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 뇌졸중 환자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한 보행변수 평가의 신뢰도와 타당도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Smartphone-based Assessment of Gait Parameters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13 no.3, 2018년, pp.19 - 25  

박진 (대구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김태호 (대구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Most gait assessment tools are expensive and require controlled laboratory environments. Tri-axial accelerometers have been used in gait analysis as an alternative to laboratory assessments. Many smartphones have added an accelerometer, making it possible to assess spatio-temporal gait pa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병적보행을 나타내는 뇌졸중 환자에게 누구나 쉽게 구할 수 있고 쉽게 사용이 가능한 스마트폰에 내장되어 있는 3축의 가속도계를 바탕으로 측정된 시공간적 보행변수의 신뢰성, 타당성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고 임상에서 뇌졸중 환자의 보행 훈련 전과 후 시공간적 보행변수의 변화에 대한 측정의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병적보행을 나타내는 뇌졸중 환자의 보행 변수를 측정함에 있어 간편하고, 편리하며 누구나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측정방법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에 내장되어 있는 3축의 가속도계를 바탕으로 측정된 시공간적 보행변수가 GAITRite 보행분석 시스템을 통해 측정된 보행변수와 비교하여 신뢰할 수 있고, 타당한지 검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을 통해 측정되는 보행변수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GAITRite 보행 분석 시스템을 통하여 측정되는 시공간적 보행변수와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러나 GAITRite 보행분석 시스템을 통한 보행분석은 높은 수준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나타내지만 족저압을 받아들이는 입력판의 길이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10m의 보행을 실시하여 분석된 스마트폰 보행변수와의 직접적인 비교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은 어떤 문제를 유발하는가 뇌졸중은 뇌 영역의 손상으로 인해 사지마비와 근력 약화, 감각문제, 지각, 인지기능 소실 등 복합적인 문제를 유발한다(Gunaydin 등, 2011; Hoseinabadi 등, 2013). 특히 뇌 손상부위 반대편측의 마비에 따른 편마비 증상은 비정상적임 움직임과 비대칭적인 체중지지, 체중이동 능력 감소, 독립적인 기립자세 유지의 어려움 등을 관찰할 수 있다(Peurala 등, 2007).
편마비 증상은 어떤 형태를 통해 관찰되는가 뇌졸중은 뇌 영역의 손상으로 인해 사지마비와 근력 약화, 감각문제, 지각, 인지기능 소실 등 복합적인 문제를 유발한다(Gunaydin 등, 2011; Hoseinabadi 등, 2013). 특히 뇌 손상부위 반대편측의 마비에 따른 편마비 증상은 비정상적임 움직임과 비대칭적인 체중지지, 체중이동 능력 감소, 독립적인 기립자세 유지의 어려움 등을 관찰할 수 있다(Peurala 등, 2007). 또한 움직임과 협응의 조절 문제로 인하여 정상적인 보행이 어려워지고 일상 생활의 문제를 유발한다(Januario 등, 2010).
현재 임상에서 사용하는 보행평가가 가지는 단점은 무엇인가 임상에서 주로 실시하는 보행평가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동작을 촬영한 후 평가하는 동작분석, 힘판을 이용한 보행평가, GAITRite 보행분석 시스 템과 같은 보행로 위를 걷는 동안의 보행평가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Bilney 등, 2003; Webster 등, 2005). 이러한 장비들은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나타내지만 가격이 비싸고, 측정을 위한 실험 환경의 조절이 요구되며 무겁고 부피가 커서 휴대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임상에서 치료사나 뇌졸중 환자가 직접 다루고 측정하기에는 복잡하고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Silsupadol 등, 20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n BR, Woo YG. Study of validity using a smartphone application for gait analysis during walking in healthy adults. J Korean Acad Ther. 2016;8(2):59-66. 

  2. Antos SA, Albert MV, Kording KP. Hand, belt, pocket or bag: Practical activity tracking with mobile phones. J Neurosci Methods. 2014;231:22-30. 

  3. Ayu MA, Ismail SA, Abdul Matin AF, et al. A comparison study of classifier algorithms for mobile-phone’s accelerometer based activity recognition. Procedia Eng. 2012;41:224-9. 

  4. Balasubramanian CK, Bowden MG, Neptune RR, et al. Relationships between step length asymmetry and walking performance in subjects with chronic heparesis. Arch Phys Med Rehabil. 2007;88(1):43-9. 

  5. Bilney B, Morris M, Webster K. Concurrent related validity of the GAITRite walkway system for quantification of the spatial and temporal parameters of gait. Gait Posture. 2003;17(1):68-74. 

  6. Bowden MG, Balasubramanian CK, Neptune RR, et al. Anterior-posterior ground reaction forces as a measure of paretic leg contribution in hemiplegic walking. Stroke. 2006;37(3):872-6. 

  7. Busis N. Mobile phones to improve the practice of neurology. Neurol Clin. 2010;28(2):395-410. 

  8. Ellis RJ, Ng YS, Zhu S, et al. A validated smartphone-based assessment of gait and gait variability in parkinson’s disease. PLoS One. 2015;10(10):e0141694. 

  9. Eng JJ, Chu KS, Dawson AS, et al. Functional walk tests in individuals with stroke: relation to perceived exertion and myocardial exertion. Stroke. 2002;33(3): 756-61. 

  10. Fortune E, Lugade V, Morrow M, et al. Validity of using tri-axial accelerometers to measure human movement- part II: Step counts at a wide range of gait velocities. Med Eng Phys. 2014;36 (6):659-69. 

  11. Furrer M, Bichsel L, Niederer M, et al. Validation of a smartphone-based measurement tool for the quantification of level walking. Gait Posture. 2015; 42(3):289-94. 

  12. Gunaydin R, Karatepe AG, Kaya T, et al. Determinants of quality of life (QoL) in elderly stroke patients: a short-term follow-up study. Arch Gerontol Geriatr. 2011;53(1):19-23. 

  13. Hartmann A, Luzi S, Murer K, et al. Concurrent validity of a trunk tri-axial accelerometer system for gait analysis in older adults. Gait Posture. 2009a;29(3):444-8. 

  14. Hartmann A, Murer K, de Bie RA, et al. Reproducibility of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under different conditions in older adults using a trunk tri-axial accelerometer system. Gait Posture. 2009b;30(3): 351-5. 

  15. Hoseinabadi MR, Taheri HR, Keavanloo F, et al. The effects of physical therapy on exaggerated muscle tonicity, balance and quality of life on hemiparetic patients due to stroke. J Pak Med Assoc. 2013;63(6):735-8. 

  16. Hsu CY, Tsai YS, Yau CS, et al. Test-retest reliability of an automated infrared-assisted trunk accelerometer-based gait analysis system. Sensors. 2016;16(8): E1156. 

  17. Januario F, Campos I, Amaral C. Rehabilitation of postural stability in ataxic/hemiplegic patients after stroke. Disabil Rehabil. 2010;32(21):1775-9. 

  18. Jorgensen HS, Nakayama H, Raaschou HO, et al. Recovery of walking function in stroke patients: the copenhagen stroke study. Arch Phys Med Rehabil. 1995;76(1): 27-32. 

  19. Jung T, Lee DK, Charalambous C, et al. The influence of applying additional weight to the affected leg on gait patterns during aquatic treadmill walking in people post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10;91(1): 129-36. 

  20. Lord S, Galna B, Verghese J, et al. Independent domains of gait in older adults and associated motor and nonmotor attributes: validation of a factor analysis approach.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2013; 68(7):820-7. 

  21. Manor B, Yu W, Zhu H, et al. Smartphone app-based assessment of gait during normal and dual-task walking: demonstr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JMIR Mhealth Uhealth. 2018;6(1):e36. 

  22. Meichtry A, Romkes J, Gobelet C, et al. Criterion validity of 3D trunk accelerations to assess external work and power in able-bodied gait. Gait Posture. 2007; 25(1):25-32. 

  23. Moe-Nilssen R. A new method for evaluating motor control in gait under real-life environmental conditions. Part 1: The instrument. Clin Biomech. 1998;13(4-5):320-7. 

  24. Moore SA, Hickey A, Lord S, et al. Comprehensive measurement of stroke gait characteristics with a single accelerometer in the laboratory and community: a feasibility, validity and reliability study. J Neuroeng Rehabil. 2017;14(1):130. 

  25. Obuchi SP, Tsuchiya S, Kawai H. Test-retest reliability of daily life gait speed as measured by smartphone global positioning system. 2018;61:282-6. 

  26. Peurala SH, Kononen P, Pitkanen K, et al. Postural instability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Restor Neurol Neurosci. 2007;25(2):101-8. 

  27. Rueterbories J, Spaich EG, Larsen B, et al. Methods for gait event detection and analysis in ambulatory systems. Med Eng Phys. 2010;32(6):545-52. 

  28. Silsupadol P, Teja K, Lugade V.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smartphone-based assessment of gait parameters across walking speed and smartphone locations: Body, bag, belt, hand, and pocket. Gait Posture. 2017;58: 516-22. 

  29. Webster KE, Wittwer JE, Feller JA. Validity of the GAITRite walkway system for the measurement of averaged and individual step parameters of gait. Gait Posture. 2005;22(4):317-21. 

  30. Yamada M, Aoyama T, Mori S, et al. Objective assessment of abnormal gait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using a smartphone. Rheumatol Int. 2012;32(12): 3869-74. 

  31. Zijlstra W, Hof AL. Assessment of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from trunk accelerations during human walking. Gait Posture. 2003;18(2):1-1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