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 기술 및 보안 위협 분석
Analysis of Technology and Security Threats on Blockchain 원문보기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Digital Industry and Information Management, v.14 no.4, 2018년, pp.47 - 56  

전은아 (한국폴리텍대학교 모바일정보통신과) ,  이철희 (한국폴리텍대학교 모바일정보통신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analyzed security threats and suggested countermeasures about the block chain technologies which has emerged as a core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e know that increasing the security leads to slow down program processing rate in the block chain systems. The block chain system...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세계적으로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로 부각되고 있는 블록체인의 주요 기술에 대해 보안 위협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제안하였다. 블록체인 기술에 대해 많은 기술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보안성을 향상 시키는 경우 발생하는 속도 저하 등의 문제 등에 대해 해결하지 못한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으며, 현재 기술 발달의 초기 단계인 블록체인 기술이 경제ㆍ사회의 인프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기술의 연구를 통한 발전과 더불어 적극적인 관련 정책 추진이 필요할 것이다.
  • 만일 전체 채굴성능이 50%이상의 성능을 공격자가 구비하고 있다면 길이가 긴 상충된 블록체인을 생성하는데 높은 성공 확률을 보유하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또한 블록체인을 생성하는 네트워크를 일부 단절시켜 단절된 네트워크를 제외한 채굴 성능의 50%를 유지하여 공격에 성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2018년 7월 캐나다 중앙은행이 대형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대한 이중지불 공격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대응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안으로 게임이론을 응용해 이중지불 공격으로부터 작업증명 합의 프로토콜의 보안과 공공원장기록의 불가역성을 보장할 수 있는지를 이중지불 가상공격을 실시하여 거래 확인 지연을 증가시켜 이중지불 공격의 위험을 낮출 수 있다고 하였으며, 거래 관련 서비스나 상품을 제공하기에 앞서 확인해야 할 블록 수를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이중지불이 발견될 때 권장되는 최초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블록체인의 장점은 무엇인가? 미래를 위한 핵심 기술로 블록체인에 대한 관심은 인공지능을 뛰어 넘는 위대한 기술로 평가가 되고 있으며, 블록체인의 신뢰를 기반으로 현재 암호 화폐, 가상통화 그리고 가상화폐 등 금융권에서 활발한 기술 발전을 보이고 있으며, 세계경제포럼(WEF, World Economic Forum)은 2016년 8월 보고서를 통해 블록체인이 세계 금융 시스템 의 중심이 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또한 블록체인은 탈중개성(P2P-based), 보안성(Secure), 신속성(Instantaneous), 확장성(Scalable), 투명성(Transparent) 등의 장점으로 큰 관심을 받고 있으며, 혁신적인 서비스에서의 블록체인 기술이 많이 고려되고 있다.
블록체인 기술의 개인정보 관련 문제에 대한 대응 방안에는 무엇이 있는가? 현재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된 분야 중 인터넷을 통한 채굴 및 거래 과정에서 자동으로 기록되는 IP주소, 거래시간 등 개인정보 성격의 정보를 내재하고 있어 개인정보에 대한 유출 우려도 제기되고 있으며,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암호화를 적용하는 경우에도 암호키 관리에 대한 문제로 다시 귀결된다. 이에 대한 대응방안으로 유출로 인한 2차 피해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개인정보에 대해 암호학적인 방식을 적용하여 보호해야하며, 개인정보가 보호되지 않는다면 거래 과정에서 개인정보에 대한 요구사항을 제한적으로 사용해야한다. 블록의 내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특정인에 대한 정보가 너무 많으면 개인의 보안이 침해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블록체인이란 무엇인가? 블록체인(Block chain, Blockchain)은 관리 대상 데이터를 '블록'이라고 하는 소규모 데이터들이 P2P 방식을 기반으로 생성된 체인 형태의 연결고리 기반 분산 데이터 저장환경에 저장되어 누구라도 임의로 수정할 수 없고 누구나 변경의 결과를 열람할 수 있는 분산 컴퓨팅 기술 기반의 데이터 위변조 방지 기술이다. 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고경찬 외, "블록체인 네트워크 모니터링 및 분석 시스템," KNOM Conf. 2018.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신뢰할 수 있는 4차 산업혁명을 구현하는 블록체인 기술 발전전략," 2018. 

  3. 금융보안원, " 블록체인 개발 플랫폼 현황 및 활용 사례," 2016. 

  4. 금융보안원, "국내외 블록체인 활용 동향 및 보안 기술 보고서," 2015. 

  5. 금융보안원, "금융권 블록체인 활용 방안에 대한 정책 연구," 2016. 

  6. 금융보안원, "블록체인 기술과 보안 고려사항," 2017. 

  7. 금융보안원, "블록체인 및 비트코인 보안 기술," 2015. 

  8. 금융보안원, "블록체인 응용기술 개발 현황 및 산업별 도입 사례," 2017. 

  9. 금융보안원, "전자금융과 금융보안," 2016. 

  10. 금융보안원, "해외 금융권 블록체인 컨소시엄 동향," 2016. 

  11. 김광훈, "블록체인 기술의 이해 및 적용 현황," ie 매거진, 25권, 1호, 2018, pp. 13-19. 

  12. 김상근, "M2M 환경의 혼잡 네트워크 개선을 위한 블록체인 경량화에 대한 연구," 디지털산업정보학회 논문지, 14권, 3호, 2018, pp. 69-75. 

  13. 김정숙, "블록체인 기술의 이해 및 적용 현황 및 문제점 분석," 융복합지식학회논문지, 6권, 1호, 2018, pp. 135-140. 

  14. 김희열, "블록체인 플랫폼의 보안 위협과 대응 방안 분석,"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16권, 5호, 2018, pp. 103-112. 

  15. 박준한 외, "블록체인 구현측면 정보보안 동향 및 시사점," 정보기술진흥센터 주간기술동향, 2018.08. 

  16. 오경희, "분산원장기술(블록체인) 국제 표준화 현황," 정보보호학회지, 제28권, 4호, 2018, pp. 41-47. 

  17. 이동영 외, "블록체인 핵심 기술과 국내외 동향," 정보과학회지, 제35권, 6호, 2018, pp. 22-28. 

  18. 이세열, "블록체인을 적용한 사설 클라우드 기반 침입시도탐지," 디지털산업정보학회 논문지, 제14권, 2호, 2018, pp. 11-17. 

  19. 이제영, "블록체인(Blockchain) 기술동향과 시사점," 동향과 이슈, 34호, 2017, pp. 1-21. 

  20. 정성교, "블록체인 기술 및 연구 동향 분석," KERC, 2018. 

  21. 정용식 외, "블록체인 기반 가상화폐 거래의 보안 위험 및 대응방안,"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논문지, 2018, 제11권, 1호, pp. 100-106. 

  22. 조주현, "블록체인(Block chain)의 등장과 기업 금융에 미치는 영향," POSRI 보고서, 2016.12. 

  23. 최대선 외, "블록체인과 인증," 한국통신학회지 (정보와 통신), 제35권, 7호, 2018, pp. 11-17. 

  24. 홍상원 외, "이더리움 블록체인 성능 향상을 위한 기술 동향," 한국정보과학회, 2018, pp. 1943-1944. 

  25. ETRI 미래전략연구소 표준연구본부, "블록체인," 표준화 동향, 2017. 

  26. F. Tschorsch and B. Scheuermann, Bitcoin and beyond: a technical survey on decentralized digital currencies, IEEE Communication surveys & tutorials, Volume: 18, Issue: 3, 2016, pp. 2084-2123. 

  27. http://www.ddaily.co.kr/news/article.html?no168281 

  28. https://bitcoin.org/en/how-it-works- 

  29. https://ko.wikipedia.org/wiki/%EB%B8%94%EB%A1%9D%EC%B2%B4%EC%9D%B8#cite_note-6 

  30. https://www.wired.co.uk/article/bitcoin-myspace-cryptocurrency-blockchain 

  31. MultiChain Private Blockchain - White Paper, http://www.multichain.com/download/MultiChain-White-Paper.pdf 

  32. Satoshi Nakamoto, "Bitcoin: A peer-to-peer electronic cash system," 2009, [Online]. Available: http://www.bitcoin.org/bitcoin.pdf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