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육실습에서 수학 수업 실행 횟수에 따른 초등예비교사의 수학 수업전문성 지식 활용 양상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Uses of Mathematics Teaching Expertis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ir Mathematics Instructions in the Teaching Practice 원문보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v.22 no.1, 2018년, pp.1 - 24  

김해규 (제주대학교 교육대학 초등수학교육전공)

초록

2015년 1학기와 2학기에 J 교육대학에서 실시한 교육실습 1과 교육실습 2에 모두 참여한 11명의 초등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수학 수업전문성 지식들로 구성된 반성적 수학 수업 분석지를 활용하여 수업 반성을 하게 한 후, 수학 수업 횟수에 따른 초등 예비교사들의 수학 수업전문성 지식의 활용 양상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 수업 실습의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실습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의 수학 수업전문성 지식 활용이 증가하였고, 7명의 수학 수업전문성 지식 활용도는 크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수학 수업전문성 지식 활용이 증가한 하위영역의 개수는 최소 2개에서 최대 7개까지 예비교사에 따라 달랐다. 둘째, 수학 수업 실습을 2회나 3회 실시한 예비교사들보다 4회 실시한 예비교사들의 수학 수업전문성 지식의 활용도가 더 높았다. 셋째, 2회나 3회 수업한 일부 예비교사들은 수학 수업전문성 지식의 활용도가 증가한 하위영역에서 조차도 수업 실습 전체 과정 동안 단 한 번도 해당 하위영역 만점의 90%에 도달하지 못하였다. 넷째, 수학 수업에서 실습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이 가장 어려움을 느낀 하위영역은 '수업 전 반성 - 교수관점 - 수학교과 지식의 이해'로 분석되었으며, 그 이유로는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이 수학적 개념의 역사적 배경에 관한 자료 부족을 호소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cluded eleve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first and second teaching practices held by J Education College in 2015. After the pre-service teachers were encouraged to self-reflect on their mathematics teaching using a reflective survey sheet of mathematics te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수업 능력은 학교 수업의 설계, 조직, 운영에 대한 이론을 이해하고 그것을 실제로 실천 할 수 있는 능력까지를 갖추었을 때 형성되기 때문에 교사의 수업전문성은 예비교사 단계에서부터 수업 능력의 신장을 추구해야 하며(박영민, 2010), 예비교사 스스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도록 반성적 사고를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김현정, 2013)고 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교육실습과정에서 수업 반성을 행한 수학 수업 실행 횟수에 따른 초등 예비교사들의 수학 수업전문성 지식의 활용 양상을 연구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준실험설계(quasi-experimental design)이며,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설계 (pretest-posttest design)이다.
  • 또한 반성적 교수활동(reflective teaching)은 교사가 지녀야 할 필수적인 성향으로 교사의 반성적 활동과 전문성 신장이 서로 관련 있으므로(조성민, 2009), 예비교사들이 교사가 되었을 때 접할 수 있는 모든 문제 상황과 해결 방안에 대해 교육받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예비교사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반성적 사고를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김현정, 2013). 본 연구에서는 초등 예비교사들에게 교육실습 과정 중 수학 수업의 반성을 통해 수학 수업실습의 빈도에 따른 수학 수업전문성관련 지식의 활용 양상을 연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초등 예비교사가 자신의 수업을 반성하기 위해 ‘반성적 수학 수업 분석지’를 활용하는 방법은 McDuffie(2004)의 방법을 따랐다.
  • 연구문제: 초등 예비교사의 교육실습에서 수업 반성을 요구하는 수학 수업 실행 횟수에 따른 수학 수업전문성 지식의 활용 양상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 초등 예비교사가 자신의 수업을 반성하기 위해 ‘반성적 수학 수업 분석지’를 활용하는 방법은 McDuffie(2004)의 방법을 따랐다. 일반적으로 대다수의 초등 예비교사들은 교육실습 과정 동안 여러 과목을 실습해야 하는 관계로 초등 수학 수업 실습을 많이 할 수는 없기 때 문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 기간을 충분히 확보할 목적으로 1학기와 2학기에 실시되는 교육실습 1과 교육실습 2과정에서 수학 수업을 반성하게 한 후, 수업 전, 중, 후 단계에서 자신이 사용한 수학 수업전문성 지식의 활용 정도를 평가한 점수와 예비교사 자신이 평가한 점수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평가한 점수에 대하여 그 이유나 근거를 기록한 구조화된 설문 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학적 개념의 역사적 배경’에서 대부분 예비교사들의 선호도가 대단히 낮은 결과는 어떠한 요인을 잠재하고 있는가? 8점이었 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교사들이 수학교수불안에 빠질 수 있는 잠재적인 요인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실제로 일부의 예비교사들은 교육실습 기간 동안 수학적 개념의 역사적 배경을 찾기 위하여 교사용 지도서를 참고하였으나, 교사용 지도서에는 자료가 매우 부족한 탓으로 인터넷이나 각종 학습 자료를 탐색하는 등 수업 준비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어 수학적 개념의 역사적 배경관련 자료 개발의 필요성을 호소하였다.
Dewey의 반성적 사고의 개념은 어디에 초점을 맞춘 것인가? Dewey는 반성과 반성적 사고를 혼용하면서 환상인 백일몽과 구별되는, 엄밀한 의미에서의 사고를 나타내기 위하여 ‘반성적 (reflective)’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이홍우, 1996: 조성민, 2009에서 재인용). Dewey의 반성적 사고의 개념은 교사교육의 관점이 아닌 반성적 사고 자체에 초점을 맞춘 것이라 할 수 있는 반면에, Schön의 이론은 교사교육에 있어 반성적 사고의 중요성을 거론하고, 반성적 사고에 기초한 전문적 교육실천으로 보기도 한다(이진향, 2002). Weber(2013)에 따르면 반성적 사고는 1983년 Schön의 책인 ‘반성적 실천가(The Reflective Practitioner)’ 에서 빛을 발하였는데 반성적 실천가로 발전해 나가는 수준을 실천 중 앎 (knowledge-in-practice), 실천 중 반성(reflection-in-practice), 행위 중 반성 (reflection-in-action), 행위에 대한 반성(reflection-on-action)의 네 가지 수준으로 설명하였으며, 조성민(2009)은 Schön의 반성론에 대한 논의는 주로 ‘행위 중 반성’에 초점이 놓여있는데 이 과정에서 일어나는 앎과 행위의 상호작용은 전문적 실천가(professional practitioners)의 지식이 어떻게 형성되는가를 보여주며 이 과정을 통해 실천가는 반성적 실천가로 성장해간다고 한다.
Shulman(1987)이 제시한 교사가 갖추어야 할 전문 지식을 토대로 반성적 사고를 정의하면? 본 연구에서의 반성적 사고는 Shulman(1987)이 제시한 교사가 갖추어야 할 전문 지식 중 교과 내용 지식(Subject Matter Knowledge, 이하, SMK), PCK, 일반 교수법 지식, 교육과정 지식, 학습자에 대한 지식, 교육적 상황에 대한 지식을 사용하여 수업 전, 수업 중, 수 업 후에 교수관점과 학습관점에서 교사 자신의 행동이나 교사의 가르침과 학생의 이해를 연결시켜 생각하는 학생들의 생각을 해석하는 교사의 일련의 행동으로 정의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고상숙, 김은호, 문정윤, 배지은, 정대진 (2011). 교생실습에서 예비교사의 교수학적 내용지식(PCK)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 , 137-146. 

  2. 곽영순, 강호선 (2005). 교사평가 수업평가-수업평가 바로하기. 서울: 도서출판 원미사. 

  3. 권나영 (2010). 수학 교사의 반성적 사고에 관한 고찰-평가하기 경우.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 A , 49(4), 411-421. 

  4. 권종겸 (2014). 반성적 수업 분석지를 활용한 교육실습에서 중등수학 예비교사의 교수행동 및 인식변화. 한국수학사학회지, 27(5), 365-384. 

  5. 김리나 (2015).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교수불안(數學敎授不安) 측정 도구 개발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9(4), 649-666. 

  6. 김현정 (2013). 반성적 사고 중심 교육실습 프로그램 모형의 개발과 적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과학교육과(화학전공). 

  7. 남윤석, 전평국 (2006). 교육실습 과정에서 배우는 초등예비교사의 수학 교수학적 내용 지식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45(1), 75-96. 

  8. 박영민 (2010). 국내의 예비교사 수업능력 향상 프로그램 및 시사점. 김성열(편), 예비교사의 수업능력 개발을 위한 교육방안(pp. 47-62).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9. 방정숙 (2011). 예비 교사의 초등 수학 수업 분석과 인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5(2), 221-246. 

  10. 손영민 (1999). 교사 교육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의 PDS. 한국교사교육, 16(2), 81-99. 

  11. 오영열 (2012). 수학 교과 전문성 신장에 대한 소고.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6(3), 389-401. 

  12. 원효헌 (2002). 수업평가의 이해와 적용. 서울: 교육과학사. 

  13. 유신영 (2005).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반성적 수업 분석 모형 개발.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금선 (2008). 사례연구를 통한 수학과 수업 반성 준거 개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이금선 (2011). 초등학교 수학과 반성적 교수 과정 중 교사의 사고에 대한 사례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지 , 13(3), 385-404. 

  16. 이진향 (2002). 교사의 수업 개선을 위한 반성적 사고의 의미 고찰. 한국교원교육연구, 19(3), 169-188. 

  17. 이홍우 (1996). 존 듀이 민주주의와 교육-교육철학 개론. 교육과학사. 

  18. 임찬빈, 이화진, 곽영순, 강대현, 박영석 (2004). 수업 평가 기준 개발 연구(I): 일반 기준 및 교과(사회, 과학, 영어) 기준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04-5. 

  19. 임찬빈, 이화진, 서지영, 차우규 (2005). 수업 평가 기준 개발 연구(II): 일반 기준 및 교과(영어, 도덕, 체육) 기준 상세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05-3. 

  20. 임찬빈, 이화진, 최승현, 오은순, 이경언, 이수정, 노은희, 권순달 (2006). 수업 평가 기준 개발 연구(III): 일반 기준 및 교과(국어, 수학, 기술.가정, 음악, 초등) 기준 상세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06-3. 

  21. 임해경, 추신해, 김정은 (2010). 초등 교사의 수학 및 수학 교수-학습에 대한 신념의 변화.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1), 103-121. 

  22. 정윤경 (2008). 반성적 교사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Foucault의 관점에서 Schon의 반성론 읽기. 교육철학, 52, 195-219. 

  23. 조성민 (2009). 교사의 반성적 행동이 교수학적 내용 지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6(1), 201-220. 

  24. 최승현, 임찬빈 (2006). 수업 평가 매뉴얼-수학과 수업 평가 기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06-24-5. 

  25. 황혜정 (2011). 수학 교과에서의 교사 지식에 기초한 반성적 수업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4(2), 123-142. 

  26. Artzt, A. F., & Amour-Thomas, E. (2002). Becoming a reflective mathematics teacher.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27. Cruickshank, D. R. (1987). Reflective teaching: The preparation of student of teaching, Reston, VA: Association of Teacher Education. 

  28. Jackson, C., & Leffingwell, R. (1999). The role of instructors in creating math anxiety in students from kindergarten through college. Mathematics Teacher, 92, 583-587. 

  29. Korthagen, F. A., Kessels, J., Koster, B., Lagerwerf, B., & Wubbels, T. (2001). Linking practice and theory: The pedagogy of realistic teacher education. 조덕주, 곽덕주, 이지현, 장경윤, 진석언, 최은식, 최의창, 홍진곤 (역) (2007), 반성적 교사교육: 실제와 이론. 학지사. 

  30. McDuffie, A. R. (2004). Mathematics teaching as a deliberate practice: An investigation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reflective thinking during student teaching.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7, 33-61. 

  31. Peker, M. (2006). Matematik ogretmeye yonelik kaygi olceginin gelistirilmesi. Egitim Bilimleri ve Uygulama, 9, 73-92. 

  32.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33. Shulman, L. S.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 Review, 57(1), 1-22. 

  34. Weber, S. S. S. (2013). Can preservice teachers be taught to become reflective thinkers during their first internship experie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Liberty University,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