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was attempted to clarify differences in sizes and shapes of foot between 20's and 60-70's women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women's foot shapes as compared with those of young. The 2D data were 101 elderly and 101 young women in Seoul and Gyeonggi-do. The results are as fo...
This study was attempted to clarify differences in sizes and shapes of foot between 20's and 60-70's women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women's foot shapes as compared with those of young. The 2D data were 101 elderly and 101 young women in Seoul and Gyeonggi-do.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foot length of the elderly was shorter than that of the young, the foot breadth and the heel width were widened, but the toes breadth became smaller and the deformity of the toe 1 and the first metatarsal part appeared. Secondly, in the Foot Index,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group, the young is more than the elderly in the narrow type, standard type, the elderly women showed more than three times the young in the wide type. Thirdly, in the factor analysis for the foot type classification, 'foot length' factors in both age groups were large. Next, young group were influenced by 'toes breadth', lateral ball breadth' factors, elderly group was influenced by the 'lateral ball breadth', 'medial ball breadth' factors. Lastly, in the cluster analysis of the elderly group, the types of sole were classified as W-Type(20.8%, wide foot and toes, large heel), H-type(20.8%, small toes breadth, heel), D-type(31.7%, long length and wide lateral ball) and A-Type(26.7%, which is found only in the elderly, small length and large toes angle).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design the shoes that mat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les of the elderly women.
This study was attempted to clarify differences in sizes and shapes of foot between 20's and 60-70's women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women's foot shapes as compared with those of young. The 2D data were 101 elderly and 101 young women in Seoul and Gyeonggi-do.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foot length of the elderly was shorter than that of the young, the foot breadth and the heel width were widened, but the toes breadth became smaller and the deformity of the toe 1 and the first metatarsal part appeared. Secondly, in the Foot Index,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group, the young is more than the elderly in the narrow type, standard type, the elderly women showed more than three times the young in the wide type. Thirdly, in the factor analysis for the foot type classification, 'foot length' factors in both age groups were large. Next, young group were influenced by 'toes breadth', lateral ball breadth' factors, elderly group was influenced by the 'lateral ball breadth', 'medial ball breadth' factors. Lastly, in the cluster analysis of the elderly group, the types of sole were classified as W-Type(20.8%, wide foot and toes, large heel), H-type(20.8%, small toes breadth, heel), D-type(31.7%, long length and wide lateral ball) and A-Type(26.7%, which is found only in the elderly, small length and large toes angle).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design the shoes that mat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les of the elderly women.
이에 2차원 스캔법을 이용하여 한국 청년층과 노년층 여성의 발 관련 항목과 세장도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연령집단에 따른 발의 치수와 형태적 차이를 밝히고 각 연령집단의 발바닥 유형을 분류, 비교하여 유형별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노년층 소비자를 위한 발 형태에 적합하고 맞음새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신발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안 방법
왼발 아래는 딱딱한 받침대를 두어 무게중심을 맞춘 후, 계측한 발 위에 검은 색 원단 덮개를 도포하여 발바닥을 스캔하였다. 스캔한 자료는 Photoshop을 이용하여 실제 크기로 출력한 후 측정항목을 직접 계측하였다. 청년층과 노년층 여성의 발 측정항목은 Table 1과 같다.
대상 데이터
연구는 전체 인구의 49.5%가 분포하는 서울과 수도권(Statistics Korea, 2016)에 거주하고 질병으로 인한 발 변형이 없는 20~29세 청년층 여성과 60~79세 노년층 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계측은 2017년 2월부터 3월에 걸쳐 20~29세 청년층 여성 101명과 60~79세 노년층 여성 116명으로 총 217명을 측정하였으며 그 중 자료가 미비한 15명을 제외한 202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5%가 분포하는 서울과 수도권(Statistics Korea, 2016)에 거주하고 질병으로 인한 발 변형이 없는 20~29세 청년층 여성과 60~79세 노년층 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계측은 2017년 2월부터 3월에 걸쳐 20~29세 청년층 여성 101명과 60~79세 노년층 여성 116명으로 총 217명을 측정하였으며 그 중 자료가 미비한 15명을 제외한 202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청년층과 노년층 여성의 발측정치 분석과 차이 비교는 기초통계량과 t 검정을 실시하고 세장도에 따른 차이 비교는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령대별 발바닥 형태 구성요인 도출과 유형별 분류는 요인분석과 군집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류된 유형별 차이는 각 측정항목의 평균값에 대하여 ANOVA 분산분석과 사후검증으로 Duncan test를 하였다.
청년층과 노년층 여성의 발측정치 분석과 차이 비교는 기초통계량과 t 검정을 실시하고 세장도에 따른 차이 비교는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령대별 발바닥 형태 구성요인 도출과 유형별 분류는 요인분석과 군집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류된 유형별 차이는 각 측정항목의 평균값에 대하여 ANOVA 분산분석과 사후검증으로 Duncan test를 하였다.
이론/모형
직접 측정으로는 계측이 어려운 각도나 평면의 발바닥 형태 및 발의 부위별 크기를 파악할 수 있는 2D 평판 스캐너(EPSON GT-20000)를 이용하였고 측정항목은 Park and Nam(2005), Kim(2013)의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길이 9항목, 너비 10항목, 각도 7항목 등 총 26개 항목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발바닥의 평면적 형태를 파악하기 위해 평판 스캐너 위에 투명 모눈판을 놓고 오른발을 그 위에 올려 발기준축을 맞추었다.
성능/효과
첫째, 발 측정치에 의한 청년층과 노년층의 발바닥 형태를 비교한 결과, 노년층의 발은 변형이 적은 청년층 여성의 비해 발길이가 짧고 발너비와 발꿈치너비가 넓어지지만 발가락너비는 작아지고 엄지발가락과 제 1중족골 부위를 중심으로 한 변형이 크게 나타났다.
둘째, 청년층과 노년층의 세장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 집단별 유의차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세장형과 표준형의 경우 청년층이 노년층에 비해 더 많은 분포를 차지한 반면, 광단형의 경우 노년층이 청년층의 3배가 넘는 수치를 보였다.
넷째, 청년층과 노년층 여성의 발 형태 분석을 위한 군집분석을 한 결과, 두 집단 모두 각각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청년층은 발가락의 변형이 적어 유형 모두 발가락너비가 비교적 넓게 나타났다. 유형 1은 W형으로 발길이가 길고 발가락 너비는 작으나 발너비와 발꿈치너비가 큰 형태이며, 유형 2는 발가락너비, 발꿈치너비는 크지만 발너비와 안쪽발너비각도, 바깥쪽발너비각도가 크지 않은 H형이다.
셋째, 발바닥 유형 분류를 위하여 요인분석을 한 결과, 연령집단별 발길이 요인이 가장 크고 그 다음으로 청년층에서는 발가락너비와 발가쪽형태 요인이 작용한 반면, 노년층에서는 발가쪽형태와 발안쪽형태 요인이 작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청년층에서는 보이지 않는 엄지발가락너비 요인이 노년층에서 독립적으로 추출되었다.
후속연구
위의 결과에서 노년층 여성의 발은 청년층 여성의 발에 비해 엄지발가락의 안쪽으로 휘어짐과 발안쪽점 돌출로 인한 변형과 모양이 다양하므로 청년층 여성을 기준으로 설계된 신발 착용은 발에 무리를 줄 수 있고 불편감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노년층에 나타난 여러 변이를 반영한 사이즈 체계 설정과 노년층 여성의 발바닥 특성에 맞는 발에 적합하고 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은 구조의, 노년의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신발 설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제한점은 피험자의 수가 적고, 연구대상 지역이 서울과 수도권에 국한되어 한국 여성 모두에게 일반화하기는 한계가 있으며, 청년층과 노년층 여성 발에 보여지는 차이는 변화가 일어나지 않은 대상자도 있어 연령증가로 나타나는 변화로 규정짓기는 어렵다. 후속 연구로 여성의 전 연령별 발형태 변화 추이를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하고, 2D 데이터와 함께 3D 데이터 분석자료를 토대로 노년층의 유형별 맞춤 신발개발 연구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발의 역할은 무엇인가?
고령자시대에 건강하고 질 높은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서 노인 개개인이 독립적 기능을 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가 된다. 제 2의 심장이라 불리우는 발은 서 있거나 걷는 동안 몸을 지탱해주고 충격을 흡수하는 신체기관으로 안정적인 일상생활을 하고 이동이나 보행을 가능하게 해준다. 이러한 발의 기능도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쇠퇴하고 많은 변화를 가져오는데, 소모현상에 인대 및 중족골 변화(Choi et al.
발의 기능이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나타나는 특징은?
제 2의 심장이라 불리우는 발은 서 있거나 걷는 동안 몸을 지탱해주고 충격을 흡수하는 신체기관으로 안정적인 일상생활을 하고 이동이나 보행을 가능하게 해준다. 이러한 발의 기능도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쇠퇴하고 많은 변화를 가져오는데, 소모현상에 인대 및 중족골 변화(Choi et al., 2006)의 내적변화와 발모양에 맞지 않는 신발 착용으로 인한 변화, 감염 및 손상 등의 외적 변화가 있을 수 있으며 골질량, 유연성, 근력 변화와 같은 기능 변화가 그것이다(Kim et al., 2011).
우리나라의 평균 수명이 연장되면서 나타나는 사회적 현상은?
평균 수명이 연장되고 삶의 질적 향상이 되면서 고령화 사회와 노인인구의 급증이 가속화되고 있다. Statistics Korea(2016)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고령인구가 유소년인구를 추월하였고, 2019년에는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인구의 14%를 넘어 고령사회(Aged Society)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참고문헌 (10)
A study on foot shape and shoe sizing system for the elderly Kim 2013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Kim 13 1 69 2011 Foot pain and disability in community dwelling elder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Choi 15 2 252 2007 10.29049/rjcc.2007.15.2.252 The comparison of foot shape classification methods
[The elders and Health] Choi 2006
A study on foot type and gait characteristics in ergonomic footwear design for the elderly Jung 2000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Lim 20 1 73 2001 A study on left and right shape and deformation of feet of Korean adul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Park 28 11 1495 2004 Characteristics of elderly women‘s foot shape compared with young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Park 55 2 33 2005 Classification of foot types for shoes size system of elderly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Seong 23 1 99 1999 The classification of foot type and the analysis of foot shape for older adult women
Older statistics Statistics Korea 2016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연구과제 타임라인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