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형 소외에 대한 두려움 척도의 타당화 연구-대학생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Fear of Missing Out (K-FoMO) Scale for Korean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2, 2018년, pp.248 - 261  

주은선 (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전소연 (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심솔지 (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Przybylski 등(2013)이 개발한 소외에 대한 두려움 척도(Fear of Missing Out Scale, FoMO Scale)를 국내 문화에 적합하게 번안하여 타당화 작업을 진행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문항내용 분석을 통해 3요인으로 구성하였으며, 확인적 요인 분석에서는 세 가지 모형을 구성하여 모델의 적합도를 비교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총 3요인 모형, 8개 문항의 구조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문화의 특성적 맥락과 이론적 근거를 통해 추출한 하위요인은 '소속 욕구', '외적 동기', '상대적 박탈감'이다. 본 척도와 각 하위 요인별 신뢰도 수준은 양호하였다. FoMO는 삶의 만족도와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 SNS 중독 경향성과 유의한 상관을 보여 공존타당도를 충족하였다. 감사성향과는 낮은 상관을 보여 변별타당도를 충족시켰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를 위한 제안을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the Fear of Missing Out Scale (FoMO Scale) developed by Przybylski et al. (2013) was adapted and validated to the Korean culture. 3-factors were constructed through EFA and item content analysis. In the CFA, 3 models were constructed to verify the fit of the model. Compared the goodness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형 FoMo 척도에서 소속 욕구가 들어가는 이유는 무엇인가? 하위요인 1은 ‘소속 욕구’이다. 이명희 등[49]은 집단주의 문화권인 한국에서는 상황 의존적이고 관계중심적인 인간관이 자기개념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관계성의 욕구가 한국에서 특히 중시되며, 집단에서 자신이 소외되면 인정받을 기회가 사라지는 것에 대해 극도의 두려움을 느낄 수 있다. 하위요인 2는 ‘외적 동기’이다.
소외에 대한 두려움(Fear of Missing Out, FoMO)은 무엇인가? 이러한 상태를 설명할 수 있는 현상 중 하나는 바로 소외에 대한 두려움(Fear of Missing Out, FoMO)이다. FoMO는 소외당할 것 같은 기분 때문에 타인의 상황이나 정보에 민감해 지는 불안함이 만연해진 상태를 나타낸다[3]. 원래 FoMO는 소비자가 항상 부족함과 조급함을 느끼게 하여 희소성의 가치를 부여하는 마케팅 방법으로 Dan Herman이 2000년에 제안한 개념으로 FoMO의 심각성을 주목하면서 논의가 이뤄지기 시작하였다[3].
FoMO의 본래 뜻은 무엇이었는가? FoMO는 소외당할 것 같은 기분 때문에 타인의 상황이나 정보에 민감해 지는 불안함이 만연해진 상태를 나타낸다[3]. 원래 FoMO는 소비자가 항상 부족함과 조급함을 느끼게 하여 희소성의 가치를 부여하는 마케팅 방법으로 Dan Herman이 2000년에 제안한 개념으로 FoMO의 심각성을 주목하면서 논의가 이뤄지기 시작하였다[3]. 소속감 같은 사회적 욕구의 만족을 위해 FoMO는 존재하며, 소셜 미디어 사용량의 증가와 인터넷 사용의 중독과 높은 연관성을 가진다[3][4-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서원진, 김미리혜, 김정호, Chad Ebesutani, 조인성, "외로움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20권, 제4호, pp.497-512, 2015. 

  2. 최선욱, 디지털 미디어와 소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3. A. K. Przybylski, K. Murayama, C. R. DeHaan, and V. Gladwell, "Motivational, emotional, and behavioral correlates of fear of missing out,"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9, No.4, pp.1841-1848, 2013. 

  4. N. A. Cheever, L. D. Rosen, L. M. Carrier, and A. Chavez, "Out of sight and not out of mind: The impact of restricting wireless mobile device use on anxiety levels among low, moderate, and high user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37, pp.290-297, 2014. 

  5. J. M. Hormes, B. Kearns, and C. A. Timko, "Craving Facebook? Behavioral addiction to online social networking and its association with emotion regulation deficits," Addiction, Vol.109, No.12, pp.2079-2088, 2014. 

  6. Z. G. Baker, H. Krieger, and A. S. LeRoy, "Fear of missing out: Relationships with depression, mindfulness, and physical symptoms," Translational Issues in Psychological Science, Vol.2, No.3, pp.275-282, 2016. 

  7. U. Oberst, E. Wegmann, B. Stodt, M. Brand, and A. Chamarro, "Negative consequences from heavy social networking in adolescents: The mediating role of fear of missing out," Journal of Adolescence, Vol.55, pp.51-60, 2017. 

  8. D. Alt, "College students' academic motivation, media engagement and fear of missing out,"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49, pp.111-119, 2015. 

  9. J. P. Abel, C. L. Buff, and S. A. Burr, "Social media and the fear of missing out: Scale development and assessment," Journal of Business & Economics Research (Online), Vol.14, No.1, pp.33-44, 2016. 

  10. 박지수,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과 소외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11. E. L. Deci and R. M. Ryan, "Self-determination theory: A macrotheory of human motivation, development, and health," Canadian Psychology/Psychologie Canadienne, Vol.49, No.3, pp.182-185, 2008. 

  12. E. L. Deci and R. M. Ryan, "The general causality orientations scale: Self-determination in personality,"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Vol.19, No.2, pp.109-134, 1985. 

  13. E. L. Deci and R. M. Ryan, "Overview of self-determination theory: An organismic dialectical perspective," Handbook of self-determination research, pp.3-33, 2002. 

  14. R. M. Ryan, C. S. Rigby, and A. Przybylski, "The motivational pull of video games: A self-determination theory approach," Motivation and Emotion, Vol.30, No.4, pp.344-360, 2006. 

  15. L. Conlin, A. C. Billings, and L. Averset, "Time-shifting vs. appointment viewing: The role of fear of missing out within TV consumption behaviors," Communicacion y Sociedad, Vol.29, No.4, pp.151-164, 2016. 

  16. 한덕웅, "사회비교의 목표 설정과 성공/실패 경험에 따른 비교 대상의 선택," 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 제13권, 제2호, pp.311-329, 1999. 

  17. B. McKay and K. McKay, (2013, October 21), Fighting FOMO: 4 Questions That Will Crush the Fear of Missing Out. Retrieved Nov 2017, from Art of Manliness https://www.artofmanliness.com/2013/10/21/fighting-fomo-4-questions-that-will-crush-the-fear-of-missing-out/ 

  18. 김명진, EBS 다큐멘터리 동과 서, 예담, 2008. 

  19. 최윤희,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20. 김선정, 김태용, "SNS 콘텐츠의 감성이 사용자의 감정상태에 미치는 영향: 페이스북 뉴스피드를 중심으로,"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제29권, 제1호, pp.5-47, 2012. 

  21. 차유빈, "SNS의 역기능을 통한 우울감 확산의 방향성과 확대성," 연세상담코칭연구, 제3권, pp.287-308, 2015. 

  22. 이상호, 고아라, "소셜미디어 중독의 영향 요인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7권, 제6호, pp.176-210, 2013. 

  23. E. Wegmann, U. Oberst, B. Stodt, and M. Brand, "Online-specific fear of missing out and Internet-use expectancies contribute to symptoms of Internet-communication disorder," Addictive Behaviors Reports, Vol.5, pp.33-42, 2017. 

  24. J. D. Elhai, J. C. Levine, R. D. Dvorak, and B. J. Hall, "Fear of missing out, need for touch, anxiety and depression are related to problematic smartphone us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63, pp.509-516, 2016. 

  25. B. C. Riordan, J. A. Flett, J. A. Hunter, D. Scarf, and T. S. Conner, "Fear of missing out (FoMO): The relationship between FoMO, alcohol use, and alcohol-related consequences in college students," Ann Neurosc Psychol, Vol.2, pp.2-7, 2015. 

  26. C. Lai, D. Altavilla, A. Ronconi, and P. Aceto, "Fear of missing out (FOMO) is associated with activation of the right middle temporal gyrus during inclusion social cu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61, pp.516-521, 2016. 

  27. M. E. Gokler, R. Aydin, E. Unal, and S. Metintas, "Determining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urkish version of Fear of Missing out Scale," Anatolian Journal of Psychiatry, Vol.17, pp.53-59, 2016. 

  28. J. Al-Menayes, "The fear of missing out scale: Validation of the Arabic version and correlation with social media addi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6, No.2, pp.41-46, 2016. 

  29. 조명한, 차경호, 삶의 질에 대한 국가간 비교, 집문당, 1998. 

  30. 박홍석, 이정미, "정적정서 부적정서 척도(PANAS)의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35권, 제4호, pp.617-641, 2016. 

  31. 정소영, 김종남, "대학생용 SNS 중독경향성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9권, 제1호, pp.147-166, 2014. 

  32. 권선중, 김교헌, 이홍석, "한국판 감사 성향 척도(K-GQ-6)의 신뢰도 및 타당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1권, 제1호, pp.177-190, 2006. 

  33. E. D. Diener, R. A. Emmons, R. J. Larsen, and S. Griffin,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49, No.1, pp.71-75, 1985. 

  34. D. Watson, L. A. Clark, and A. Tellege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s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4, No.6, pp.1063-1070, 1988. 

  35. 이현희, 김은정, 이민규, "한국판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22권, 제4호, pp.935-946, 2003. 

  36. M. E. McCullough, R. A. Emmons, and J. Tsang, "The grateful disposition: A conceptual and empirical topography,"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Vol.82, No.1, pp.112-127, 2002. 

  37. 이영준, 요인분석의 이해, 도서출판 석정, 2002. 

  38. J. F. Hair, W. C. Black, B. J. Babin, R. E. Anderson, and R. L. Tatham, Multivariate data analysis(6th ed), Upper Saddle River, 2006. 

  39. 탁진국, 심리검사: 개발과 평가 방법의 이해(2판), 학지사, 2007. 

  40. 유성경, 손난희, 김창대, 홍세희, 권경인, 한영주, 윤정숙, 윤정순, "상담일반 : 상담자의 타당화 수준 평가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상담학연구, 제10권, 제4호, pp.1873-1889, 2009. 

  41. 김계수,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한나래아카데미, 2010. 

  42. P. M. Bentler and D. G. Bonnett, "Significance tests and goodness of fit in the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Psychological Bulletin, Vol.88, pp.588-606, 1980. 

  43. J. H. Steiger and J. C. Lind, "Statiscally-based tests for the number of common factors," Handout for a presentation delivered at the meeting of the Psychometric Society, Iowa City, IA, 1980, May. 

  44. P. M. Bentler,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Vol.107, No.2, pp.238-246, 1990. 

  45. 홍세희, "구조 방정식 모형의 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19권, pp.161-177, 2000. 

  46. 정미애, "한국 대학생들의 지각처리 방식과 의사소통 방식에 나타나는 맥락민감성," 언어연구, 제32권, 제2호, pp.295-314, 2016. 

  47. 이미숙, "한국판 CES-D 척도(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Scale)의 요인구조분석에 대한 재검토," 보건과 사회과학, 제12권, pp.43-62, 2002. 

  48. A. E. Hurley, T. A. Scandura, C. A. Schriesheim, M. T. Brannick, A. Seers, R. J. Vandenberg, and L. J. Williams,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Guidelines, issues, and alternative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pp.667-683, 1997. 

  49. 이명희, 김아영, "자기결정성이론에 근거한 한국형 기본 심리 욕구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22권, 제4호, pp.157-174, 2008. 

  50. 양혜승, "상대적 박탈감은 언제 발생하는가?," 한국방송학보, 제29권, 제6호, pp.137-171, 2015. 

  51. 정소라, 현명호, "SNS 이용자의 상향비교 경험과 우울의 관계에서 열등감의 매개효과 및 자기개념 명확성의 중재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20권, 제4호, pp.703-717, 2015. 

  52. 배지우, 박정열, "소셜미디어 이용 동기가 이용자 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1호, pp.462-474, 2015. 

  53. 이우경, "한국판 비집착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2호, pp.644-654,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