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비오염 논토양에서 재배한 현미와 백미 중 비소화학종 함량
Arsenic species in husked and polished rice grains grown at the non-contaminated paddy soils in Korea 원문보기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61 no.4, 2018년, pp.391 - 395  

김다영 (Department of Environmental Horticulture, University of Seoul) ,  김지영 (Imported Food Analysis Division, Seoul Regional Food Drug Administration) ,  김계훈 (Department of Environmental Horticulture, University of Seoul) ,  김권래 (Department of Agronomy and Medicinal Plant Resources,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김혁수 (Department of Biological Environment, Gangwon National University) ,  김정규 (O-Jeong Eco-Resilience Institute, Korea University) ,  김원일 (O-Jeong Eco-Resilience Institute, Korea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논토양과 쌀의 비소 오염은 식품의 안전성과 관련하여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비오염 논토양에서 생산된 현미와 백미 중 비소 총함량 및 무기비소 함량을 조사하였다. 쌀 중 비소화학종은 1% 질산($HNO_3$)을 사용하여 추출하였고 HPLC-ICP-MS로 분석하였다. 현미 및 백미 중 총비소 함량은 각각 0.18, $0.11mg\;kg^{-1}$이었고, 무기비소의 함량은 각각 0.11, $0.07mg\;kg^{-1}$ 이었다. 이들 함량은 코덱스 식품규격위원회 권장 기준인 현미 $0.35mg\;kg^{-1}$과 백미 $0.2mg\;kg^{-1}$을 초과하지 않았고 우리나라 백미 기준 이하로 안전한 수준이었다. 현미 및 백미 중 총비소 함량에 대한 무기비소의 평균 함량비은 각각 0.65과 0.67이고 범위는 0.08-1.0 수준이었다. 본 조사에서 수행한 백미 중 무기비소 모니터링 한 결과에 대한 발암 위해도는 평균과 범위가 $9.37{\times}10^{-5}$ ($2.38{\times}10^{5}-1.90{\times}10^{-4}$)로 허용 수준인 $10^{-6}-10^{-4}$을 고려할 때 장기간의 쌀 섭취를 통한 암발생 확률은 낮게 나타나 위해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is an increasing concern over arsenic (As) contamination of paddy soil and rice with regard to food safe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otal and inorganic As concentration in one hundred husked and polished rice samples collected at the non-contaminated paddy soil in Korea. Arsen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전국적인 단위의 쌀 중 무기비소 함량에 관한 보고는 극히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금속 비오염 쌀 주산단지 논토양에서 생산된 현미와 백미 중 비소 화학종 함량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쌀 중 비소 기준설정 및 쌀의 비소오염에 대한 안전관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쌀의 높은 비소농도가 인체에 유입되는 경로는? 비소는 자연적으로 암석의 풍화작용과 충적물의 퇴적물로서 또한, 화석연료의 연소, 제련과 폐광산 등 산업활동, 비소함유제초제 등 인위적인 요인을 통해 토양과 지하수에 축적되고 생물권 먹이 연쇄계를 통해 인체에 유입되어 다양한 질병을 유발하는 환경오염물질이다[3,20]. 최근의 연구는 쌀의 높은 비소농도가 관개수와 토양의 비소함량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과 또 다른 연구는 토양-근권-식물체 체계에서 비소 용해도, 생물학적 유효도 및 흡수를 통해 쌀의 비소농도가 결정된다고 보고하였다[20].
쌀은 전세계 인구의 어느정도가 먹고 있는가? 쌀은 전세계 인구의 50% 가량이 주식으로 이용하고 있다. 또한, 방글라데시, 인도, 베트남 등 많은 아시아 국가에 있어서 쌀의 비소오염은 농업에서 가장 심각한 문제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논토양과 쌀의 비소 오염의 관심이 증가하는 이유는? 논토양과 쌀의 비소 오염은 식품의 안전성과 관련하여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비오염 논토양에서 생산된 현미와 백미 중 비소 총함량 및 무기비소 함량을 조사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Meharg AA, Williams PN, Adomako EE, Lawgali YY, Deacon C, Villada A, Cambell RCJ, Sun G, Zhu YG, Feldmann J, Raab A, Zhao FJ, Islam R, Hossain S, Yanai J (2009) Geographical variation in total and inorganic arsenic content of polished (white) rice. Environ Sci Technol 43: 1612-1617 

  2. Bhattacharya S, Gupta K, Debnath S, Ghosh UC, Chattopadhyay D, Mukhopadhyay A (2012) Arsenic bioaccumulation in rice and edible plants and subsequent transmission through food chain in Bengal basin: a review of the perspectives for environmental health. Toxicol Environ Chem 94(3) : 429-441 

  3. Yang SH, Park JS, Cho MJ, Choi H (2016) Risk analysis of inorganic in foods. J Food Hyg Saf 31(4) : 227-249 

  4.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CAC) (2014). Joint FAO/WHO Food Standards Programme. 37th Session Report, Geneva 

  5.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CAC) (2016). Joint FAO/WHO Food Standards Programme. 39th Session Report, Berlin 

  6. Kim WI, Yang JE, Jung GB, Park BJ, Park SW, Kim JK, Kwon OK, Ryu GH (2007) Bioavailability and safety of heavy metals in paddy soilrice continuum in Korea. FFTC Technical Bulletin 597 

  7. Park SW, Yoon MY, Kim JK, Park BJ, Kim WI, Shin JD, Kwon OK, Chung DH (2008) Rice safety and heavy metal contents in the soil on "Top rice" cultivation area. J Food Hyg Saf 23(3): 239-247 

  8. Kunhikrishnan A, Go WR, Park JH, Kim KR, Kim HS, Kim KH, Kim WI, Cho NJ (2012) Heavy metal(loid) levels in paddy soils and brown rice in Korea. Korean J Soil Sci Fert 48(5): 515-521 

  9. Paik MK, Kim MJ, Kim WI, Yoo JH, Park BJ, Im GJ, Park JE, Hong MK (2010) Determination of arsenic species in polished rice using a methanol-water digestion method.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3(5): 634-638 

  10. Kim JY, Kim WI, Kunhikrishnan A, Kang DW, Kim DH, Lee YJ, Kim YJ, Kim CT (2013) Determination of arsenic species in rice grains using HPLC-ICP-MS. Food Sci Biotechnol 22(6): 1509-1513 

  11. Kim HS, Kang DW, Kim DI, Lee S, Park SW, Yoo JH, Kim WI (2016) Inorganic As concentration in rice grown around the abandoned mining areas and its health risk assessment. Korean J Soil Sci Fert 49(5): 584-588 

  12. Williams PN, Islam MR, Adomako EE, Raab A, Hossain S, Zhu YG, Feldmann J, Meharg AA (2006) Increase in rice grain arsenic for regions of Bangladesh irrigating paddies with elevated arsenic in groundwaters. Environ Sci Technol 40: 4903-4908 

  13. Kim WI, Kim JK, Yoo JH, Paik MK, Park SW, Kwon OK, Hong MK, Yang JE, Kim JG (2009) Risk assessment of As, Cd, Cu and Pb in different rice varieties grown on the contaminated soil. Korean J Soil Sci Fert 42(1): 53-57 

  14. Mondal D, Polya D (2008) Rice in a major exposure route for arsenic in Chakdaha block, Nadia district, West Bengal, India: A probabilistic risk assessment. Appl Geochem 23: 2987-2998 

  15. US EPA (2001) Risk assessment guidance for superfund: volume -part A, process for conducting probabilistic risk assessment. Washington, DC 

  16. Choi JY, Khan N, Nho EY, Choi H, Park KS, Cho MJ, Youn HJ, Kim KS (2016) Speciation of arsenic in rice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ry. Analytical Letters 49(12): 1926-1937 

  17. Park SW, Yang JS, Ryu SW, Kim DY, Shin JD, Kim WI, Choi JH, Kim SL, Saint AF (2009) Uptake and translocation of heavy metals to rice plant on paddy soils in "Top-rice" cultivation areas. Korean J Environ Agri 28(2): 131-138 

  18. Choi SH, Kim JS, Lee JY, Jeon JS, Kim JW, Russo RE, Gonzalez J, Yoo JH, Kim KS, Yang JS, Park KS (2014) Analysis of arsenic in rice grain using ICP-MS and fs LA-ICP-MS. J Anal At Spectrom 29: 1233-1237 

  19. Lee JS, Kwon HH, Shim YS, Kim TH (2007) Risk assessment of heavy metals in the vicinity of the abandoned metal mine areas. J of KoSSGE 12(1): 97-102 

  20. Sahoo PK, Kim K (2013) A review of the arsenic concentration in paddy rice from the perspective of geoscience. Geosciences J 17(1): 107-122 

  21. Dittmar J, Voegelin A, Maurer F, Roberts LC, Hug SJ, Saha GC, Ali MA, Badruzzaman ABM, Kretzschmar R (2010) Arsenic in soil and irrigation water affects arsenic uptake by rice: Complementary insights from field and pot studies. Environ Sci Technol 44: 8842-8848 

  22. Lee S, Kang DW, Yoo JH, Park SW, Oh KS, Lee JH, Cho IK, Moon BC, Kim WI (2017) Determination of bioconcentration factor of heavy metal(loid)s in rice grown on soils vulnerable to heavy metal(loid)s contamination. Korean J Soil Sci Fert 50(2): 106-1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