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해연보기반 남해연안지역 풍랑피해 예측함수 개발
Development of the Wind Wave Damage Predicting Functions in southern sea based on Annual Disaster Repor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2, 2018년, pp.668 - 675  

추태호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김영식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심상보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손종근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 세계적으로 도시화와 산업화의 발달은 많은 양의 전력을 필요로 하였다. 그리하여 연안 지역에 원자력 발전소를 비롯한 주요 사회기반시설의 건설이 가속화되었다. 또한 지구 온난화와 이상 기후 현상에 의해 자연 재해의 강도는 증가하고 있다. 자연 재해는 발생 지점과 규모를 예측하기 어렵고,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에 영향을 주고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연안 지역의 피해 예측과 재해 규모의 산정은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예측 가능한 기상 자료를 바탕으로 풍랑 피해의 피해액을 예측하고 예측한 결과를 바탕으로 풍랑 피해에 대하여 사전 대비 차원의 재난 관리가 가능할 것이라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재해 통계 자료가 부족한 시 군 구는 인접한 기상 관측소의 자료를 활용하는 지역은 군집분석을 활용하였다. 예측 가능한 기상자료와 지역 등급을 반영하였고, 재해 통계를 기반으로 남해연안지역의 풍랑 피해 예측함수를 개발 하였고, 검증 작업으로는 NRMSE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 NRMSE는 1.61%에서 21.73%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ntinuing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around the world has required a large amount of power. Therefore, construction of major infrastructure, including nuclear power plants in coastal areas, has accelerated. In addition, the intensity of natural disasters is increasing due to global war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렇듯 기존의 풍랑피해예측에 관한 자료는 부족할 뿐만 아니라 일기도를 활용하거나 수치모형을 이용하는 방법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앞서 제안된 풍랑피해 예측함수는 최대 유의파고, 최대 평균파고 등 예측이 되지 않는 기상인자를 활용하였기 때문에 효율성이 부족하며,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개발된 풍랑피해 예측함수를 보완하고 예측 가능한 기상인자를 활용한 풍랑피해 예측함수를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재해통계를 기반으로 남해연안지역 풍랑피해 예측함수 개발을 목표로 진행되었으며, 기상청 바다 날씨 자료와 국립해양조사원의 조위자료 지역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연안재해취약성 평가체계((Coastal Disaster Assessment System, CDAS)의 연안재해노출지수(CODI),연안재해민감도지수(COSI). 연안재해노출지수(CPII)를 반영하여 남해연안지역의 풍랑피해에 대한 예측함수를 개발했다.
  •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바다날씨자료와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제공하는 조위관측소 조위자료를 예측함수 개발에 사용하였다. 현재 기상청은 우리나라연안에 국내부이 11개소, 파고부이 43개소, 국내등표 9개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기상청 홈페이지에 자료를 공개하고 있다.
  • 연안재해노출지수(CPII)를 반영하여 남해연안지역의 풍랑피해에 대한 예측함수를 개발했다. 본 연구에서는 남해연안 전 지역의 풍랑피해예측함수 적용을 위해 데이터의 개수가 부족한 지역에 대해 군집분석을 수행했고 남해연안 18개 지역에 대한풍랑피해 예측함수를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 본 연구에서는 재해통계를 기반으로 남해연안지역을 대상으로 풍랑피해 예측함수를 개발하여 재해가 발생하기 전 정확하고 신속하게 피해규모를 예측하고 풍랑피해에 대하여 재해를 관리하고자 한다. 풍랑피해는 재해가 예상될 때 기상청에서 풍랑주의보와 풍랑경보의 기상특보를 발표하여 재해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업화의 발달과 도시화의 영향은? 산업화의 발달과 도시화로 인한 지구온난와의 가속화와 기후의 변화는 해수면을 상승시켰고, 이상기후 현상을 유발하여 태풍, 폭우, 폭염, 가뭄 등 자연재해의 발생빈도와 강도를 증가시켰다. 하지만 자연재해는 넓은 범위와 다양한 원인으로 범위와 규모의 예측이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풍랑피해에 대한 자료가 부족한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나요? 풍랑은 재해로 분류되고 10년 밖에 지나지 않았기 때문에 풍랑피해에 대한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호우, 해일, 강풍을 동반하는 태풍에 의해 일어난 피해이력 중 선박, 어항, 수리·방조제 등 풍랑피해로 간주할 수 있는 1991년부터 2015년까지의 피해를 추가로 수집하여 풍랑피해 예측함수 개발에 활용하였다[17][18]. 남해 연안지역의 총 피해건수는 316건으로 풍랑 피해건수는 25건 태풍피해 건수는 291건으로 분석되었다.
풍랑이란? 풍랑(wind wave)이란 해상에서 바람에 의해 일어나는 파도를 의미한다. 풍랑은 2005년 자연재해대책법이 개정되며 호우, 태풍, 지진 등과 함께 풍랑은 자연재해로 분류되었으며, 2006년부터 국민안전처(구 소방방재청)에서 발간하는 재해연보에 수록되기 시작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