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약물역학분야의 한약연구동향
Current Research Trend of Herbal Medicine in Pharmacoepidemiology 원문보기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v.22 no.3, 2018년, pp.11 - 19  

우연주 (부산대학교 한의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research trend of herbal medicine based on the published articles in pharmacoepidemiologic journals. Methods : A total of 3 electronic journals, Pharmacoepidemiology and Drug Safety(PDS), Drug Safety and Journal of Pharmacoepidemiolog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가장 역사가 깊고 권위있는 약물역학 유관 전문학회와 우리나라의 유일한 약물역학 유관 전문학회의 학술저널에 최근 5년간 게재된 논문을 전수 확인하여 한약에 대한 연구논문을 선정하여 요약정리하였기 때문에 가장 최신의 연구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강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약물역학의 분야를 5개의 카테고리로 분류한 후 해당 분류에 맞춰 논문들을 제시하였기 때문에 논문과 분류를 연결지을 수 있어 연구내용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 이에 저자는 약물역학 분야의 다양한 영역에서 한약과 관련한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유관 전문학회의 논문들을 토대로 소개하고, 한약의 약물역학 연구 활성화를 제안하고자 한다.
  • 한약의 안전성연구는 간독성 등 일부 주제를 제외하면 부족한 실정으로 약물역학분야에서도 한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약물역학분야에서의 한약연구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한약의 약물역학연구의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5년간 국제약물역학회지, 국제약물 감시학회지, 대한약물역학위해관리학회지에 게재된 한약관련 논문을 검토하고 한약이상사례 수집, 통계모델 및 연구방법론, 성과연구, 약물사용평가, 한약위해관리체계 제도 및 정책의 5가지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정리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약물역학의 특징은? 약물역학(pharmacoepidemiology, PE)이란 대규모의 인구집단에서 약물의 사용으로 인한 효과와 위해의 빈도를 파악하고, 특정한 약물사용과 질병발생 간의 관련성을 분석, 평가하는 데 역학적인 지식과 연구방법론을 적용하는 학문이다1). 따라서 약물역학은 약리학과 역학의 가교역할을 하면서, 약리학의 지식과 역학의 방법론을 접목된 학문분야임과 동시에 약물감시(pharmacovigilance, PV)라는 새로운 분야를 포함한다2). 약물감시는 시판 후 실제 환자들이 사용하는 단계에서의 약물의 이상반응 혹은 약물과 관련된 문제 등을 탐지, 평가, 해석, 예방하기 위한 과학적 활동으로 정의되며3), 약물역학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게 된다.
약물역학은 무엇인가? 약물역학(pharmacoepidemiology, PE)이란 대규모의 인구집단에서 약물의 사용으로 인한 효과와 위해의 빈도를 파악하고, 특정한 약물사용과 질병발생 간의 관련성을 분석, 평가하는 데 역학적인 지식과 연구방법론을 적용하는 학문이다1). 따라서 약물역학은 약리학과 역학의 가교역할을 하면서, 약리학의 지식과 역학의 방법론을 접목된 학문분야임과 동시에 약물감시(pharmacovigilance, PV)라는 새로운 분야를 포함한다2).
국내에서 약물감시를 포함하는 PE학회는 무엇이며 발간하는 저널은 무엇인가? 약물역학 분야에서 가장 역사가 깊고 권위있는 전문학회는 국제약물역학회(International Society forPharmacoepidemiology, ISPE)와 국제약물 감시학회로서 각각 국제약물 역학회지(Pharmacoepidemiologyand Drug Safety, PDS)와 국제약물감시학회지(DrugSafety)라는 학술저널을 발간하여 약물역학 및 약물감시와 관련된 연구논문들을 게재하고 있다. 국내에서 약물역학 분야의 전문학회는 대한약물 역학위해관리학회(Korea Society for Pharmacoepidemiology and Risk Management, KoPERM)가 유일하며, 대한약물 역학위해관리학회지(Journal of Pharmacoepidemiology and Risk Management, JPERM)를 발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의 약물역학 유관 전문학회를 대표하는 학회로써 전술한 3곳의 학회를 선정하여, 학술저널에 게재된 한약에 대한 논문들을 검색하였다(Table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Park B, Pharmacoepidemioogy 2nd ed.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012. 

  2. Strom B, Pharmacoepidemiology 4th ed. John Wiley. 2005. 

  3. WHO, The Importance of Pharmacovigilance-Safety Monitoring of Medicinal Products.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2. 

  4. ISPE. Available from: http://www.pharmacoepi.org. 

  5. ISoP. Available from: http://www.isoponline.org. 

  6. KoPERM. Available from: http://www.koperm.org. 

  7. Rodrigues E, Barnes J, Pharmacovigilance of herbal medicines: the potential contributions of ethnobotanical and ethnopharmacological studies. Drug safety, 2013;36(1):1-12. 

  8. Park JH, Choi SM, Moon S, Kim S, Kim B, Kim MK, et al., Development of an adverse events reporting form for Korean folk medicine. Pharmacoepidemiology and drug safety, 2017;26(5):498-508. 

  9. Yang HC, Iqbal U, Nguyen PA, Lin SH, Huang CW, Jian WS, et al., An automated technique to identify potential inappropriate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CM) prescriptions. Pharmacoepidemiology and drug safety, 2016;25(4):422-30. 

  10. Lind JN, Tinker SC, Broussard CS, Reefhuis J, Carmichael SL, Honein MA, et al., Maternal medication and herbal use and risk for hypospadias: data from the National Birth Defects Prevention Study, 1997-2007. Pharmacoepidemiology and drug safety, 2013;22(7):783-93. 

  11. Vega M, Verma M, Beswick D, Bey S, Hossack J, Merriman N, et al., The Incidence of Drugand Herbal and Dietary Supplement-Induced Liver Injury: Preliminary Findings from Gastroenterologist-Based Surveillance in the Popul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Drug safety, 2017;40(9):783-7. 

  12. Liu SH, Chuang WC, Lam W, Jiang Z, Cheng YC, Safety surveillance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urrent and future. Drug safety, 2015;38(2):117-28. 

  13. Yuan P, Zhu H, Wang L, Herbal medicine: abuse and risk in China. Pharmacoepidemiology and drug safety, 2016;25(5):606. 

  14. Choi H, The Internal Current Status and Prospect of Reports of Adverse Drug Reactions of Herbal Medicine: The Necessity of Report of Adverse Drug Reactions of Herbal Medicine and Henceforth Task. JPERM, 2018;10:1-8. 

  15. CIOMS, Practical Aspects of Signal Detection in Pharmacovigilance. Council for International Organization of Medical Sciences. 2010. 

  16. ICH, Implementation Guide for Electronic Transmission of Individual Case Safety Reports (ICSRs) E2B(R3) Data Elements and Message Specification. International Council for Harmonisation of Technical Requirements for Pharmaceuticals for Human Use. 2016. 

  17. Shmueli G, Patel N, Bruce PC, Datamining for Business Intelligence 2nd ed. John Wiley. 2010. 

  18. Nguyen PA, Syed-Abdul S, Iqbal U, Hsu MH, Huang CL, Li HC, et al., A probabilistic model for reducing medication errors. PloS one, 2013;8(12):e82401. 

  19. McBride WG, Thalidomide and congenital abnormalities. Lancet, 1961;2(1358):90927-8. 

  20. Herbst AL, Ulfelder H, Poskanzer DC, Adenocarcinoma of the vagina. Association of maternal stilbestrol therapy with tumor appearance in young women.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1971;284(15):878-81. 

  21. Satoh H, Pharmacological characteristics of Kampo medicine as a mixture of constituents and ingredients. Journal of integrative medicine, 2013;11(1):11-6. 

  22. Lee S, Park Y, Toxicology for herbal medicine I. Korean Studies Information. 2012. 

  23. Kim M, Han CH, Analysis of herbal-drug-associated adverse drug reactions using data from spontaneous reporting system in electronic medical records. Journal of Korean Medicine, 2015;36(1):45-60. 

  24. Park B, Drug utilization review. J Pharmacoepidemiol Risk Manag, 2008;1:13-9. 

  25. Harris PE, Cooper KL, Relton C, Thomas KJ, Prevalenc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CAM) use by the general population: a systematic review and update.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practice, 2012;66(10):924-39. 

  26. Heiligers PJ, de Groot J, Koster D, van Dulmen S, Diagnoses and visit length in complementary and mainstream medicine. BMC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010;10:3. 

  27. Baars E.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 Innovation and Added Value for European Healthcare. in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and Chronic Disease Management. European Parliament Conference. 2012. Brussels.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