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기차 보급전망에 따른 고속도로 온실가스 저감효과 분석
Expressway Greenhouse Gas Reduction Effect Analysis According to the Electric Vehicle Supply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31 no.5, 2013년, pp.37 - 47  

이진각 ((주)로드코리아 교통사업본부) ,  한동희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  오창권 ((주)로드코리아 교통사업본부) ,  정철기 ((주)로드코리아 교통사업본부) ,  오관교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현재 대두되고 있는 온실가스 저감에 초점을 맞추어 고속도로상에 배출되고 있는 $CO_2$에 대해 정부정책 목표를 기준에 따른 전기차 보급전망과 2010년 기준 배출 현황을 토대로 장래 분석(2020년)을 하였다. 연구에서 수행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속도로에서 배출하는 온실가스의 경우 2010년 기준으로 약 17.3백만톤의 $CO_2$ 배출량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후 2015년 17.4백만톤, 2020년 16.2백만톤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패턴의 결과는 KTDB 상의 O/D의 영향과 교통량 변화가 2015년 이후 2020년까지 증가하다가 2020년부터 감소하는 추세가 반영된 결과이다. 둘째, 전기차 보급전망에 따라 배출된 온실가스의 경우에는 2015년은 17.1백만톤으로 미시행(전기차 반영없음) 대비 약 2.0%의 저감효과가 발생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2020년에는 14.2백만톤으로 미시행 대비 약 12.8% 저감효과가 분석된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electric car effect on the Korea Expressway System in terms of year 2020 $CO_2$ emission. The analysis was based on the green car dissemination goal by the government and year 2010 emission statistics. Major contents performed in the study area were as follows. Fi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의 온실가스 배출량 중 이산화탄소만을 대상(Tier 3 방식 선정)으로 하여 기준년도를 비롯, 향후 목표연도에 따라 예상 배출량을 산정하고, 향후 전기차가 보급될 것을 가정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고속도로에 미치는 온실가스(이산화탄소) 저감 효과가 어떻게 변화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유추할 수 있는 사실과 근거를 과거 통계자료(과거 차종별 교통량 추이, 고속도로 이용차량 구성비의 변화율 등)와 정부정책에 의거한 목표치 등을 통해 최대한 논리적으로 전제 및 가정을 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다만, 활동자료 중 고속도로 이용차량은 예열 중 배출량과 배출제어기술은 없다고 가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 2015년에는 총 차량대수 : 20,000천대, 2020년에는 총 차량대수 23,000천대로 가정하였다.
  • 이 수식은 전국 총 차량대수 중 목표연도에 고속도로를 이용할 것이라 판단되는 통행량 비율을 구하고, 그 중에서 전기차의 경우 승용차라고 가정한 수식이다.
  • 때문에 장래 O/D 중 전기차에 대한 신규 O/D를 산출함에 있어 영업소간 거리에 대한 제약을 둠으로써 전기차의 실제적인 이동 이동행태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반경 100km를 고속도로를 이용하는 전기차의 한계이동거리로 가정하였으며, 영업소 간 거리가 100km 이내의 승용차통행이 전기차 통행으로 전환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래 고속도로 이용차량의 비율이 지난 5년간의 비율과 동일하게 유지될 것으로 가정하였다(본 연구에서는 0.3의 비율 적용).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향후 그린카가 보급되어 고속도로를 통행하게 될 경우, 이러한 차종구성비가 그대로 유지될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승용차의 비율이 대부분 그린카로 전환 될 것을 전제로 하였다(본 연구에서는 2010년 기준 0.665 적용).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전 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 및 환경문제에 대한 의식들이 변화됨에 따라 무엇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는가? 현재 전 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 및 환경문제에 대한 의식들이 변화됨에 따라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여러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교통시스템과 운영에 있어서도 보다 지속가능하고 친환경적인 정책들이 구축되고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고속도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을 위해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방법 검토 - 배출량 산정을 위한 기초 데이터 구축(노선별, 구간별, 차종별 교통량, 속도, 구간 거리 등) - 기존 여러 문헌에서 제시된 속도에 따른 배출계수식 중 고속도로에 적합한 최적의 배출계수식 선정
온실가스 증가에 대한 주요한 원인은? 이러한 온실가스(GHG : Greenhouse Gas) 증가에 대한 원인에는 날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자동차 배기가스 중 이산화탄소(CO2)가 주요한 원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Greenhouse Gas Inventory and Resesrch Center of Kores (2011), (http://www.gir.go.kr/), 2009 national greenhouse gas emissions. 

  2. Hensher D. A. (2008), Climate change, enhanced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passenger transport What can we do to make a difference, Transportation Research D, 13(2), 95-111. 

  3. Hong J. H., Kang E. I., Lee T. W., Lee D. M., Lee S. E., Moon J. H. et al. (2009), Establishment of Climate Change Responding System for Transportation Sector(II) -Development of Bottom-up type GHGs Emission Factor for Vehicles-, 64-65. 

  4. Investigate the car's greenhouse gas emissions(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01). 

  5. KDI (2008), Improvement Study on the expressway toll system, and laws and regulations, 62-101. 

  6. KOTI (2008), Highway traffic plan research also sought for the Improvement and ordinances on traffic demand analysis, 21-67. 

  7. Lee D. M., You J. B., Yeon J. Y. (2009), Development of New Highway Paradigms to Embody Green Growth, Future Society Cooperative Research Series, 09-06-29, 81-95. 

  8. Lutsey N., Sperling D. (2009), Greenhouse gas mitigation supply curve for the United States for transport versus other sectors, Transportation Research D, 14(3), 222-229. 

  9.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2011), Green Car Roadmap. 

  10.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08), Development of Greenhouse Gas Inventory and Emission Factors, 26-37. 

  11. Park J. Y., Lee J. H., Lee C. W. (2009), Proactive Transport Strategy for Low Carbon and Green Growth of Korea, Future Society Cooperative Research Series, 09-06-25, 84-87. 

  12. Shiftan Y., Kaplan S., Hakkert S. (2003), Scenario building as a tool for planning a sustainable transportation system, Transportation Research D, 8(5), 323-342. 

  13. Transportation Facility Investment Evaluation Guidelines (2009),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5-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