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통온실가스 감축정책의 효과분석 방법론 연구
A Methodology for Evaluating the Effects of Transportation Policies Related to Greenhouse Gas Reduction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36 no.1, 2018년, pp.1 - 12  

이규진 (한국지능형교통체계협회 기술표준센터) ,  이용주 (아주대학교 TOD기반 지속가능 도시교통연구센터) ,  최기주 (아주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교통온실가스 감축목표 설정 및 효과적 이행계획 수립에 기여하기 위한 교통온실가스 감축정책의 정량적 효과분석 방법론 정립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실제 교통 배출 자료에 근거한 교통수단별 온실가스 배출 원단위 추정모형을 포함하여, 수단효용함수와 수요추정모형 등을 활용하고 있다. 연구결과, 전기차 등 온실가스 감축정책 효과는 지역과 대상차종 등에 따라 다양하게 도출될 수 있으며, 저예산 정책인 에코드라이브 활성화 정책은 높은 온실가스 감축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자동차 배출개선 정책 뿐 아니라 대중교통 이용활성화 정책도 높은 온실가스 감축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본 연구는 이러한 사실을 정량적으로 확인하고 있다. 본 연구결과는 신기후체제 대응을 위한 국가 및 지자체의 온실가스 감축정책 평가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methodology for evaluating quantitative effects of transportation GHG (greenhouse gas) reduction-related policies that were implemented based on the reduction goals of transportation GHG and effective implementation plans. This study uses a modal utility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교통온실가스 감축목표 설정 및 효과적 이행계획 수립에 기여하고자, 실제 교통수단별 통행 및 배출자료를 활용한 교통온실가스 감축정책 효과분석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최종적으로 개선 정책(저공해차 보급 정책, 평균 연비 및 CO2 배출기준 강화 정책, 에코드라이브 활성화 정책)은 자동차의 온실가스 배출량 원단위와 개선 정책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계수 변화율을 적용한 감축량 산정방법을 제안하였고, 억제 및 전환 정책(승용차 공동이용제, 버스 교통체계개선 정책, 자전거 이용활성화 정책)은 교통수단의 통행별 온실가스 배출량 원단위와 교통수단별 통행량 변화율을 적용한 분석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 02 (톤/통행/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통온실가스 감축정책의 대상차종에 따라 효과가 다를 수 있으며, 승용차를 대체한 대중교통 중심도시 개발을 통해 저탄소화를 기대할 수 있으며, 본 연구는 이러한 사실을 정량적으로 확인하고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교통부문 온실가스 감축목표 설정의 정량적 논거 및 효과적인 이행계획 수립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주요 교통온실가스 감축정책의 저감 효과분석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연구결과의 실효성을 제고 하기 위해, 본 연구범위는 제1차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 등 국가온실가스 감축계획을 포함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동조화 국가의 온실가스 감축 노력에 대한 특징은 무엇인가? 또한 경제와 CO 2 배출의 비동조화 국가들은 공통적으로 배출개선 기술개발을 선도하고 있으며 비동력 교통수단이 활성화되어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다양한 정책들이 조화롭게 계획되어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2030년 수송 부문 감축목표 25.
저탄소 녹색성장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저탄소 녹색성장은 기존의 단순한 경제성장 논리에서 벗어나,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녹색기술 연구개발을 통한 경제와 환경이 조화를 이루는 지속가능한 성장을 의미한다. 이는 경제성장과 CO2배출의 비동조화(Decoupling) 추구를 통해 달성가능하며, 스웨덴과 프랑스가 대표적인 비동조화 국가로 분류되고 있다(IEA, 2013).
교통온실가스 감축정책 효과방법론으로 밝혀진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 정책의 새로운 용도는 무엇인가? 02톤의 온실가스 감축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그간 교통편의 증진 정책으로만 여겨졌던 버스 이용체계 개선및 자전거 이용활성화 정책도 각 3,105톤(수원시 버스 통행시간 1분 개선 시), 6.26톤(수원시 자전거도로 1 km 구축 시)의 온실가스 감축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자동차 배출개선 기술개발 외에 대중교통 이용활 성화 정책도 상당한 온실가스 감축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Go G. H. (2012), Method of Calculation Regional Road Transport Greenhouse Gas Emissions Inventory, Using KTDB, Dongeui University, M. A. 

  2. Han S. J. (2013), Feasibility of Greenhouse Gas Reduction Target in Transport Sector, J. Transp. Res., 20(1), 67-77. 

  3. Han S. J., Park K. Y., Park S. J. (2013), Estima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Transport Sector in New Town Development, Env. Policy Res., 12(4), 45-69. 

  4. IEA (2013), IEA $CO_2$ Emissions From Fuel Combustion Database. 

  5. Jo N. G. (2010), GHG Reduction Strategy for Land Transportation,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 399, 32-43. 

  6. Jung D. Y., Yoon J. H., Park S. W., Kim J. Y. (2011), The Strategies of Transport Demand Management to Decrease the Greenhouse Gases in Transportation Part, J. Korean Soc. Transp., 29(1), 29-38. 

  7. Kim M Y., Yoon Y J., Han J., Lee H S., Jeon U. C. (2016), Analysis of GHG Reduction Potential on Road Transportation Sector Using the LEAP Model: Low Carbon Car Collaboration Fund, Fuel Efficiency, Improving Driving Behavior, J. Climate Change Res., 7(1), 85-93. 

  8. Kim T. H., Lee S. I., Kim Y. I., Rho J. H. (2010), Improvement Study for Generated Greenhouse Gas(GHG) Amount Estimation From Transportation, J. Korean Soc. Transp., 7(5), 69-79. 

  9. Kim Y. J., Park J. H., Oh Y. H. (2016), Comparative Analysis on the Rail and Road Freight Transportation: Air Contaminant and Greenhouse Gas Emission, J. Korea Acad.-Ind. cooperation Soc., 17(9), 94-101. 

  10. Lee H. J. (2010), Basic Study on Development of Road Transport Emission Calculation System(ROTECS), J. Korean Soc. Transp., 7(5), 81-89. 

  11. Lee J. J. (2015), A Study of the Subway Utilization Awareness for Greenhouse Gas Reduction in Road Traffic Sector, Chung-Ang University, M. A. 

  12. Lee K. J., Choi K. C. (2016), Analysis on the Correction Factor of Emission Factors and Verification for Fuel Consumption Differences by Road Types and Time Using Real Driving Data, J. Korean Soc. Transp., 33(5), 449-460. 

  13. Lee K. J., Jang J. A., Choi K. C., Shim S. W. (2014), Economic Effects Analysis for Passenger Car's Idle Stop and Go Strategy: Focusing on Seoul Metropolitan Area, J. Korean Soc. Transp., 32(5), 421-430. 

  14. Lee K. J., Kim G. W., Choi K. C. (2011), Development of Regression-based Bike Direct Demand Models, J. Korean Soc. Civ. Eng., 31(4), 489-496. 

  15. Lee K. J., Park K. H., Shim S. W., Choi K. C. (2015), Evaluation of Mobile Emissions Reduction Strategies Using Travel Demand Model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J. Korean Soc. Civ. Eng., 35(5), 1123-1133. 

  16. Metropolitan Transportation Authority (2016), Passenger O/D Actualizing Project for Seoul Metropolitan Area on the Year of 2015. 

  17. Ministry of Environment (2015), Korean Auto-oil Project (Analysis of the Life Cycle of Automobile GHG 

  18. Park J. Y., Min Y. J., Jung T. Y. (2013), Development of KTDB Based Korean Greenhouse Gas Estimation Model in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J. Transp. Res., 20(2), 29-43. 

  19. Park K. H. (2013), Efficiency Analysis of Greenhouse Gas and Air Pollutants Reduction Measures Using DEA and Travel Demand Models, Ajou University, M. A. 

  20. Tiwari G., Jain D., Rao K. R. (2016), Impact of Public Transport and Non-motorized Transport Infrastructure on Travel Mode Shares, Energy, Emissions and Safety: Case of Indian Citie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 Transp. and Env., 44, 277-291. 

  21. Wu S. K. (2013), GHG Emission Reduction Effect Analysis of Bus Transfer Service at Expressway Rest Areas Considering User Characteristics, J. Transp. Res., 20(4), 41-54. 

  22. Wu S. K. (2014), Public Bicycle User Characteristics and GHG Emission Reduction Effect, J. Korean Soc. Civ. Eng., 707-7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