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성리더십에서 고찰해 본 한국여성행정의 발전방향
To develop the managerial women's public administration in Korea within women's leadership capacity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4 no.1, 2018년, pp.101 - 110  

김혁영 (중원대 경찰행정학과) ,  김택 (중원대 경찰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가부장적인 한국사회에서 여성이 스스로 리더십을 발휘하여 어떻게 한국여성행정을 발전시틸 수 있는 가에 대한 논의이다, 여성주의(feminism), 여성의 정책흐름, 그리고 여성리더십을 먼저 살펴보고 거기에서 산출되는 한국여성행정의 발전방향을 모색하였다. 여성행정에 대한 여성주의적 재 개념화는 역사 속에서의 여성 리더십에 관한 인식의 전환을 그 출발점으로 삼고 있다. 한국의 가부장적 사회는 중요한 사회적 권력자원이 남성에게 유리하게 규정되고 또 분배되는 양성간의 불평등한 권력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여기에 관한 선행연구가 이루어졌지만 그 수가 굉장히 미비하기 때문에, 많은 여성행정 연구가 이루어져야 된다. 한국사회에서 여성리더십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는 명제들은 사회 속에서의 여성역할의 비중이 증대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역할에 수반되는 권한과 권력을 상정해 볼 수 있으며, 이것은 여성리더십이 한국여성행정의 초석이 될 수 있다는 것으로 표현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organizes how managerial women in the public sector in Korea challenge feminism, policy, leadership, and managerial women's the public administration in Korea by themselves. Although Confucian values are still evident in the Korean organizational culture, this article challenges the no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이러한 노력들은 인권존중이라는 규범적이고 이념적인 가치에 의해서 그 정당성을 부여 받는 동시에 무한경쟁시대에 요청되는 창의적인 인력수요에 여성의 특성이 부합될 수 있다는 실제적이고 현실적인 이유에서도 그렇다고 할 것이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시대적 요구에 따라서 행정분야에서 여성의 역할이 어떻게 조명되어야 할 것인가 그리고 그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 여성 자신의 노력은 어떻게 전개해 나가야 할 것인가를 기술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각에서, 여기서는 여성주의(feminism)와 여성정책의 흐름 그리고 여성리더십에 대해서 살펴보고, 한국여성 행정이 발전할 수 있는 그 발전방안을 살펴보도록 할것이다.
  • 이를 보면 여성과 리더십을 연결하는 사회적 인식과 담론에 관해 다시 되묻게 된다. 여성리더라고 해서 여성적 리더십을 수행하는가? 여성만이 여성주의의 리더가 되는가? 과연 여성들은 현장에서 어떤 리더십을 수행하는가? 여기에서는 여성과 리더십 사이에서 일어날 수 있는 여러 물음들을 던지고 여성주의(feminism)의 관점으로 여성들의 리더십을 살펴보며, 무엇이 여성주의 리더십을 구성하는가를 모색한다. ‘여성주의가 왜, 무엇을 위해 리더십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가?’라는 근본적인 물음에서 출발해서 여성주의와 리더십을 결합할 때 등장하는 새로운 시각과 영역을 검토해야만 한다고 판단된다.
  • 앞에서는 여성주의(feminism)와 여성정책의 흐름, 그리고 여성리더십을 단계적으로 살펴보았다. 여기에서는 이를 종합하여 여성리더십을 육성할 수 있는 보다 실제 적인 방안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먼저 여성리더십을 육성하는 방안을 살펴보면, 여성관리자는 다음과 같은 행동변화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 셋째로, 자신의 리더십을 위한 연결망 조직을 만든다. 원시적인 조직구조인 피라미드형 조직에서 우리는 명령과 통제의 리더십을 발휘하도록 배웠다. 이제 새로운 조직은 네트워크 조직이 될 것이다.
  • 성공적인 리더십을 발휘하려면 자신에게 가장 잘 맞는 리더십스타일을 만드는 게 가장 중요하다. 자신의 스타일을 만들기 위해 가장 먼저 착수해야 할 일은 바로 성공적인 여성과 자신에게 호의적인 직장 상관의 사례들을 연구하는 것이다. 그들의 스타일에서 자신에게 적합한 것을 택하고 스스로 적응시켜 나가다 보면 자신의 스타일이 만들어 진다.

가설 설정

  • 원시적인 조직구조인 피라미드형 조직에서 우리는 명령과 통제의 리더십을 발휘하도록 배웠다. 이제 새로운 조직은 네트워크 조직이 될 것이다. 현 조직들 중에 서는 그러한 조직이 간혹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 최초의 여성행정 기구는 무엇인가? 한국 최초의 여성행정 기구는 1946년 미군정 법령 제107호 ‘부녀국 설치령’에 의해 신설된 보건후생부 내부녀국이었다 [6]. 이후 1950년대는 전쟁으로 인한 요보호 여성과 고아, 기아 등이 대규모로 발생했던 시기였다.
상황적 리더십에서 세가지 중요한 요소는 무엇인가? 상황적 리더십은 세가지 중요한 요소의 상호작용에 기원하고 있다. 첫째 리더가 제공하는 안내와 방향제시의 정도, 둘째 리더가제공하는 사회 감정적 지지의 양, 셋째 정해진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인도되는 사람(추종자)의 준비 수준, 이들 세 가지 요소는 어떠한 리더십 상황에도 존재하며어떤 문화의 구성원들이든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1][2][3][4][5].
한국여성정책에서 형식적 분화기란 언제를 지칭하는 것인가? 한국여성정책의 역사적 배경과 전개과정을 마경희 (2015)의 글을 참조하여 보면 네 개의 시기로 구분할수 있다 [9][10]. 첫 번째 시기는 여성정책이 잔여적 복지정책으로부터 분화되기 시작한 1980년대 초반부터 1980년대 후반까지의 형식적 분화기이다. 두 번째 시기는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를 비롯해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지원하기 위한 각종 법률과 제도가 대량으로 도입되는 1980년데 후반부터 1990년대 중후반까지의 형성기 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arrett, D. J, Leadership communication 4thEd), McGraw-Hill International Edition, 2014. 

  2. Deresky, H, International management: Managing across borders and cultures (8thEd), Pearson Education Limited, 2014. 

  3. Kim, H. Y. "Managerial roles as a window to organizational culture: A Korean public sector case study", Conference paper for the 18th Annual Conference on Australian and New Zealand Academy of Management (8-11 December, Dunedin, New Zealand), 2004. 

  4. Sarros, J. C, Gray, J. and Densten, I. L, The organizational culture profile: revisited and revised. British Academy of Management Proceedings, 2002. 

  5. Schein, E. H,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4th Ed), San Francisco, Jossey-Bass, 2010. 

  6. Hwang, J. M."The Assembly Development in early Korea and Women (1946-1960) - Focused on Women Institute", Korean Newspapaer, Vol.28. No.4, pp. 162-192, 2002. 

  7. Kim, J. A; Cho, E. Y, "How the middle-aged women view her own life?",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Vol.1, No.3, 2015. 

  8. Jung, H. J. Women's Policy in the First epublic of Korea, The Korean Academic Information, 2009. 

  9. Kong, S. Y, "Regional Women's Policy's outcomes and outlooks", Dept. of Women, 2008. 

  10. Ma, K. H, "Feminism, Nation, Gender-Equality", Gender and Society, Dongnyeok,, pp.449-485, 2015. 

  11. Kang, N. S. "Nation and Women Policy'Change ", New Women's Study: Korean Society, Women, Gender. Dongnyeok, pp. 277-303, 2005. 

  12. Lee, B. B. Challenge, Passion, and Accompany: Women's Warm Area, Seoul: Pureonsasang, 2015. 

  13. Jang, P. H."A Workshop about Women Manager's Leadership and Development about the Capacity of Management", Policy Research Report, 2002. 

  14. Yang, M. S."To Manage 'Team' within Gender and Women's Leadership Role", Women's Study Institute, Vol.24, No.1, pp. 43-72, 2007. 

  15. Lee, S. H, "Leadership and Authority: Focused on feminism reconceptualization", Women's Study Institute, Vol.22, No.1, pp. 3-22, 2005. 

  16. Moon, M. K. "The Study of Personnel Management to Promote Managerial Women in the Public Sector in Korea", Korean Women's Policy Institute, 2016. 

  17. Yu, M. B."The Study about Assignment Manage within Women Managers in the Local Governments in Korea - Focused on Busan", Women's Study Institute, Vol.19, 2008. 

  18. Jung, T. Y."Woman President's Im/Possible: Senuri Party Part-Geunhe Candidate's 'To be a Woman President'", Women's Study Institute, Vol.28, 2013. 

  19. Heo, J."Men's Leadership versus Women's Leadership: Focused on Central Administrative Top (Executive) Managers", Pusan University, PhD Thesis, 2007. 

  20. Still, L. V, Where fo from here? The managerial women in transition, Business & Professional Publishing, 1993. 

  21. Oh, S. H. The Public Administration (7th), Bakyoungsa,2016. 

  22.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The First Gender Equality Policy, 201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