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선 자세에서 상지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rm Training in Standing Position on Balance and Walking Ability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12 no.2, 2017년, pp.75 - 82  

방대혁 (원광대학교 익산한방병원 물리치료실) ,  조혁신 (익산미소요양재활병원 물리치료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rm training in standing position on balance and walking abil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METHODS: Sixteen chronic stroke patients were allocated equally and randomly to an experimental group (n=8) or a control group (n=8). All p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뇌졸중 환자의 보행 능력의 향상은 이동 능력을 증진시켜 독립적인 생활 과 활동공간을 넓혀 가는데 필수적이며, 선 자세의 조절은 균형과 보행 능력의 향상을 위한 선행요인이다(Schinkel-Ivy 등, 2017).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선 자세에서의 상지 훈련이 균형과 보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서 있는 상태에서의 상지 훈련이 트레드밀 훈련보다 균형과 보행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균형과 보행 능력의 향상을 위해 트레드밀 위에서 보행 훈련을 진행한 그룹과 선 자세에서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자동적으로 자세조절하는 그룹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균형 능력에서 대조군은 평균 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이란 무엇인가? 뇌졸중은 뇌혈관 문제로 인하여 중추신경계의 기능 부전이 24시간 이상 지속되는 것을 말한다(Hosseini 등, 2012). 뇌졸중으로 인한 장애의 형태는 손상된 부위와 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지만 일반적으로 운동 장애, 감각 이상, 인지 장애, 시지각 장애, 연하 장애 등이 나타난다(Kim과 Kwon, 2002).
뇌졸중 환자가 목욕이나 옷갈아입기, 식사 준비 등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은 무엇인가? 일상생활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능적인 움직임들의 통합이 필요하다(Liu-Ambrose과 Eng, 2015). 목욕이나 옷 갈아입기, 식사 준비 등의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서 있는 상태에서 자세 조절, 이동 능력, 뻗기, 잡기와 조작하기 등과 같은 숙련된 움직임들의 통합이 이루어져야 한다(Eng 등, 2003).
뇌졸중으로 인한 장애는 무엇이 있는가? 뇌졸중은 뇌혈관 문제로 인하여 중추신경계의 기능 부전이 24시간 이상 지속되는 것을 말한다(Hosseini 등, 2012). 뇌졸중으로 인한 장애의 형태는 손상된 부위와 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지만 일반적으로 운동 장애, 감각 이상, 인지 장애, 시지각 장애, 연하 장애 등이 나타난다(Kim과 Kwon, 2002). 뇌졸중 환자의 약 40%는 기능 장애를 갖고 생활하며, 이 중 15~30%는 심각한 장애로 인하여 일상생활이 불가능하다(Duncan 등,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ang DH, Shin WS, Kim SY, et al. The effects of action observational training on walking abil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a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Rehabil. 2013;27(12):1118-25. 

  2. Chen HC, Lin KC, Chen CL, et al. The beneficial effects of a functional task target on reaching and postural balance in patients with right cerebral vascular accidents. Motor Control. 2008;12(2):122-35. 

  3. Duncan PW, Horner RD, Reker DM, et al. Adherence to postacute rehabilitation guidelines is associated with functional recovery in stroke. Stroke. 2002;33(1):167-77. 

  4. Eng JJ, Chu KS, Kim CM, et al. A community-based group exercise program for persons with chronic stroke. Med Sci Sports Exerc. 2003;35(8):1271-8. 

  5. Fugl-Meyer AR, Jaasko L, Leyman I, et al. The post-stroke hemiplegic patient. 1. a method for evaluation of physical performance. Scand J Rehabil Med. 1975;7(1):13-31. 

  6. Horak FB, Henry SM, Shumway-Cook A. Postural perturbations: new insights for treatment of balance disorders. Phys Ther. 1997;77(5):517-33. 

  7. Hosseini SA, Fallahpour M, Sayadi M, et al. The impact of mental practice on stroke patients' postural balance. J Neurol Sci. 2012;322(1-2):263-7. 

  8. Huxhold O, Li SC, Schmiedek F, et al. Dual-tasking postural control: aging and the effects of cognitive demand in conjunction with focus of attention. Brain Res Bull. 2006;69(3):294-305. 

  9. Jang JY, Kim SY. Effects of Trunk Control Exercise Performed on an Unstable Surface on Dynamic Balance in Chronic Stroke Patients J Korean Soc Phys Med 2016;11(1):1-9. 

  10. Ji SG, Nam GW, Kim MK. The Effects of Motor Dual Task Training on Balance and Gait of Subacute Stroke Patients. J Spec Edu Rehabil Sci. 2012;51(3):331-45. 

  11. Kal E, Winters M, van der Kamp J, et al. Is Implicit Motor Learning Preserved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with Meta-Analysis. PLoS One. 2016;11(12):e0166376. 

  12. Kim BS, Bang DH, Shin WS. Effects of Pressure Sense Perception Training on Unstable Surface on Somatosensory, Balance and Gait Function in Patients with Stroke. J Korean Soc Phys Med. 2015;10(3):237-45. 

  13. Kim JS, Kwon OH. The Effect of Arm Swing on Gait in Post-Stroke Hemiparesis. J Korean Soc Phys Med. 2002;7(1):95-101. 

  14. Kizony R, Levin MF, Hughey L, et al. Cognitive load and dual-task performance during locomotion poststroke: a feasibility study using a functional virtual environment. Phys Ther. 2010;90(2):252-60. 

  15. Kusoffsky A, Apel I, Hirschfeld H. Reaching-lifting-placing task during standing after stroke: Coordination among ground forces, ankle muscle activity, and hand movement. Arch Phys Med Rehabil. 2001;82(5):650-60. 

  16. Lee MJ, Lee JH, Koo HM, et al. Effectiveness of Bilateral Arm Training for Improving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Performance in Hemiplegic Patients. J Stroke Cerebrovasc Dis. 2017;26(5):1020-5. 

  17. Liu-Ambrose T, Eng JJ. Exercise training and recreational activities to promote executive functions in chronic stroke: a proof-of-concept study. J Stroke Cerebrovasc Dis. 2015;24(1):130-7. 

  18. Medley A, Thompson MFrench J. Predicting the probability of falls in community dwelling persons with brain injury: a pilot study. Brain Inj. 2006;20(13-14):1403-8. 

  19. Morgante F, Naro A, Terranova C, et al. Normal sensorimotor plasticity in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with fixed posture of the hand. Mov Disord. 2017;32(1):149-57. 

  20. Patterson SL, Rodgers MM, Macko RF, et al. Effect of treadmill exercise training on spatial and temporal gait parameters in subjects with chronic stroke: a preliminary report. J Rehabil Res Dev. 2008;45(2):221-8. 

  21. Regnaux JP, David D, Daniel O, et al. Evidence for cognitive processes involved in the control of steady state of walking in healthy subjects and after cerebral damage.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05;19(2):125-32. 

  22. Sanford J, Moreland J, Swanson LR, et al. Reliability of the Fugl-Meyer assessment for testing motor performance in patients following stroke. Phys Ther. 1993;73(7):447-54. 

  23. Schinkel-Ivy A, Wong JS, Mansfield A. Balance Confidence Is Related to Features of Balance and Gait in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J Stroke Cerebrovasc Dis. 2017;26(2):237-45. 

  24. Waller SM, Prettyman MG. Arm training in standing also improves postural control in participants with chronic stroke. Gait Posture. 2012;36(3):419-24. 

  25. Wang CY, Hsieh CL, Olson SL, et al.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Berg Balance Scale in a community-dwelling elderly resident population in Taiwan. J Formos Med Assoc. 2006;105(12):992-1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