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양한 주파수에 따른 전신진동자극 훈련이 만성 발목 불안정 성인의 발목 불안정 정도, 관절가동범위,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holebody Vibration Stimulation According to Various Frequencies on Ankle Instability, Ankle Range of Motion and Balance Ability in Adult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13 no.1, 2018년, pp.63 - 72  

진연상 (대전웰니스병원 재활치료부) ,  최윤희 (대전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심재광 (대전웰니스병원 재활치료부) ,  차용준 (대전대학교 보건의료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 of whole body vibration stimulation on ankle instability, ankle range of motion, and balance ability in adult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METHODS: Forty-five adult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were randomly equally allocated the I group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지금까지의 전신진동 자극 훈련 방법은 적용할 대상자에 따라서 다양한 주파수가 효과적임이 제시되고 있으며, 특정 주파수 이외에 일부 범위를 두고 적용할 것을 권고하고 있어 발목 불안정성을 가진 환자들을 대상으로 적용하기에는 일부 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발목관절의 만성 불안정성을 가진 성인을 대상으로 4주 간의 전신진동자극 훈련 이 발목의 불안정, 관절가동범위, 정적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전신진동자극의 주파수에 따른 효과를 비교하여 발목관절 불안정성이 있는 성인에게 가장 효과적인 구체적 주파수를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성 발목 불안정성은 어떤 문제를 야기하는가? 만성 발목 불안정성은 과유동성으로 인한 관절의 이완 및 변형, 연골의 퇴행적 변화, 활액막 변화와 같은 손상이 발생되며(Gilbreath 등, 2014), 하지 근육의 근신경반사 감소 및 관절 조절 저하, 근력약화, 관절가동범위의 감소 등이 나타난다(Pak 등, 2012; Yeo 등, 2009). 특히,발목주변의 기계적수용기(Mechanoreceptor)를 포함한 신경조직들이 손상을 입게 되면 관절의 움직임이나 위치와 관련한 고유수용성감각의 저하로 인하여(Hertel, 2000) 자세조절과 같은 신경근 조절(neuromuscular control)능력이 저하되고 자세동요와 관련한 균형능력이 감소하게 된다(Gilbreath 등, 2014; Park과 Kim, 2014).
30 Hz 이하의 전신진동자극은 신체의 전반적인 근육의 긴장도를 감소시키고 하지의 근육을 효과적으로 활성화 시킨 결과라 생각되는 이유는? 골격근은 진동자극을 받는 동안 근육의 길이 변화를 경험하게 되며 Ⅰa 들신경 경로를 통해 α-운동신경을 조절하여 운동성 흥분의 감소 없이 근육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Lebedev와 Poliakov, 1991; Lam 등, 2016). Baumbach 등(2013)은 20 Hz 이하의 변화적인 전신진동자극 훈련은 발목 불안정성이 있는 환자의 발목 불안정성 개선에 효과적이며 근 긴장도를 감소 시킬 수 있다 하였으며(Yang 등, 2015), 30 Hz의 다른 진폭을 적용한 전신진동자극은 하지의 근육활동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보고하였다(Chang 등, 2018). 따라서 30 Hz 이하의 전신진동자극은 신체의 전반적인 근육의 긴장도를 감소시키고 하지의 근육을 효과적으로 활성화 시킨 결과라 생각되며 10 Hz의 주파수의 유의한 결과는 낮은 주파수의 이용한 근육의 이완을 통하여 발목관절 근육을 보다 효과적으로 자극하여 근육의 활성화를 유도한 결과라 생각된다(Lienhard 등, 2017).
발목이 정형외과적으로 손상 빈도가 높은 관절인 이유는? 발목은 보행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하지의 관절 중 하나로 해부학적으로 외측 복사뼈가 내측 복사뼈보다 길고 내측보다 외측인대가 약한 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에 정형외과적으로 손상 빈도가 높은 관절이다(Fong 등, 2007; Ko 등, 2014; Park과 Yoon, 2012). 발목 손상 중 76% 이상은 발목 염좌 이며(Thomas와 Boyce 등, 2012), 급성 발목 염좌의 경우 80%는 보존적 치료를 통하여 완전한 회복이 이루어지지만, 나머지 20%는 급성 손상 후 초기 치료와 재활의 정상적인 회복 과정을 거치지 않아 반복적인 발목 손상을 경험하는 만성적 발목불안정성(Chronic Ankle Instability, CAI)으로 발전하게 된다(Abe 등, 2014; Hintermann,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be Y, Sugaya T, Sakamoto M. The postural control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with and without a history of ankle sprain during single-leg standing: relationship between center of pressure and acceleration of the head and foot parameters. J Phys Ther Sci. 2014;26(6):885-8. 

  2. Baumbach SF, Fasser M, Polzer H, et al. Study protocol: the effect of whole body vibration on acute unilateral unstable lateral ankle sprain-a biphasic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MC Musculoskelet Disord. 2013; 14:22. 

  3. Bloem BR, Allum JH, Carpenter MG, et al. Is lower leg proprioception essential for triggering human automatic postural responses? Exp Brain Res. 2000; 130(3):375-91. 

  4. Chang SF, Lin PC, Yang RS, et al. The preliminary effect of whole-body vibration intervention on improving the skeletal muscle mass index, physical fitness, and quality of life among older people with sarcopenia. BMC Geriatr. 2018;18(1):17. 

  5. Chen CH, Liu C, Chuang LR, et al. Chronic effects of whole-body vibration on jumping performance and body balance using different frequencies and amplitudes with identical acceleration load. J Sci Med Sport. 2014; 17(1):107-12. 

  6. Despina T, George D, George T, et al. Short-term effect of whole-body vibration training on balance, flexibility and lower limb explosive strength in elite rhythmic gymnasts. Hum Mov Sci. 2014;33:149-58. 

  7. Docherty CL, Gansneder BM, Arnold BL, et al. Development and reliability of the ankle instability instrument. J Athl Train. 2006;41(2):154-8. 

  8. Donahue M, Simon J, Docherty CL. Critical review of self-reported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measures. Foot & Ankle Int. 2011;32(12):1140-2011. 

  9. Fong DT, Hong Y, Chan LK, et al. A systematic review on ankle injury and ankle sprain in sports. Sports Med. 2007;37(1):73-94. 

  10. Gilbreath JP, Gaven SL, Van Lunen L. The effects of mobilization with movement on dorsiflexion range of motion, dynamic balance, and self-reported function in individual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Man Ther. 2014;19(2):152-7. 

  11. Hertel J. Functional instability following lateral ankle sprain. Sports Med. 2000;29(5):361-71. 

  12. Hintermann B. Biomechanics of the unstable ankle joint and clinical implications. Med Sci Sports Exerc. 1999; 31(7):459-69. 

  13. Holmes JD, Jenkins ME, Johnson AM, et al. Validity of the Nintendo $Wii^{(R)}$ balance board for the assessment of standing balance in Parkinson's disease. Clin Rehabil. 2013;27(4):361-6. 

  14. Kasai T, Kawanishi M, Yahagi S, et al. The effects of wrist muscle vibration on human voluntary elbow flexion-extension movements. Exp Brain Res. 1992;90(1):217-20. 

  15. Kisner C & Colby LA. Therapeutic exercise: foundation and techniques. 4thed. Philadelphia, FA Davis. 2002. 

  16. Ko EK, Weon JH, Jung DY. Effects of direction of gliding in tibiofibular joint on angle of active ankle dorsiflexion. J Korean Soc Phys Med. 2014;9(4): 439-45. 

  17. Lam FM, Liao LR, Kwok TC, et al. The effect of vertical whole-body vibration on lower limb muscle activation in elderly adults: Influence of vibration frequency, amplitude and exercise. Maturitas. 2016;88(1):59-64. 

  18. Lebedev MA, Poliakov AV. Analysis of the interference electromyogram of human soleus muscle after exposure to vibration. Neirofiziologiia. 1991;23(1): 57-65. 

  19. Lienhard K, Vienneau J, Nigg S, et al. Older adults show higher increases in lower-limb muscle activity during whole-body vibration exercise. J Biomech. 2017; 8(52):55-60. 

  20. Orr R. The effect of whole body vibration exposure on balance and functional mobility in old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Maturitas. 2015;80(4): 342-58. 

  21. Park DS, Lee DY, Choi SJ,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balancia using wii balance board for assessment of balance with stroke patients. J Korea Acad Coop Soc. 2013;14(6):2767-72. 

  22. Park KH, Kim WB. The effects of ankle strategy exercise on balance of patients with hemiplegia. J Korean Soc Phys Med. 2014;9(1):75-82. 

  23. Pak JY, Ahn YJ, Song YJ. A study on isokinetic strength and range of motion of low extremity in fin-swimming athlete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2012;50(2):835-44. 

  24. Park SK, Yoon SJ. Isokinetic strength of lower extremities in women with chronic inversion ankle sprain. Health & Sports Med. 2012;14(3):93-101. 

  25. Sawkins K, Refshauge K, Kilbreath S, et al. The placebo effect of ankle taping in ankle instability. Med Sci Sports Exercise. 2007;39(5):781-90. 

  26. Seo HG, Oh BM, Leigh JH, et al. Effect of focal muscle vibration on calf muscle spasticity: a proof-of-concept study. PMR. 2016;8(11):1083-9. 

  27. Tankisheva E, Bogaerts A, Boonen S, et al. Effects of intensive whole-body vibration training on muscle strength and balance in adults with chron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study. Arch Phys Med Rehabil. 2014;95(3):439-46. 

  28. Thomas JL, Boyce BM. Radiographic analysis of the canale view for displaced talar neck fractures. J Foot Ankle Surg. 2012;51(2):187-90. 

  29. Wang P, Yang L, Li H, et al. Effects of whole-body vibration training with quadriceps strengthening exercise on functioning and gait parameters in patients with medial compartment knee osteoarthritis: a randomised controlled preliminary study. Physiotherapy. 2016; 102(1):86-92. 

  30. Williams CM, Caserta AJ, Haines TP. The Tilt Meter app is a novel and accurate measurement tool for the weight bearing lunge test. J Sci Med Sport. 2013; 16(5):392-5. 

  31. Woollacott M, Shumway-Cook A. Attention and the control of posture and gait: a review of an emerging area of research. Gait Posture. 2002;16(1):1-14. 

  32. Yang F, King GA, Dillon L, et al. Controlled whole-body vibration training reduces risk of falls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J Biomech. 2015; 48(12):3206-12. 

  33. Yeo SS, Kwon JW, Kim CS. The effects of ankle joint angle on knee extensor electromyographic acitivity. J Korean Soc Phys Med. 2009;4(1):15-2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