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 방식 분석
An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Statements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of Korea 원문보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v.22 no.1, 2018년, pp.69 - 92  

조인영 (서울문래초등학교) ,  강완 (서울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진술 방식이 학생들의 수학적 역량을 신장시키기에 충분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의 객관성을 위하여 128개의 성취기준을 서영진(2013)의 내용 성취기준 진술 방식분류 기준을 이용한 틀을 바탕으로 내용 중심 진술, 활동 중심 진술, 수행 능력 중심 진술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15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 방식은 학생들의 수학적 역량을 신장시키기에 충분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의 보완을 위해 성취기준에 '내용+기능'보다 더 다양한 요소를 담아야하며, 성취기준의 의미를 명확히 전달할 수 있는 다른 기준들도 개발해야 한다. 그리고 향후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방식 개선을 위하여 성취기준에서 '기능'의 표현에 대한 보완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nalyzed whether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s standards statements reflect the direction of 2015 revised curriculum. For the objectivity of analysis, 128 achievement standards statements were analyzed based on content - centered statements, activity - c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성취기준 개념이 중요하게 부각한 이유 중 한 가지는 무엇인가? 성취기준 개념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중요하게 부각한 이유는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해 학생들의 꿈과 끼를 키우는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화를 추구하기 때문이다(온정덕, 2015). 학생들의 꿈과 끼를 키우는 수업 활동을 구성할 때 지침이 되는 것이 성취기준이며, 교사는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자신의 전문성과 자율성을 발휘하여 학생들의 미래 핵심 역량을 신장하는 교수 학습 방법을 구안하고 적용할 수 있다.
성취기준이란? 성취기준은 학생들이 학습 활동을 통해 알아야 할 지식과 활동 후 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 진술문으로 교사에게는 수업에서 가르쳐야 할 지식, 기능, 태도의 범위와 수준을 알려주고 학생에게는 수업 시간을 통해 무엇을 학습하고 익혀야하는지 확인하게 하는 일종의 교육 활동 지침이다.
미래사회를 대비하는 교육이 부각되는 오늘날, 수학 교육은 어떠한가? 수학과에서도 이런 흐름을 반영하여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 시 수학 교과에 적합한 역량으로 문제해결, 추론, 창의 융합, 의사소통, 정보 처리, 태도 및 실천의 6가지 역량을 수학 교과 역량으로 정하였고, 이것을 성취기준에 반영하여 학교 현장에서 교육과정이 의미 있게 수행하고 평가하도록 의도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교육부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별책8]. 

  2. 권점례, 박은아, 김현경, 이영미, 강민규, 송민영, 배영권, 서영진 (2016).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교육과정 적용 방안 자료집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초등통합교과를 중심으로-(연구보고 RRC 2016-8-2).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3. 김동창 (2016). 도덕과 성취기준의 의미와 역할. 윤리교육연구, 39(1), 199-218. 

  4. 김유경 (2017). 수업과 통합한 수학 교과 역량 중심의 평가 실행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1(1), 93-113. 

  5. 남지현, 장혜원 (2016). 시각과 시간에 대한 초등학생의 수학적 이해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3), 479-498. 

  6. 박경미, 이환철, 박선화, 권점례, 윤상혁, 강현영, 이경진, 최지선, 강은주, 김민정, 이광상, 김재영, 이광연, 한준철, 김선희, 방정숙, 이경은, 도종훈, 이문호, 황선미, 임해미, 이화영, 조혜정, 박정숙, 이승훈, 박문환, 김성여, 임미인, 권영기, 서보억, 이은정, 김완일, 장혜원, 이만근, 권오남, 안현정, 이지윤, 강성권, 강태석, 김화경, 신동관, 오택근, 전인태, 여미주 (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II. 한국과학창의재단, 교육부. 

  7. 박채형 (2015). 2015 개정 교육과정 개발 방향의 현실성 분석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4), 335-354. 

  8. 백남진 (2013). 교사의 교육과정 해석과 교육과정 잠재력. 교육과정연구, 31(3), 201-225. 

  9. 백남진 (2014). 교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의 개선 방향 탐색: 한국과 미국 과학 교육과정 검토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2(2), 101-131. 

  10. 백주영 (2017). 1997년 이후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내용 요소 추출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서영진 (2013).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 성취 기준'의 진술 방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국어교육학연구, 46, 415-450. 

  12. 온정덕 (2015).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방향과 주요 개정 내용(CP 2015-01-7). 서울: 교육정책네트워크. 

  13. 임유나, 홍우조 (2016).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별 교육용 제시 방식 검토: 내용 체계를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17(3), 277-302. 

  14. 정구향, 정미경, 김진하 (2001).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예시평가도구 개발 연구(연구보고 RRC 2001-4-1).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5. 정혜승 (2007). 성취기준 중심 국어과 교육과정 구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어교육학회, 123, 183-212. 

  16. 조인영 (2018).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 방식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한혜정, 김영은, 이주연, 곽상훈, 김정윤, 한충희 (2016).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안(연구보고 RRC 2016-4).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8. 허경철, 백순근 (1995). 종합생활기록부제의 취지에 따른 교육성취도 평가 방안 연구 (연구보고 KD95-22-01-13).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9. 허경철, 백순근, 김신영, 채선희, 구자억, 최돈형, 이인재, 김왕근, 박경미 (1996). 국가 공통 절대평가 기준 일반모형 개발 연구(수탁연구 RM 96-4).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 홍미영, 박순경, 백경선, 변희현, 양윤정, 양정실, 이경언, 이미경, 한혜정, 최유경 (2012).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개발 연구.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1. 황현미 (2016).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제시 방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국어교육, 61, 483-512. 

  22. Foriska, T. J. (1998). Restructuring around standards: A practitioner's guide to design and implementation. Thousand Oaks, CA: Corwin Press. 

  23. Jennings, J. (1998). Why national standards and tests?: Politics and the quest for better schools. London: SAGE Publications. 

  24. Marzano, R. J., & Kendall, J. S. (1995). The McREL database: A tool for constructing local standards. Educational Leadership, 52(6), 42-47. 

  25. Reys, R. E., Suydam, M. N., Lindquist, M. N., & Smith, N. L. (1998). Helping Children Learn Mathematics(5E). Allyn & Bacon. 강문봉, 강완, 김남희, 김수환, 나귀수, 박경미, 박영배, 백석윤, 송상헌, 유현주, 이경화, 이중권, 임문규, 임재훈, 장혜원, 정동권, 정영옥, 정은실, 허혜자 (역) (1999). 초등수학 학습지도의 이해. 서울: 양서원.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