 관거 비율이 높은 배수구역의 특성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우기와 건기의 유입수질에 따른 제거효율 차이는 미미하였다.
The management of Combined Sewer Overflows(CSOs) and Separated Sewer Overflows(SSOs) discharge directly to the effluent system in an untreated state, which occurs when the facility capacity is exceeded due to heavy rain,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in recent years as the heavy rain becomes a regul...
The management of Combined Sewer Overflows(CSOs) and Separated Sewer Overflows(SSOs) discharge directly to the effluent system in an untreated state, which occurs when the facility capacity is exceeded due to heavy rain,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in recent years as the heavy rain becomes a regular phenomenon. Despite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filtration technology, targeting densely populated urban areas, CSOs are rarely applied.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ptimize the process to apply CSOs in a pilot-scale horizontal flow filtration system with a rope-type synthetic fiber.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in two steps: a preliminary study using artificial samples and a field study using sewage. In the preliminary study using an artificial sample, head loss of the filter media itself was analyzed to be approximately 1.1cm, and the head loss was increased by approximately 0.1cm as the linear velocity was increased by 10m/hr. In addition, the SS removal efficiency was stable at 81.4%, the filtration duration was maintained for more than 6 hours, and the average recovery rate of 98% was obtained by air backwashing only. In the on-site evaluation using sewage, the filtration duration was approximately 2 hours and the average removal efficiency of 83.9% was obtained when belt screen (over 450 mesh) was applied as a pre-treatment process to prevent the premature clogging of filter media. To apply the filtration process to CSOs and SSOs, it was concluded that the combination with the pre-treatment process was important to reinforce the hydraulic dimension for the stable maintain of operation period, rather than efficiency. Compared to the dry season, the quality of incoming sewage was lower in the rainy season, which was attribu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ainage area with higher sanitary sewerage.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removal efficiency according to the influent quality of the wet season and dry season was small.
The management of Combined Sewer Overflows(CSOs) and Separated Sewer Overflows(SSOs) discharge directly to the effluent system in an untreated state, which occurs when the facility capacity is exceeded due to heavy rain,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in recent years as the heavy rain becomes a regular phenomenon. Despite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filtration technology, targeting densely populated urban areas, CSOs are rarely applied.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ptimize the process to apply CSOs in a pilot-scale horizontal flow filtration system with a rope-type synthetic fiber.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in two steps: a preliminary study using artificial samples and a field study using sewage. In the preliminary study using an artificial sample, head loss of the filter media itself was analyzed to be approximately 1.1cm, and the head loss was increased by approximately 0.1cm as the linear velocity was increased by 10m/hr. In addition, the SS removal efficiency was stable at 81.4%, the filtration duration was maintained for more than 6 hours, and the average recovery rate of 98% was obtained by air backwashing only. In the on-site evaluation using sewage, the filtration duration was approximately 2 hours and the average removal efficiency of 83.9% was obtained when belt screen (over 450 mesh) was applied as a pre-treatment process to prevent the premature clogging of filter media. To apply the filtration process to CSOs and SSOs, it was concluded that the combination with the pre-treatment process was important to reinforce the hydraulic dimension for the stable maintain of operation period, rather than efficiency. Compared to the dry season, the quality of incoming sewage was lower in the rainy season, which was attribu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ainage area with higher sanitary sewerage.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removal efficiency according to the influent quality of the wet season and dry season was small.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평흐름식 여과기술을 CSOs에 적용하기 위한 공정최적화에 집중하였으며, 탁수의 여과특성을 수리측면과 효율측면에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제안 방법
여과반응조는 W2.4m × L1.0m × H1.2m 규격으로 제작하였고, 내부에 칸막이 형태로 여재카트리지를 7단까지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시료를 이용한 사전실험과 S하수처리장에서 유입하수를 적용한 현장실험으로 구분되어 수행되었다. 사전실험에서 사용된 인공시료는 325mesh 이하의 입자로 조제된 상업용 황토를 이용하였고, 평균 TSS 농도 250㎎/L를 목표로 제조하였다.
인공시료를 이용한 사전실험에서는 시료제조를 위해 인접한 하천수를 취수하여 공급하였고, 실험장치를 거쳐 처리된 유출수는 다시 하천으로 배출하도록 하였다. 유입수조에 교반기와 수중펌프를 설치하여 균일한 시료가 연속 공급되도록 하였고, 유량계량조에서 by-pass의 밸브 개도조절하는 방식으로 유량을 조절하였다.
인공시료를 이용한 사전실험에서는 시료제조를 위해 인접한 하천수를 취수하여 공급하였고, 실험장치를 거쳐 처리된 유출수는 다시 하천으로 배출하도록 하였다. 유입수조에 교반기와 수중펌프를 설치하여 균일한 시료가 연속 공급되도록 하였고, 유량계량조에서 by-pass의 밸브 개도조절하는 방식으로 유량을 조절하였다. 유량은 무부하 조건에서 0.
하수를 적용한 현장실험에서는 처리장 내 분배조에서 유입수를 취수하였고, 전처리과정을 거친 후 유량계량조로 유입시키도록 하였다. 이후의 과정은 사전실험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이후의 과정은 사전실험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현장실험에서 적용된 전처리과정은 여재의 조기폐색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다음의 세가지 조건으로 변경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각 조건별 여과반응조의 운전특성 및 성능변화를 고찰하였다. 조건 1은 섬유여과 기술의 기본 구성으로 전처리 과정에서 경사판 침전조가 조합된 구성이다.
사전실험과 현장실험에서 공통적으로 여재의 수리적 특성평가는 손실수두의 변화 및 여과지속시간의 변화 등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고, 수질면에서는 SS 제거특성을 중심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여과기술의 수리적 특성은 손실수두를 계측하여 평가하였다. 손실수두는 여과반응조 내부에 장착된 눈금자를 가동시간에 따라 육안으로 확인하여 그 차이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여과기술의 수리적 특성은 손실수두를 계측하여 평가하였다. 손실수두는 여과반응조 내부에 장착된 눈금자를 가동시간에 따라 육안으로 확인하여 그 차이를 산출하였다. 여과기술의 고형물 제거효율 평가를 위해 SS를 분석하였으며, SS는 중량법으로 분석하였다.
그림에서 초기 1일부터 5일까지는 조건 1에 준하여 운전한 결과로 평균 73%의 SS 제거효율을 보였으나 가동 39분만에 여재의 조기폐색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여과지속시간의 증가를 위해 가동 7일부터 10일까지는 조건 2에 준하여 운전하였다. 그 결과, SS 제거효율은 77.
따라서, CSOs의 안정적인 처리를 위해서는 최소한 여과지속시간이 2시간 내외로 유지되어야 초기강우에 의한 고농도 오염물을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여과지속시간을 보다 더 증가시키기 위해 조건 3으로 전처리공정을 강화하여 가동하였다. 가동 12일부터 15일까지는 조건 3에 준한 결과이며, SS 제거효율은 84.
로프형 섬유여재가 적용된 Pilot 규모의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CSOs의 안정적 처리를 위해 공정최적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는 인공시료를 적용한 사전연구와 하수를 적용한 현장연구로 구분하여 수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로프형 섬유여재가 적용된 Pilot 규모의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CSOs의 안정적 처리를 위해 공정최적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는 인공시료를 적용한 사전연구와 하수를 적용한 현장연구로 구분하여 수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대상 데이터
여재는 금속재질의 사각 판재 가운데에 수로용 홀을 W1.16m × H0.9m 규격으로 내고 유입부에 로프형 여재를 고정하여 제작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여과장치는 유입수조, 유량계량조, 여과반응조로 구성되어 있다. 부대설비로 역세척을 위한 송풍기가 설치되어 있다.
부대설비로 역세척을 위한 송풍기가 설치되어 있다. 유입수조는 2㎥ 용량의 PE재질로 제작된 탱크를 2조 설치하여 병행사용하였고, 유량계량조는 V-notch type으로 제작하여 설치하였다. 여과반응조는 W2.
본 연구에서 사용된 여재는 고리모양으로 제조된 로프형 섬유여재로, PE, PP, 나일론 재질의 3종류의 원사를 이용하여 제작되었다. 여재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다음의 Table 2에 나타내었다.
9m 규격으로 내고 유입부에 로프형 여재를 고정하여 제작되었다. 5단~7단으로 여재판을 조합하여 필터카트리지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시료를 이용한 사전실험과 S하수처리장에서 유입하수를 적용한 현장실험으로 구분되어 수행되었다. 사전실험에서 사용된 인공시료는 325mesh 이하의 입자로 조제된 상업용 황토를 이용하였고, 평균 TSS 농도 250㎎/L를 목표로 제조하였다. 현장실험에서 는 유입하수를 그대로 적용하였다.
이론/모형
손실수두는 여과반응조 내부에 장착된 눈금자를 가동시간에 따라 육안으로 확인하여 그 차이를 산출하였다. 여과기술의 고형물 제거효율 평가를 위해 SS를 분석하였으며, SS는 중량법으로 분석하였다. 유입수에 함유된 고형물의 입자분포는 AccuSizer 780A 모델의 입도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여과기술의 고형물 제거효율 평가를 위해 SS를 분석하였으며, SS는 중량법으로 분석하였다. 유입수에 함유된 고형물의 입자분포는 AccuSizer 780A 모델의 입도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외의 수질항목에 대해서는 공해공정시험법에 준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유입수에 함유된 고형물의 입자분포는 AccuSizer 780A 모델의 입도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외의 수질항목에 대해서는 공해공정시험법에 준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성능/효과
현장실험에서 는 유입하수를 그대로 적용하였다. 인공시료와 하수 모두 0~10 ㎛ 범위의 입자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하수 내 입자가 황토입자보다 더 미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각 시료의 입자분포는 아래의 Table 3과 Fig.
청수 유입조건(무부하조건)에서 여재의 손실수두는 여과선속도 변화에 따라 선형적 증가추이를 보였다. 선속도 15.
2)인 것으로 나타났다. 각 운전주기별 제거효율은 81.4%인 것으로 분석되었고, 80% 이상의 효율을 6시간 이상 유지하는 안정성을 보여주었다. 가동 6시간이 지난 이후에는 고형물 제거효율이 80% 이하로 미세하게 감소되는 경향을 보여 6시간 전에 역세척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4kg/m2이었다. 이 같은 결과를 종합한 평균 회복율은 98.0%로 분석되었다.
8에 나타내었다. 그림에서 초기 1일부터 5일까지는 조건 1에 준하여 운전한 결과로 평균 73%의 SS 제거효율을 보였으나 가동 39분만에 여재의 조기폐색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여과지속시간의 증가를 위해 가동 7일부터 10일까지는 조건 2에 준하여 운전하였다.
따라서, 여과지속시간의 증가를 위해 가동 7일부터 10일까지는 조건 2에 준하여 운전하였다. 그 결과, SS 제거효율은 77.8%로, 여과지속시간은 75분으로 증가하였다. 초기강우에 의한 고농도의 CSOs의 발생은 지역적 차이가 크지만 강우발생 후 약 2시간 정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여과지속시간을 보다 더 증가시키기 위해 조건 3으로 전처리공정을 강화하여 가동하였다. 가동 12일부터 15일까지는 조건 3에 준한 결과이며, SS 제거효율은 84.4%로, 여과지속시간은 90분으로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가동 후 16일경에 폐색된 7단 및 6단 여재를 제거한 후 재가동한 결과 여과지속시간이 120분까지 증가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4%로, 여과지속시간은 90분으로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가동 후 16일경에 폐색된 7단 및 6단 여재를 제거한 후 재가동한 결과 여과지속시간이 120분까지 증가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0에 나타내었다. SS의 제거효율은 조건 1, 조건 2, 조건 3의 경우에 대해 각각 73.0%, 77.8%, 83.9%의 최종제거효율을 보였고, 여과방류수의 수질은 조건 3에 대하여 평균 45mg/L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처럼 각 조건에 따른 제거효율의 차이는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강제여과 원리에서 기인된 것으로 추정된다.
11에 나타내었다. 선속도 11.8m/hr로 운전한 경우 손실수두가 10cm까지 증가하는데 소요된 시간은 평균적으로 약 185분이었고, 선속도를 14.7m/hr로 증가시켜 운전한 경우 손실수두가 10cm까지 증가하는데 소요된 시간은 평균적으로 약 158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선속도를 20.
7m/hr로 증가시켜 운전한 경우 손실수두가 10cm까지 증가하는데 소요된 시간은 평균적으로 약 158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선속도를 20.0m/hr, 25.9m/hr로 증가시키면 손실수두가 10cm까지 증가하는데 각각 평균 121분, 78분이 소요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CSOs 및 SSOs를 여과처리함에 있어 고형물에 의한 저항력보다는 수리부하에 의한 저항력이 훨씬 큰 것으로 판단된다. 선속도별 역세척회복율 분석 결과에서는 선속도를 20m/hr 이하로 운전한 경우에는 선속도 변화에 따라 역세척회복율이 99.4% 수준을 유지하면서 큰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반면, 선속도를 25.
본 개발기술을 적용하여 처리했을 때 SS의 제거효율은 청천시와 강우시가 각각 84.0%, 83.9% 수준으로 거의 같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이 외의 수질항목에 대해서도 유입수질 및 제거효율에 있어 매우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9% 수준으로 거의 같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이 외의 수질항목에 대해서도 유입수질 및 제거효율에 있어 매우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1) 여재 자체가 갖는 손실수두는 약 1.1cm정도로 분석되었고, 선속도 10m/hr 증가에 따라 약 0.1cm 정도의 손실수두 증가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인공시료 적용 시 SS 제거효율은 81.4% 정도로 안정적이었고, 여과지속시간은 6시간 이상 유지되었다. 역세척공기 선속도 66.
4% 정도로 안정적이었고, 여과지속시간은 6시간 이상 유지되었다. 역세척공기 선속도 66.3m/hr에서 15분간 공기역세를 수행할 경우 손실수두 평균 회복율은 약 98%로 분석되었다.
3) 본 연구를 수행한 S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된 하수를 적용한 현장평가에서 유입수의 직접여과는 여재의 조기폐색을 유발하므로 전처리공정으로 벨트형 미세스크린(450mesh 이상)을 적용함으로써 2시간 내외의 여과지속시간을 확보할 수 있었다.
4) 오염물 제거효율 측면에서 전처리 조건에 따라 효율차이는 크지 않았고 이는 강제여과 방식의 여재적용에서 기인된 것으로 사료된다.
5) CSOs 및 SSOs에 여과공정 적용을 위해서는 효율적 측면보다 여과지속시간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이며, 전처리공정에 의해 여과공정의 수리적 특성이 크게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6) 우기의 유입하수 수질은 건기와 비교하여 대부분의 수질항목에서 낮은 농도로 분석되었고, 이는 분류식 관거 비율이 높은 배수구역의 특성에서 기인된 것으로 추정된다. 우기와 건기의 유입수질에 따른 제거효율 차이는 미미하였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SOs 및 SSOs의 유출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CSOs 및 SSOs는 배수구역의 토지이용 형태, 강우강도 및 지속시간 등 지역적 특성에 따라 유출특성이 크게 달라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뿐만 아니라, 관로내부에 누적되어 있던 침전물이 유량증가에 의해 재부상하여 유출되면서 월류 초기에 건기 시 오수성상에 비하여 높은 오염물질 농도를 나타낸다.
수평흐름식 여과장치를 CSO에 적용하기 위해 인공시료를 적용한 사전연구 결과 SS 제거효율과 여과지속시간은 어떻게 되는가?
1cm 정도의 손실수두 증가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S 제거효율은 81.4% 정도로 안정적이었고, 여과지속시간은 6시간 이상 유지되었으며, 공기역세척만으로도 98% 정도의 손실수두 평균 회복율을 보였다. 하수를 적용한 현장평가에서는 여재의 조기폐색을 방지하기 위한 전처리공정으로 벨트 형 미세스크린(450mesh 이상)를 적용했을 때 2시간 내외의 여과지속시간을 확보할 수 있었고, 평균 83.
월류수는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하수관거는 오염된 물의 분리배재를 통한 수체보호의 목적과 강우 시 우수의 신속한 배수를 위한 치수의 목적으로 건설된다. 즉, 강우사상이 발생되면 우수가 하수와 함께 또는 분리되어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거나 방류수계로 직접 유출된다. 이 과정에서 처리장이나 관로의 용량을 초과한 하·우수는 미처리된 상태로 월류하여 수계로 직접 유출되는데 이를 월류수(Overflows)라 칭한다. 월류수는 관거의 방식에 따라 합류식 관거 월류수(Combined Sewer Overflows, CSOs) 와 분류식 관거 월류수(Sanitary Sewer Overflows, SSOs)로 분류된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