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울증 경험과 회복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Research on the Experience and Recovery Process of the Korean Depress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7, 2017년, pp.505 - 526  

주은선 (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조영임 (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김단비 (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강유진 (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본 연구는 우울증을 겪은 한국인들의 우울증 경험을 있는 그대로 충분히 드러내어 심층적이고 구체적인 경험의 본질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인의 우울증 경험과 회복과정에 대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울증을 경험하고 회복한 13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했다. 합의적 질적 분석(CQR) 방법을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우울증 이전 삶, 우울증 경험, 우울증 회복과정, 우울증 회복 후라는 4개의 영역이 도출되었고 각 영역은 관계, 취약한 환경, 심리의 3개 범주, 주관적 경험, 타인 인지 가능의 2개 범주, 회복의 도움, 회복의 걸림돌, 자발적 회복노력의 3개 범주, 회복의 결과, 조언, 경험을 통한 변화의 3개의 범주로 나누어졌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대해 논의하였고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d and described the depression of Koreans for the true nature of the experience and recovery process. The sample included 13 men and women between 18 and 69 who experienced and recovered from depression. Participants attended interviews producing data, which was analyzed using Cons...

주제어

표/그림 (6)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울증의 의미는 무엇인가? 우울증은 산업화된 국가에서 가장 흔한 질병 중 하나로, 2020년에는 전 세계에서 두 번째로 심신을 쇠약하게 하는 질병이 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1]. 우울증은 슬픔, 공허감, 짜증스러운 기분과 그에 수반하는 신체적, 인지적 증상으로 인해 개인의 기능을 현저하게 저하시키는 부적응 증상을 의미한다[2]. 우울증은 지각, 판단, 기억, 인지, 사고, 태도에서부터 대인관계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3].
CQR이란 무엇인가? CQR은 Hill, Thompson, Williams [46]가 개발한 방법으로, Strauss와 Corbin[47]의 근거이론과 Elliott[48]의 집중적 과정 분석을 결합하여 만든 질적 분석방법이다. 기존의 질적 연구 방법의 객관성 결여와 결과의 엄격성, 반복성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다수의 연구자(합의팀)가 참여하여 합의에 도달하는 체계적인 방법을 강조한다[49].
CQR의 특징은 무엇인가? CQR은 Hill, Thompson, Williams [46]가 개발한 방법으로, Strauss와 Corbin[47]의 근거이론과 Elliott[48]의 집중적 과정 분석을 결합하여 만든 질적 분석방법이다. 기존의 질적 연구 방법의 객관성 결여와 결과의 엄격성, 반복성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다수의 연구자(합의팀)가 참여하여 합의에 도달하는 체계적인 방법을 강조한다[4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6)

  1. A. D. Lopez and C. J. Murray,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A comprehensive assessment of mortality and disability from diseases, injuries, and risk factors in 1990 and projected to 2020, summary Harvard School of Public Health, 1996. 

  2. 권석만, 현대 이상심리학, 서울: 학지사, 2003. 

  3. 이정림, 이동혁, 김석현, "우울증 환자의 하위유형에 따른 대상관계 특성," 상담학연구, Vol.13, No.2, pp.585-609, 2012. 

  4. 신아영, 채정호, "우울 및 불안장애 환자의 정서조절방략," 인지행동치료, Vol.11, No.1, pp.41-52, 2011. 

  5. 박상규, "우울증," 월간 복지동향, 제170호, pp.62-63, 2012(12). 

  6. 권정혜, 임승락, "우울증상이 부부간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영향,"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17, No.2, pp.17-31, 1998. 

  7. 김상아, 남정모, 박웅섭, "우울증과 알코올 중독간의 상관성에 대한 메타분석," 大韓神經精神醫學會, Vol.1, No.44, pp.75-81, 2005. 

  8. 김은엽, 박래웅, "스마트폰 중독 정도와 학습장애, 우울증 및 주의력결핍장애 연관성,"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11, pp.7599-7606, 2015. 

  9. 전현규, 심재문, 이건창, "국내성인에 있어서 우울증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7, pp.264-281, 2015. 

  10. 보건복지부, 자살시도자의 추정진단 결과, 2010. 

  11. http://www.yonhapnews.co.kr/international/2012/10/10/0619000000AKR20121010046400009.HTML, 2017.01.04. 

  12.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1059732&code61171911&cpnv, 2017.01.13 

  13. R. C. Kessler, P. Berglund, O. Demler, R. Jin, D. Koretz, K. R. Merikangas, and P. S. Wang, The epidemiology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Results from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replication (NCS-R), Jama, Vol.289, No.23, pp.3095-3105, 2003. 

  14.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우울증) 연도별 진료인원, 2014. 

  15.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우울증) 연도별 환자 수, 2014. 

  16. 정성원, 이은정, 최윤경, 성형모, 김대현, 최정식, 김정범, "종설: 우울증의 진단평가 지침-우울증 평가도구를 중심으로," 정신병리학, Vol.18, No.1, pp.21-38, 2009. 

  17. 김기웅, 이지성, 배금예, 이정재, "초기 알츠하이머병 환자와 주요 우울증 환자의 기억기능 비교," 생물치료정신의학, Vol.16, No.2, pp.156-166, 2010. 

  18. M. M. Weissman, R. C. Bland, G. J. Canino, C. Faravelli, S. Greenwald, H. Hwu, and J. Lellouch, "Cross-national epidemiology of major depression and bipolar disorder," Jama, Vol.276, No.4, pp.293-299, 1996. 

  19. 한국 통계청, 우울증 평생 유병률, 2011. 

  20. G. Hofstede, "Motivation, leadership, and organization: do American theories apply abroad?," Organizational dynamics, Vol.9, No.1, pp.42-63, 1980. 

  21. A. J. Marsella, F. L. Hsu, and G. A. De Vos, (Eds.), Culture and self: Asian and Western perspectives, New York: Tavistock, 1985. 

  22. K. I. Kim, H. J. Park, and N. Suzuki, "Reward allocations in the United States, Japan, and Korea: A comparison of individualistic and collectivistic culture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3, No.1, pp.188-198, 1990. 

  23. G. M. Devins, M. Beiser, R. Dion, L. G. Pelletier, and R. G. Edwards, "Cross-cultural measurements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e psychometric equivalence of cantonese, vietnamese, and laotian translations of the affect balance scale,"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87, No.5, pp.794-799, 1997. 

  24. L. N. Robins, "Cross-cultural differences in psychiatric disorder,"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79, No.11, pp.1479-1480, 1989. 

  25. S. W. Vernon, R. E. Roberts, and E. S. Lee, "Response tendencies, ethnicity, and depression scores,"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Vol.116, No.3, pp.482-495, 1982. 

  26. N. Iwata, C. R. Roberts, and N. Kawakami, "Japan-US comparison of responses to depression scale items among adult workers," Psychiatry Research, Vol.58, No.3, pp.237-245, 1995. 

  27. N. Iwata and S. Buka, "Race/ethnicity and depressive symptoms: A cross-cultural/ethnic comparison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east asia, north and south america," Social Science & Medicine, Vol.55, No.12, pp.2243-2252, 2002. 

  28. W. C. Chang, "A cross-cultural study of depressive symptomology," Culture, Medicine and Psychiatry, Vol.9, No.3, pp.295-317, 1985. 

  29. K. S. Crittenden, S. S. Fugita, H. Bae, C. B. Lamug, and C. Un, "A cross-cultural study of self-report depressive symptoms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Vol.23, No.2, pp.163-178, 1992. 

  30. J. H. Flaskerud and E. Q. Soldevilla, "Pilipino and vietnamese clients: Utilizing an asian mental health center," Journal of Psychosocial Nursing and Mental Health Services, Vol.24, No.8, pp.32-36, 1986. 

  31. A. Lehti, A. Hammarstrom, and B. Mattsson, "Recognition of depression in people of different cultures: A qualitative study," BMC Family Practice, Vol.10, No.1, p.53, 2009. 

  32. L. J. Kirmayer, "Beyond the 'new cross-cultural psychiatry': Cultural biology, discursive psychology and the ironies of globalization," Transcultural Psychiatry, Vol.43, No.1, pp.126-144, 2006. 

  33. 배정이, "산후 우울 경험에 관한 연구,"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26, No.1, pp.107-126, 1996. 

  34. 배정이, "우울증 환자의 우울 경험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Vol.12, No.1, pp.36-46, 2003. 

  35. 김춘경, "중년기 우울 여성의 우울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상담학연구, Vol.11, No.4, pp.1783-1806, 2010. 

  36. 김춘경, "중년기 우울 여성의 심리적 경험 양상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0, No.3, pp.25-51, 2011. 

  37. 원미라, 이광자, "여성 독거노인의 우울증 경험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Vol.25, No.3, pp.195-206, 2016. 

  38. 김증임, 손행미, "저소득 여성노인의 우울 경험," 여성건강간호학회지, Vol.22, No.4, pp.241-253, 2016. 

  39. 윤상영, 한재희, "대학생의 우울극복 과정 분석," 人間理解, Vol.33, No.1, pp.21-33, 2012. 

  40. 지영옥, 김미경, "성경적 상담을 통한 기독 중년여성들의 우울증 회복 과정-근거이론적 연구," 복음과 상담, Vol.21(단일호), pp.292-321, 2013. 

  41. 최정헌, "남성우울 극복과정과 비판적-구성적 성찰,"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23, No.3, pp.281-322, 2012. 

  42. 이명선, 정우정, 황은미, "우울증 경험 자료에 대한 텍스트 분석을 통해 살펴본 저소득층 여성의 우울증 회복 과정," 텍스트언어학, Vol.40(단일호), pp.199-223, 2016. 

  43. 정지영, 강향숙, 박은진, "논문 : 청소년의 우울과 치료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청소년 문화포럼, Vol.38, pp.91-123, 2014. 

  44. 김형숙, "우울증을 가진 중년 기독여성의 상담경험," 신학논단, Vol.54, pp.111-149, 2008. 

  45. D. K. Padgett, "Qualitative methods in social work research," Sage Publications, Vol.36, 2016. 

  46. C. E. Hill, B. J. Thompson, and E. N. Williams, "A guide to conduct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The Counseling Psychologist, Vol.25, No.4, pp.517-572, 1997. 

  47. J. M. Corbin and A. Strauss, "Grounded theory research: Procedures, canons, and evaluative criteria," Qualitative Sociology, Vol.13, Vol.1, pp.3-21, 1990. 

  48. R. Elliott, "Comprehensive process analysis: Understanding the change process in significant therapy events," Entering the Circle: Hermeneutic Investigations in Psychology, pp.165-184, 1989. 

  49. C. E. Hill,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 practical resource for investigating social science phenomena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2. 

  50. 고성희, 임성택, "한국형 부모-자녀관계와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 교육과학연구, Vol.41, No.1, pp.45-64, 2010. 

  51. 류정현, 어머니의 정, 양육행동 및 아동의 기질과의 관계연구, 성균관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52. 정옥분, et al, "논문편: 한국인의 효 인식 및 실천 정도에 대한 연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34, No.6, pp.387-403, 1996. 

  53. A. D. Hart, 심상권, 우울증 상담, 서울: 두란노, 2002. 

  54. S. Arieti and J. Bemporad, Serve and Mild Depression: the psychotherapeutic approach, New York: Basic Books, 1978. 

  55. P. A. Barnett and I. H. Gotlib, "Psychosocial functioning and depression: distinguishing among antecedents, concomitants, and consequences," Psychological bulletin, Vol.104, No.1, p.97, 1988. 

  56. J. E. Roberts, I. H. Gotlib, and J. D. Kassel, "Adult attachment security and symptoms of depression: The mediating roles of dysfunctional attitudes and low self-esteem," Personality Processes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70, No.2, pp.310-320, 1996. 

  57. S. J. Siegel and L. B. Alloy, "Interpersonal perceptions and consequences of depressive-significant other relationships: a naturalistic study of college roommate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99, No.4, p.361, 1990. 

  58. 송성자, "집단주의와 개인주의 문화비교와 한국가족치료 접근 전략," 한국가족치료학회지, Vol.5, pp.1-26, 1997. 

  59. 이철, 장대련, "한국, 아랍 소비자 구매의사결정에 관한 비교 문화적 연구: Fishbein Behavioral Interaction Model 중심으로," 소비자학연구, Vol.5, No.1, pp.113-11, 1994. 

  60. M. J. Lee, S. J. Shim, and S. B. Choi, "A comparative study the affective meaning of family-related identity: the case of Korean, Chinese, and the US college students," Res Soc Science, Vol.14, pp.111-289, 2006. 

  61. A. Adler, Uber den nervosen charakter, 1912. 

  62. D. A. Pizzagalli, "Depression, stress, and anhedonia: toward a synthesis and integrated model," Annual review of clinical psychology, Vol.10, pp.393-423, 2014. 

  63. 전겸구, "분노에 관한 기초 연구," 재활심리연구, Vol.6, No.1, pp.173-190, 1999. 

  64. 서은영, "유방암 환자들의 심리적 대처 과정," 대한 스트레스학회지, Vol.16, No.4, pp.305-315, 2008. 

  65. 이경순, 민영춘, "만성질환자의 심리적 대처 과정-근거이론적 접근," 정신간호학회지, Vol.17, No.2, pp.151-160, 2008. 

  66. J. Wang, G. Fick, C. Adair, and D. Lai, "Gender specific correlates of stigma toward depression in a canadian general population sample,"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Vol.103, No.1, pp.91-97, 2007. 

  67. C. Blazina and C. E. Watkins Jr, "Masculine gender role conflict: Effects on college men's psychological well-being, chemical substance usage, and attitudes towards help-seek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43, No.4, p.461, 1996. 

  68. 박희석, 손정락, 오상우,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역기능적 태도 및 대처방식의 우울에 대한 효과,"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12, No.2, pp.179-196, 1993. 

  69. 강민철, 김수임, 김동민, "산후우울증 유병률 및 관련요인에 대한 메타연구: 사회적 지지와 양육스트레스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Vol.13, No.1, pp.149-168, 2012. 

  70. L. K. George, D. G. Blazer, D. C. Hughes, and N. Fowler, "Social support and the outcome of major depression,"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 The Journal of Mental Science, Vol.154, pp.478-485, 1989. 

  71. O. S. Dalgard, S. Bjork, and K. Tambs, "Social support, negative life events and mental health,"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 The Journal of Mental Science, Vol.166, No.1, pp.29-34, 1995. 

  72. 김희국, "정신 장애인이 경험하는 사회적 지지와 편견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Vol.21, No.2, pp.63-84, 2010. 

  73. 박근우, 서미경, "정신장애인에 대한 대학생의 편견과 차별," 사회과학연구, Vol.28, No.4, pp.383-408, 2012. 

  74. M. Angermeyer, L. Buyantugs, D. Kenzine, and H. Matschinger, "Effects of labelling on public attitudes towards people with schizophrenia: Are there cultural differences?,"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Vol.109, No.6, pp.420-425, 2004. 

  75. J. K. Martin, B. A. Pescosolido, and S. A. Tuch, "Of fear and loathing: The role of'disturbing behavior,'labels, and causal attributions in shaping public attitudes toward people with mental illn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pp.208-223, 2000. 

  76. A. F. Jorm, A. E. Korten, P. A. Jacomb, H. Christensen, B. Rodgers, and P. Pollitt, "Mental health literacy": A survey of the public's ability to recognise mental disorders and their beliefs about the effectiveness of treatment," The Medical Journal of Australia, Vol.166, No.4, pp.182-186, 19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