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년 안에서부터 바깥으로' : 미메시스 이론을 근간으로 1990년대와 2010년대 청년세대의 저항 및 욕망과 대중음악의 연관성에 대한 비교 연구
'Youth from Inside to Outside' :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flected Relations between the Korean Young Generation and the Popular Music in 1990s and 2010s on the Basis of the Mimesis Theor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2, 2018년, pp.553 - 568  

우지혜 (성균관대학교) ,  백선기 (성균관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중음악은 생산과 소비 과정에서 청년들의 내재된 욕망과 가치관이 잘 드러나는 공간이다. 그동안 한국의 청년세대 및 청년문화에 대한 논의는 주로 기성세대에 대한 저항이라는 정치적 논리 안에서 진행되어왔다. 그러나 이는 청년문화가 갖고 있는 고유한 미시적 특성들을 간과한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이에 본 연구는 미메시스 이론을 통해 대중음악 안에서 청년세대가 주체적으로 만들고 공유하는 기호 및 담론은 무엇이며, 그것이 사회적 맥락과 어떻게 연관되는 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1990년대 음악 <교실 이데아>와 에서는 기성세대에 대한 저항을 나타내는 이야기 구조 및 이항 대립이 두드러졌으며, 억압성 및 집합성을 나타내는 단어 표현들이 자주 등장한 반면, 2010년대 음악 에서는 파편화된 기호들이 다수 등장하며 그것들을 개별적인 문맥 안에서 재구성하는 담론 구조가 발견되었다. 이는 당시의 사회적 맥락 안에서 청년들이 경험하는 감성과 욕구를 가시화함으로써 그들로부터 많은 공감과 인기를 얻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통해 청년음악에 대한 고정된 시각적 접근에서 벗어나 시대적 맥락 안에서 음악에 담긴 청년들의 감성 및 욕망 등을 주목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opular music is a spce where intrinsic desires and values of young people are well exposed in its process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Previous discussions of Korean youth and youth culture have been proceeding mainly in the sense of their resistances to older generation. However, this is limited...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대는 무엇인가? 청년세대에 대한 정의는 ‘세대’에 대한 이론적 개념을 전제하고 있다. 세대사회학에서는 ‘세대’를 “동일한 문화권에서 비슷한 시기에 출생함으로써 역사적, 문화적 경험을 공유하고 그에 따라서 다른 연령층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유사한 정서, 의식구조, 행위 유형, 생활양식을 갖는 사람들의 집합”으로 정의한다[2]. 청년세대에 대한 묘사는 대상 자체로부터 초래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주체들의 시선과 권력 작용이 초래한 담론의 결과이다.
한국의 청년 세대의 절망적인 상황을 드러내는 신조어는 무엇인가? 최근 2-3년간 ‘헬조선’, ‘흙수저’, ‘빨대족’ 등 청년 세대를 나타내는 수많은 신조어가 생겨났다. 공통적으로 이들은 오늘날 한국의 청년 세대들의 절망적인 상황을 보여준다.
한국에서 지금까지 청년 세대를 지칭한 단어엔 무엇이 있는가? 한국에서 청년 세대에 대한 묘사가 사회문화적 맥락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띠게 되는 이유도 이에 의거한다. 한국에서는 ‘신세대’, ‘X세대’, ‘N세대’, ‘실크 세대’, ‘88만원 세대’ 등 시대에 따라 청년 세대를 지칭하는 다양한 명칭들이 사용되어 왔다. 이와 같은 명칭은 주로 언론매체, 학자, 정치인 등의 문화 매개자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청년세대의 타자화의 징표이기도 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배두헌, ""이맛에 헬조선 삽니다" 분노 넘어 조롱만연 2030," 헤럴드경제, 2015. 

  2. 박재흥, "신세대의 일상적 의식과 하위문화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사회학, Vol.29, No.F, pp.651-683, 1995. 

  3. 방희경, 유수미, "한국 언론과 세대론 전쟁 (실크세대에서 삼포세대까지) - '위기론'과 '희망론' 사이에서 아슬아슬한 줄타기," 한국언론학보, Vol.59, No.2, pp.37-61, 2015. 

  4. 김선기, "'청년세대' 구성의 문화정치학 - 2010년 이후 청년세대담론에 관한 비판적 분석," 언론과사회, Vol.24, No.1, pp.5-68, 2016. 

  5. 주창윤, "1970년대 청년문화 세대담론의 정치학," 언론과 사회, Vol.14, No.3, pp.73-105, 2006. 

  6. 김창남, 대중음악의 이해, 한울, 2012. 

  7. 이혜림, "1970년대 청년문화구성체의 역사적 형성 과정 - 대중음악의 소비양상을 중심으로," 사회연구, No.10, pp.7-40, 2005. 

  8. 박애경, "한국 포크의 '도시민요'적 가능성 탐색 - 1970년대 포크송과 포크문화를 중심으로," 한국민요학, Vol.41, pp.53-77, 2014. 

  9. 소영현, "한국사회와 청년들 -'자기파괴적' 체제비판 또는 배제된 자들과의 조우," 한국근대문학연구, No.26, pp.387-416, 2012. 

  10. 김병오, "1990년대의 청년과 노래, 확장과 순환," 대중서사연구, No.24, pp.113-134, 2010. 

  11. 박영신, "문화 자본주의의 문화적 비극," 현상과 인식, Vol.19, No.1, pp.11-30, 1995. 

  12. 류희선, 진소연, "국내 아이돌음악에 대한 청소년 인식 연구 - 아도르노의 문화 산업론을 중심으로,"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Vol.13, No.4, pp.167-202, 2012. 

  13. 김수아, "소녀 이미지의 볼거리화와 소비 방식의 구성: 소녀 그룹의 삼촌 팬 담론 구성," 미디어, 젠더 & 문화, Vol.15, pp.79-119, 2010. 

  14. 이수안, "대중문화에서 기호가치로서 몸 이미지의 소비양식 - 아이돌 그룹을 중심으로," 문화와 사회, No.11, pp.193-234, 2011. 

  15. 정태수, "아이돌 그룹이 이끄는 新한류시대," SERI 경영노트, No.76, pp.1-11, 2010. 

  16. D. Hebdige, Subculture: The Meaning of Style, London: Routledge, 1979, 이동연(역), 하위문화:스타일의 의미, 현실문화연구, 1998. 

  17. S. Thornton, Club cultures: music, media, and subcultural capital, Cambridge, UK: Polity Press, 1995. 

  18. S. Cohen, Folk Devils and Moral Panics: The Creation of the Mods and Rockers, New York: Routledge, 2002. 

  19. S. Halliwell, The Aesthetics of Mimesis: Ancient Texts and Modern Problem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2. 

  20. M. Potolsky, Mimesis, New York; London: Routledge, 2006. 

  21. Aristotle, Poetics, 천병희(옮), 시학, 서울: 문예출판사, 2002. 

  22. Plato, Platonis Rempublicam, 천병희(옮), 고양: 숲, 2013. 

  23. S. Frith, "Music and identity," In S. Hall and P. Du Gay (Eds.), Questions of cultural identity,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pp.108-127, 1996. 

  24. 김봉현, "'서태지와 아이들' 추억 속으로 '컴백홈'," 시사저널, 2012. 

  25. 김호기, "'서태지와 아이들'과 한국적 개인주의," 주간경향, 2013. 

  26. 이혜인, "서태지 모자, H.O.T. 장갑 기억하시나요?," 경향신문, 2015. 

  27. 김작가, "아이유와 혁오, 청춘을 말하다," 매일경제, 2017. 

  28. 구둘래, "93년생 동갑내기 아이유-혁오의 '찬란한 봄'," 한겨레, 2017. 

  29. 노윤정, "아이유, 혁오, 로이킴이 노래하는 스물다섯 청춘," 헤럴드POP, 2017. 

  30. 백선기, 대중문화, 그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31. R. Jakobson, "From Linguistics and Poetics," In The Norton anthology of theory and criticism, 2nd ed., V. B. Leitch, New York: W. W. Norton & Co., pp.1144-1152, 2010. 

  32. N. Fairclough, Language and Power, London and New York: Longman, 1989. 

  33. 정미정, 백선기, "한국신문의 영화에 관한 보도담론의 특징과 의미: 산업담론과 문화담론의 대립적 갈등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Vol.55, No.3, pp.28-53,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