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성인 남성의 심혈관질환 위험에 대한 예측 요인의 융복합적 탐색
Convergence Exploration for Predictors of the Cardiovascular Disease Risk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2, 2018년, pp.251 - 259  

박경옥 (극동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Framingham risk score (FRS)를 이용하여 연령군에 따른 심혈관질환의 위험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6기(2013-2015) 자료 중 30-74세 남성 5211명의 자료를 분석한 서술적 횡단연이다. 연령을 통제한 회귀분석 결과 심혈관질환은 정상군에 비해 비만군이 2.5배(OR=2.51, 95% CI=2.05-3.07),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군이 1.7배 (OR=1.71, 95% CI=1.39-2.10), 과음하는 군이 1.3배 (OR=1.33, 95% CI=1.09-1.62) 높게 나타났고 식이섬유 섭취량이 적을수록(OR=0.99, 95% CI=0.98-0.99) 심혈관질환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만은 청년 및 중년 남성의 중요한 예측요인으로 분석되어 향후 본 연구결과는 심혈관질환의 잠재적 위험군인 청년 및 중년 남성을 대상으로 체중감소, 신체활동증가와 같은 생활습관을 변화시키는 교육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for cardiovascular disease (CVD) among age groups using the Framingham risk score (FRS). The research design used was a cross sectional descriptive study using the Six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rom 2013-2015. Data from 5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FRS를 바탕으로 상대적 위험군을 분류하고 연령군별 위험군의 분포 상태를 확인하였다. 또한 연령군별로 심혈관질환의 예방 전략을 개발하기 위하여 심혈관질환 위험의 예측요인을 규명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FRS를 바탕으로 상대적 위험군을 분류하고 연령군별 위험군의 분포 상태를 확인하였다. 또한 연령군별로 심혈관질환의 예방 전략을 개발하기 위하여 심혈관질환 위험의 예측요인을 규명하였다.
  • 본 연구는 한국 남성의 심혈관질환 위험의 예측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가 시행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6기(2013-2015) 자료를 활용한 이차 자료분석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혈관질환 관리 프로그램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심혈관질환을 관리하는 중재프로그램은 폐경기 중년 여성을 위한 프로그램과[8,9] 노인을 위한 금연이나 운동 프로그램 등 다양한 중재들과 교육이 시행되고 있는데 [10,11] 청년 및 중년층은 혈압이나 혈청 지질등이 정상 범위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아[7] 이들을 위한 심혈관질 환의 예방 교육이나 중재들이 많이 시행되고 있지 않다. 하지만 최근 연구들에서 청년 및 중년층이 노인에 비해 흡연, 과음율이 높고 운동 실천율이 낮아 이들을 대상으로 한 심혈관질환에 대한 예방과 즉각적인 중재가 필요 함을 보고하고 있다[7,12].
우리나라 심혈관질환 환자 현황은 어떠한가? 심장질환과 뇌혈관질환은 지난 10년 동안 한국인의 사망원인 2위와 3위였다. 심혈관질환의 유병률도 많이 증가하여 30세 이상의 성인 남자 3명 중 1명이 고혈압을 앓고 있으며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는 지난 10년동안 2배로 증가된 것으로 보고되었다[1,2]. 미국의 사망원인 역시 심혈관질환이 1위 였다.
심혈관 질환 예방을 위한 생활습관이 청년층보다 노인층에게 더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심혈관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은 나이, 성, 가족력과 같이 중재가 가능하지 않은 위험요인과 생활습관과 같이 중재가 가능한 위험요인 으로 나눠볼 수 있는데 중재가 가능한 대표적인 위험요 인인 생활습관 요인은 비만, 신체적인 활동부족, 음주, 흡연, 건강하지 못한 식습관 등이 있다. 청년층의 심혈관질환 유병률은 다른 연령군에 비해 낮은 이유는 청년들의 지질대사나 혈관상태와 같은 생리적 위험요인들이 아직 심혈관 질환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중년층의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의 특징은 청년층에 비해 생리적인 위험요인이 점차 영향을 주고 있지만 확연히 나빠지는 데는 시간이 걸려 중년층은 심혈관질환의 잠재적 위험군으로 분류될 뿐 실제적인 위험군인 노인에 비해 큰관심을 받고 있지 못하다[6]. 따라서 현재 잠재적 위험군인 중년층이 젊은 시기부터 가지고 있었던 건강하지 않는 생활양식을 계속 가지고 있다면 노인이 되었을 때 고위험군으로 변화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6,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6). The statistical result about cause of death. Daejeon: Statistics Korea. Available From: http://www.index.go.kr/potal/main/ EachDtlPageDetail.do?idx_cd1012 (accessed September 20 2017) 

  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 2015 Statistics about health behavior and chronic disease. Daejeon: Statistics Korea. Available From:http://cdc.go.kr/CDC/contents/CdcKrContentView.jsp?cid60949&menuIdsHOME001-MNU1130-MNU163 9-MNU1749-MNU1761 (accessed September 20 2017) 

  3. 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istics. (2016). Health, United States, 2016 with chartbook on long-term trends in health. Atlanta: 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istics. Available From: https://www.cdc.gov/nchs/hus/index.htm (accessed September 20 2017) 

  4. A. S. Go, D. Mozaffarian, V. L. Roger, E. J. Benjamin, J. D. Berry & M. J. Blaha.(2014). Heart Disease and stroke statistics-2014 update: A repor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129(3), e28-e292, DOI : 10.1161/01.cir.0000441139.02102.80 

  5. N. Townsend, M. Nichols, P. Scarborough & M. Rayner. (2015). Cardiovascular disease in Europe― epidemiological update 2015. European Heart Journal, 36, 2696-2705. DOI : 10.1093/eurheartj/ehv428 

  6. S. M. Grundy, R. Pasternak, P. Greenland, S. Smith & V. Fuster. (1999). Assessment of cardiovascular risk by use of multiple-risk-factor assessment equations. Circulation, 100, 1481-1492. DOI : 10.1016/s0735-1097(99)00387-3 

  7. K. O. Park & S. Y. Hwang. (2015). 10-year risk for cardiovascular disease among male workers in small-sized industries.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30(3), 267-273. DOI : 10.1097/JCN.0000000000000146 

  8. F. Atsma, M. Bartelink, D. Grobbee & Y. Schouw. (2006). Postmenopausal status and early menopause as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cardiovascular disease: A meta-analysis. The Journal of The North American Menopause Society, 13(2), 265-279. DOI : 10.1097/01.gme.0000218683.97338.ea 

  9. L. Mosca, E. J. Benjamin, K, Berra, J. L. Bezanson, R. J. Dolor & D. M. Lloyd-Jones. (2011). Effectiveness-based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women-2011 update a guideline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123, 1243-1262. DOI : 10.1161/CIR.0b013e31820faaf8 

  10. E. S. Yi. (2017). The physical activity and smart health care of trend for the elderl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8), 511-516. DOI : 10.14400/JDC. 2017.15.8.511 

  11. H. Kim, J. S. Choi, & E. H. Hwang. (2017). Effect of smart phone video educational program on disease-related knowledge and anxiety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5(5), 391-400. DOI : 10.14400/JDC.2017.15.5.391 

  12. B. Hildrum, A. Mykletun, A. A. Dahl & K. Midthjell. (2009). Metabolic syndrome and risk of mortality in middle-aged versus elderly individuals: The Nord-Trondelag health study (HUNT). Diabetologia, 52, 583-590. DOI :10.1007/s00125-009-1271-5 

  13. K. Liu, M. L. Daviglus, C. M. Loria, L. A. Colangelo, B. Spring, A. C. Moller & D. M. Lloyd-Jones. (2012). Healthy lifestyle through young adulthood and the presence of low cardiovascular disease risk profile in middle age: The coronary artery risk development in young adults (CARDIA) study. Circulation, 125, 996-1004. DOI : 10.1161/CIRCULATIONAHA.111.060681 

  14. K. O. Park & J. Y. Seo. (2017). Gender differences in factors influencing the Framingham risk score-coronary heart disease by BMI.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5(4), 248-258. DOI : 10.12799/jkachn.2014.25.4.248 

  15. N. C. Barengoa, G. Hub, T. A. Lakkaa, H. Pekkarinene, A. Nissinenb & J. Tuomilehtob. (2004). Low physical activity as a predictor for total and cardiovascular disease mortality in middle-aged men and women in Finland. European Heart Journal, 25, 2204-2211. DOI : 10.1016/j.ehj.2004.10.009 

  16. M. N. Vranian, T. Keenan, M. J. Blaha, M. G. Silverman, E. D. Michos & C. M. Minder. (2013). Impact of fitness versus obesity on routinely measured cardiometabolic risk in young, healthy adults. American Journal Cardiology, 111, 991-995. DOI : 10.1016/j.amjcard.2012.12.022 

  17.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2017).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 Daejeon: Statistics Korea. Available From:http://cdc.go.kr/CDC/contents/CdcKrContentView.jsp?cid60942&menuIdsHOME001-MNU1130-MNU163 9-MNU1748-MNU1754(accessed June 10 2017). 

  18. National Institute Alcohol Abuse and Alcoholism.(2013). Alcohol screening and brief intervention for youth. Rockville: NIAAA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Center. Available from: http://pubs.niaaa.nih.gov/publications/Practitioner/Youth Guide/YouthGuideOrderForm.htm(accessed April 30 2017). 

  19. M. Ko, M. T. Kim & J. J. Nam. (2006). Assessing risk factors of coronary heart disease and its risk prediction among Korean adults: The 200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Cardiology. 110, 184-190. DOI : 10.1016/j.ijcard.2005.07.030 

  20. I. Y. Um, W. J. Choi, D. Lee, J. S. Oh, M. K. Yi & J. W. Yoon. (2012). Risk assessment for cardiovascular diseases in male workers: Comparing KOSHA guidelines and the Framingham risk score system. Korean Journal Occupational Environment Medicine, 24(4), 365-374. 

  2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2011). Korea Health Statistics 2010 :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ejeon: Statistics Korea. Available From:http://cdc.go.kr/CDC/contents/CdcKrContentView.jsp?cid60949&menuIdsHOME001-MNU1130-MNU1639-MNU1749-MNU1761(accessed June 10 2017). 

  22. D. M. Tran & L. M. Zimmerman(2015).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young adults: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30, 298Y310. DOI : 10.1097/JCN.0000000000000150 

  23. M. Suka, Y. Miwa, Y. Ono & H. Yanagisawa. (2012). Impact of weight gain o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Japanese male worker. Journal Occupational Environment Medicine, 54, 1288-1292. DOI : 10.1097/jom.0b013e31825cb669 

  24. L. Byberg, H. Melhus, R. Gedeborg, J. Sundstrom, A. Ahlbom & B. Zethelius. (2009). Total mortality after changes in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in 50 year old men: 35 year follow-up of population based cohort. BMJ. 338, b688. DOI : 10.1136/bmj.b688 

  25. G. L. Chiva-Blanch, S. Arranz, R. M. Lamuela-Raventos & R. Estruch. (2013). Effects of wine, alcohol and polyphenols on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evidences from human studies. Alcohol and Alcoholism. 48(3), 270-277. DOI : 10.1093/alcalc/agt007. 

  26. S. E. Brien, P. E. Ronksley, B. J. Turner, K. J. Mukamal & W. A. Ghali. (2011). Effect of alcohol consumption on biological markers associated with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systematic reviewand meta-analysis of interventional studies. BMJ. 342, d636. DOI : 10.1136/bmj.d636 

  27. K. A. Ahn, E. J. Yun, E. R. Cho, C. M. Nam, Y. Jang & S. H. Jee. (2006). Framingham equation model overestimates risk of ischemic heart disease in Korean men and women. Korean Journal Epidemiology. 28, 162-1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