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해통계기반 남해연안지역 풍랑피해액예측함수 제안
Proposal for Wind Wave Damage Cost Estimation at the Southern Coastal Zone based on Disaster Statistic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4, 2017년, pp.267 - 274  

추태호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윤관선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권용빈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박상진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김성률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태풍, 지진, 홍수, 폭우, 가뭄, 폭염, 풍랑, 쓰나미 등과 같은 자연재해는 발생지점과 규모를 예측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인간생활에 피해를 주고 있다. 하지만, 재해통계를 기반으로 과거피해사례와 피해액을 분석하여 예상피해액을 산출할 수 있다면, 산출한 결과를 바탕으로 즉시 초동조치에 임할 수 있고, 피해를 최소한으로 저감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남해연안지역을 대상으로 풍랑피해액예측함수를 제안한다. 본 예측함수는 재해연보('91년~'14년)에 기록된 풍랑 및 태풍의 재해통계, 남해연안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인자, 해안 기상조건을 설명변수로 개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atural disasters such as typhoon, earthquake, flood, heavy rain, drought, sweltering heat, wind wave, tsunami and so on, are difficult to estimate the scale of damage and spot. Also, these disasters were being damaged to human life. However, if based on the disaster statistics the past damage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풍랑 및 해일예측에 관한 기술개발 및 연구가 다양하게 개발되어 왔지만 과거피해이력을 기반으로 해수면상승과 지역특성을 고려한 풍랑피해액예측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의 기상인자와 국립해양조사원이 제시한 지역특성을 고려하여 풍랑피해액예측함수를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정확한 피해액 산출을 위해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의 생산자 물가지수를 활용하여 과거와 현재의 물가차이를 일치시켰다. 2014년을 기준으로 1991년에서 2013년까지의 피해액을 [표 3]에 제시된 배수로 풍랑 및 태풍 피해액을 환산 하였다.
  • 재해연보는 기간별, 시도별, 수게별, 원인별로 크게 구성되있으며, 여기서 시도별-원인별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피해유형검토결과남해안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서 국립해양조사원에서 발간한 연안재해취약성 평가체계(CADS) 구축 결과보 고서를 검토하였다. 여기서, 연안지역에서 재해 및 자연 현상의 위험성을 나타낸 수치인 연안재해노출지수 (CODI), 자연재해가 발생할 때 그 피해를 증가시키는 요인을 나타낸 지수인 연안민감도지수(COSI) 그리고 연안재해노출지수(CODI)와 연안민감도지수(COSI)에 가중치를 두어 계산한 지수인 연안재해영향지수(COPI) 를 노출 및 민감도에 따라 1등급부터 5등급까지 5단계로 분류하여 구분하여 DB화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상이나 재해예측을 위한 방법은 어떻게 나뉘는가? 기상이나 재해예측을 위한 방법으로는 일기도를 이용하는 방법과 기상관측소에서 수집한 기상변수 값들을 수치모델에 입력하여 측정하는 방법으로 나뉜다. 일기도를 이용한 방법은 과거의 일기도와 현재 일기도를 비교하여 재해를 예측하는 방법으로 누적된 과거의 일기도의 양이 상당하여 모두 탐색하기에 시간이 많이 소요 된다.
풍랑은 무엇인가? 연안에서 발생하는 재해 중 해일과 풍랑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정확한 예측이 어려우므로 방재시스템 구축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여기서, 풍랑이란 해상에서 바람에 의해 일어나는 파도이며, 바람에 따라 미세한 파도가 나타나다가 풍속이 1∼2m/s 이상이 될 때 이때의 파도를 풍랑이라 한다. 기상청은 2004년 7월부터 기존에 있던 해상의 폭풍특보와 파랑특보를 종합하여 풍랑 특보로 개선하였으며, 2005년에 자연재해대책법을 전문개정하였다.
연안 지역이 재해 발생 시 엄청난 인명 및 재산 피해가 수반될 수밖에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리고 전 세계 인구의 23%가 연안 지역에 거주하고 있으며 인구 천만 이상 대도시의 2/3 가 연안에 위치하고 있다[3-5]. 하지만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과 자연재해 발생빈도 및 강도의 가속화에 비해 풍랑이나 태풍해일이나 지진해일과 같은 대형 재해에 대한 재해발생지점 및 시점에 대한 정확한 예측과 방재시스템의 구축 등의 대비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재해 발생 시 엄청난 인명 및 재산 피해가 수반될 수밖에 없는 곳이다[6][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the physical science basis, "Working Group I contribution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2.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IPCC), IPCC Fourth Assessment Report, Climate Change, 2007 (AR4),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nited Kingdom and New York, USA, 2007. 

  3. 김현수, 김유근, 송상근, 정주희, 손고은, 김동식, 김형섭, 김지원, "연안산업 분야별 수요조사를 통한 맞춤형 연안기상 콘텐츠설계방안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제22권, 제4호, pp.481-492, 2013. 

  4. J. E. Cohen, C. Small, A. Mellinger, J. Gallup, and J. Sachs, "Estimates of coastal populations," Science, Vol.278, No.5341, pp.1209-1213, 1997. 

  5. M. L. Martinez, A. Intralawan, G. Vazquez, O. Perez-Maqueo, P. Sutton, and R. Landgrave, "The coasts of our world: Ecological, economic and social importance," Ecological Economics, Vol.63, No.2, pp.254-272, 2007. 

  6. 박정재, "해수면 상승 및 해일로 인한 자연재해와 대응 방안," 국토지리학회지, 제43권, 제3호, pp.435-454, 2009. 

  7. C. Small and R. J. Nicholls, "A global analysis of human settlement in coastal zones," J. of Coastal Research, pp.584-599, 2003. 

  8. 조용식, "동일본 지진해일과 방재대책," 한국시설 안전공단 시설안전지, 제38호, pp.9-21, 2011. 

  9. 정우영, 이창희, 김기홍, "재난 공동 대응을 위한 지자체 컨소시엄 구성 방안,"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제21권, 제2호, pp.71-83, 2013. 

  10. O. Sim, "Resilient Urban Areas Against Climate Change: A Synergistic Approach to Urban Hazard Mitigation (I),"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2010. 

  11. WMO Secretariat, "Recommendations for Wave Observations," Joint WMO/IOC Commission for Oceanography & Marine Meteorolgy(JCOMM), 2007. 

  12. 조광우, 맹준호, " 우리나라 해수면 상승 대응방향에 관한 소고," 한국해양환경 에너지학회지, 제10권, 제4호, pp.227-234, 2007. 

  13. 송태관, 지구 온난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이 연안 방재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14. 김윤배, 김상미, "동해 외해역 해양 기상 특성 및 풍랑특보와 부이 관측 자료 비교 (2006-2013)," 수산해양교육연구, 제26권, 제5호, pp.1013-1025, 2014. 

  15. 엄정아, 이승수, 김슬기, 김준영, 김가영, 이동현, "2004년부터 2013년 까지 바람과 연관된 피해 발생 지역의 지역적 특성," 한국풍공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pp.219-220, 2015. 

  16. 김성대, 정경태, 박수영, "Boussinesq 방정식을 이용한 동해지진해일 수치실험 연구," Ocean and Polar Research, 제29권, 제1호, pp.9-31, 2007. 

  17. 윤종성, 강종국, 조상우, 전희진, "마산?진해만에서의 폭풍해일 및 침수피해 예측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 공동학술대회, 2006. 

  18. 김유근, 정주희, 배주현, 오인보, 권지혜, 서장원, "VVRF 모형을 통한 복잡 연안지역에서의해상풍 모의 개선," 한국대기환경학회지 제22권, 제3호, 2006. 

  19. 오성탁, 이재동, 이지형, "SVM 을 이용한 한국의 풍랑 예측," In Proceedings of KIIS Fall Conference, 제23권, 제2호, 2013. 

  20. 이혜우, 이지형,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를 이용한 풍랑 예측,"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학술발표논문집, 제24권, 제2 호, pp.77-78, 2014. 

  21. 이다운, 이호만, 서장원, 유승협, 윤용훈, "신경망을 이용한 폭풍해일 예측 연구,"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제41권, 제5호, pp.661-670, 2005. 

  22. 강태순, 오형민, 이해미, 엄호식, "태풍 내습으로 인한 연안역 해일 취약성 평가," 해양환경안전학회, 제21호, 제5권, pp.608-616,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