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LCM 기반 UAV 영상의 감독분류를 이용한 저수구역 내 농경지 탐지
Detection of Cropland in Reservoir Area by Using Supervised Classification of UAV Imagery Based on GLCM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36 no.6, 2018년, pp.433 - 442  

김규문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  최재완 (School of Civil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저수구역은 계획된 홍수위에 의하여 둘러싸인 지역 혹은 댐의 계획된 홍수위 내에 있는 지역으로 정의된다. 본 연구에서는 저수구역 내 농경지를 탐지하기 위하여, 대표적인 기계학습 기법인 RF (Random Forest) 기반의 감독 분류 방법을 적용하였다. 저수구역 내의 농경지를 효과적으로 분류하기 위하여, 질감정보를 정량화하기 위한 대표적인 기법인 GLCM (Gray Level Co-occurrence Matrix)과 NDWI (Normalized Difference Water Index), 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를 추가적인 입력자료로 활용하였다. 특히, 질감정보를 생성하는데 사용된 윈도우 크기가 농경지의 분류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저수구역 내의 농경지를 효과적으로 분류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실험결과, UAV 영상을 이용한 분류결과를 통하여 취득된 다중분광영상과 NDVI, NDWI, GLCM 영상들을 이용하여 저수구역 내의 농경지를 효과적으로 탐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GLCM의 윈도우 크기가 분류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servoir area is defined as the area surrounded by the planned flood level of the dam or the land under the planned flood level of the dam. In this study, supervised classification based on RF (Random Forest), which is a representative machine learning technique, was performed to detect croplan...

주제어

표/그림 (2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UAV (Unmanned Aerial Vehicle)는 기존 항공영상촬영과 비교하여 고해상도의 영상을 저비용으로 빠르게 취득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댐 저수구역 내 농경지의 유무를 파악함에 있어서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UAV 영상을 활용하여 댐 저수구역 내 농경지역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 한편, GLCM은 공간관계 행렬을 계산할 때, 이웃화소간의 관계를 정의하는 윈도우 크기에 따라서 생성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GLCM 영상을 농경지 탐지를 위한 입력 자료로 활용하는 경우, 윈도우의 크기가 농경지 탐지 정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 또한, 생성된 공간관계 행렬을 기준으로 하여 평균(mean),분산(variance), 균질성(homogeneity), 대비(contrast), 각 이차 모멘트(angular second moment), 비유사도(dissimilarity), 엔트로피(entropy) 등의 다양한 통계치를 기반으로 하는 GLCM을 생성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식생지역 내에 존재하는 균일한 질감정보를 가지는 농경지를 추출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식생지역을 잘 반영할 수 있는 NIR 밴드에 대한질감정보를 생성하였으며, 균일지역에 대한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는 분산 기반의 GLCM을 RF 분류에 대한 추가적인 개체자료로 활용하였다. Fig.
  • 본 연구에서는 저수구역 내에 존재하는 농경지를 탐지하기 위하여 UAV 영상을 활용한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UAV 영상을 이용하여 취득한 다중분광밴드로 이루어진 정사영상을 이용하여 농경지와 비농경지에 대한 훈련자료를 취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감독분류를 수행하였다.
  • 또한, UAV활용에 관한 연구에 있어서 수자원 분야에 관한 연구는 허용 저수량 측량, 부유물질 분석 등에 국한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에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댐 저수구역 주변에 대하여 촬영한 UAV 영상을 이용하여 정사영상(orthoimage)을 생성하고, 대표적인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기법인 RF 분류기법을 이용하여 저수구역 주변의 농경지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저수구역 주변에 존재하는 농경지를 탐지하기 위하여, 2개의 클래스로 훈련자료를 구성할 경우에 있어서 UAV에서 취득된 정사영상으로 농경지를 효과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 이에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댐 저수구역 주변에 대하여 촬영한 UAV 영상을 이용하여 정사영상(orthoimage)을 생성하고, 대표적인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기법인 RF 분류기법을 이용하여 저수구역 주변의 농경지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저수구역 주변에 존재하는 농경지를 탐지하기 위하여, 2개의 클래스로 훈련자료를 구성할 경우에 있어서 UAV에서 취득된 정사영상으로 농경지를 효과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중분광영상에서 추출할 수 있는 대표적인 영상정보인 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WI(Normalized Difference Water Index), GLCM (Gray LevelCo-occurrence Matrix)를 이용하여 농경지 유역에 대한 분류정확도를 증대시켰다.
  • RF 기반 감독 분류의 평가를 위하여 생성한 참조자료는 1,151,301화소(농경지 : 25지역, 비농경지 : 55지역)로 구성하였다. 향후 활용을 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훈련자료를 이용하여 농경지를 효과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훈련자료 대비 많은 수의 참조자료를 구축하였다.

가설 설정

  • 한편, 농경지를 구성하고 있는 논과 밭 중에서 밭의 경우에는 초지와 유사한 특성이 있으므로 4밴드의 고해상도 영상을 이용하여 밭과 초지를 분류하는 데에 한계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탐지하고자 하는 저수구역 내 농경지는 논으로 가정하였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UAV의 장점은? 그러나 댐 저수구역의 관리면적이 광범위하여 많은 인력과 예산이 필요하며, 일반 항공영상촬영으로 모니터링을 하는 경우에도 촬영주기의 한계 등으로 인한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UAV (Unmanned Aerial Vehicle)는 기존 항공영상촬영과 비교하여 고해상도의 영상을 저비용으로 빠르게 취득할 수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댐 저수구역 내 농경지의 유무를 파악함에 있어서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UAV 영상을 활용하여 댐 저수구역 내 농경지역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저수구역의 정의는? 저수구역은 계획된 홍수위에 의하여 둘러싸인 지역 혹은 댐의 계획된 홍수위 내에 있는 지역으로 정의된다. 본 연구에서는 저수구역 내 농경지를 탐지하기 위하여, 대표적인 기계학습 기법인 RF (Random Forest) 기반의 감독 분류 방법을 적용하였다.
전통적인 원격탐사 자료의 감독분류 기법의 문제점은? 전통적인 원격탐사 자료의 감독분류 기법들은 분류하고자 하는 각 클래스에 대한 훈련자료(training data)에 대한 통계적인 특성을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각 화소들을 유사한 통계적인 특성을 가지는 클래스로 분류한다. 그러나 고해상도 원격탐사 자료들의 활용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훈련자료들이 일정한 통계적인 특성을 가지지 않는 자료들을 분류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분류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기계학습 기반의 분류기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Choi, S.K., Kim, G.H., Choi, J.W., Lee, S.K., Jung, S.H., and Chun, S.J. (2017), UAV-based land cover mapping technique for monitoring coastal sand dun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35, No. 1, pp. 11-22. 

  2. Feng, Q., Liu, J., and Gong, J. (2015), UAV remote sensing for urban vegetation mapping using random forest and texture, Remote Sensing, Vol. 7, No. 1, pp. 1074-1094. 

  3. Kim, G.H. and Choi, J.W. (2017), Land cover classification with high spatial resolution using orthoimage and DSM based on fixed-wing UAV,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35, No. 1, pp. 1-10. 

  4. Kim, H., Kim, J., Yoon, S., and Kim, T. (2018), Development of a method for calculating the allowable storage capacity of rivers by using drone image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34, No. 2-1, pp. 203-21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Kim, H., Yoon, H., Jang, S., and Chung, Y. (2017), Detection method of river floating debris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and multispectral sensor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33, No. 5-1, pp. 537-54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Mcfeeters, S. (1996), The use of normalized difference water index (NDWI) in the delineation of open water features,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17, No. 7, pp. 1425-1432. 

  7. Rouse, J.W., Haas, R.H., Schell, J.A., and Deering, D.W. (1974), Monitoring vegetation systems in the great plains with ERTS, Proceedings of the third Earth Resource Technology Satellite (ERTS) Symposium, NASA, 10-14 December, Washington, D.C, USA, Vol. 1, pp. 309-317. 

  8. Su, L. and Gibeaut, J. (2017), Using UAS hyperspatial RGB imagery for identifying beach zones along the South Texas coast, Remote Sensing, Vol. 9, No. 2, p. 159. 

  9. Sung, S.M. and Lee, J.O. (2016), Accuracy of parcel boundary demarcation in agricultural area using UAVphotogrammet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34, No. 1, pp. 53-6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Van Der Linden, S., Rabe, A., Held, M., Jakimow, B., Leitao, P.J., Okujeni, A., Schwieder, M., Suess, S., and Hostert, P. (2015), The EnMAP-Box- A Toolbox and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for EnMAP data processing, Remote Sensing, Vol. 7, pp. 11249-11266. 

  11. Wood, E.M., Pidgeon, A.M., Radeloff, V.C., and Keuler, N.S. (2012), Image texture as a remotely sensed measure of vegetation structure,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121, pp. 516-526. 

  12. Xu, H. (2006), Modification of normalized difference water index (NDWI) to enhance open water features in remotely sensed imagery,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27, No. 14, pp. 3025-303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