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년층 성인남성에서 흡연, 음주, 비만지표가 심뇌혈관계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Influencing Factors on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in Young Men: Focusing on Obesity Indice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9 no.1, 2017년, pp.1 - 10  

김철규 (충북대학교 간호학과학과) ,  이시향 (서울아산병원 임상약리학과) ,  차선경 (선문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fluences of drinking, smoking, and obesity indices on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in Korean young men. Methods: The subjects were 234 young men, aged 20 to 39 years. Body mass index (BMI), percent body fat (PBF), body fat mas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본인이 건강하다고 인식하는 청년층 성인남성에서 음주, 흡연 및 비만지표와 심뇌혈관계 위험인자의 상관성을 확인하고 심뇌혈관계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청년층 성인 남성에서 흡연, 음주 및 비만지표와 심뇌혈관계 위험인자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같다.
  • 본 연구는 청년층 성인 남성에서 흡연, 음주 및 비만지표와 심뇌혈관계 위험인자의 관련성을 탐색하기 위한 서술적 후향적 조사 연구이다.
  • 그러나 그간 국내에서 시행된 비만지표와 관련된 연구로는 정상 체중이나 허리둘레를 갖는 성인이나 저신장 여성, 여대생에서 체지방률과 혈압, 혈당, 지질 수치와의 관련성[17-20] 등이 이루어져, 심뇌혈관계 질환 위험요인이 비교적 높고 건강관리를 적극적으로 시행하지 않고 있는 건강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청년층 남자 성인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만하지 않다고 인지하고 있는 20-30대 성인 남성에서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체지방량, 허리/둔부비의 비만지표가 심뇌혈관계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살펴보고자 하며, 음주와 흡연을 다양한 비만 지표와 함께 살펴봄으로써 비만지표가 심뇌혈관질환 위험인자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 또한 확인하고자 한다.
  • 이런 선행연구의 의미를 20-39세의 성인남성으로 대상자를 한정한 본 연구에 적용해 보면, 고혈압과 총콜레스테롤이 중요한 심뇌혈관질환의 예측요인이라는 추측이 가능하다. 즉, 본 연구에서 수축기혈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체질량지수와 이완기혈압에 영향을 미친 연령, 음주량, 체지방량과 총콜레스테롤에 영향을 미친 허리둔부둘레비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연령, 성별 등이 바꿀 수 없는 고정요인임을 고려할 때, 흡연, 음주, 체질량지수, 체지방량 및 허리둔부둘레비의 비만지표 등 스스로의 노력에 따라 바꿀수 있는 변동요인을 적극적으로 개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을 판정하는 기준에는 무엇이 있나? 특히, 당뇨병, 고혈압, 이상지질혈증의 주요 위험요인인 비만 관리를 적절하게 하기 위해서는 비만도의 적절한 평가가 요구된다[7]. 비만을 판정하는 기준에는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 체지방률(percent of body fat, PBF), 허리둘레(waist circumference, WC), 허리 둘레/키 비(waist circumference to height ratio, WHtR), 허리/둔부둘레 비(WHR) 등이 있다[6,10,11]. 이 중 체질량지수는 측정이 간편하고 체지방을 잘 반영하여 세계보건기구[6]에서는 이를 비만 선별의 기준으로 사용하고 있다.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받지 못하고 있는 미충족 의료의 주요이유는 무엇인가? 5%로 가장 높았고, 20대 남성이 세 번째로 높았다. 미충족 의료의 주요 이유는 시간이 없어서, 증상이 가벼워서, 경제적인 이유 때문이었으므로[5], 학업, 취업 준비나 업무 등으로 인하여 바쁘고 경제적 여유가 많지 않아 필요한 의료서비스 이용이 낮은 청년층 성인 남성의 심뇌혈관계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개선이 요구되고 있는 비만, 흡연 및 음주에 대한 효율적인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비만은 어떠한 병들을 유발하는 위험인자인가? 심혈관계 질환 위험요인 중 비만은 체지방의 과잉 축적 상태로, 당대사 및 중성지방과 저밀도지질단백질의 증가와 고밀도지질단 백질의 감소 및 고혈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 심혈관계 위험요 인인 당뇨병,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및 관상동맥질환을 유발하는 위험인자이기도 하므로[6], 심혈관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 다도 비만 관리가 중요하다[7]. 또한 흡연 및 음주도 고지질혈증, 인슐린 저항 증가 및 혈압 증가와 관련되어 있으므로[8] 흡연 및 음주에 대한 관리도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Statistics Korea. 2015 cause of death statistics[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5 [cited 2016 Aug 9].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6/2/index.board. 

  2. World Heart Federation. 2016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Internet]. 2016 [cited 2016 Aug 9]. Available from: http://www.world-heart-federation.org/press/fact-sheets/cardiovascular-disease-risk-factors/. 

  3. Committee for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Dyslipidemia. 2015 Korean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dyslipidemia. Journal of Lipid and Atherosclerosis. 2015;4(1):61-92. http://dx.doi.org/10.12997/jla.2015.4.1.61 

  4. Youn JH, Kim JS, Cho KH, Ji SH, Baek JK, Park SY. Trends in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by obesity: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1-2013.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2015;5(3):S382-8. 

  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national health statistics, 6th nutrition examination survey[Internet]. Sejong: Minister of Health and Welfare; 2014 [cited 2016 Aug 9].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front_new/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26126&page1. 

  6. World Health Organization. Obesity: preventing and managing the global epidemic.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0. p.1-253. 

  7.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12 obesity treatment guidelines. 4th ed. Seoul: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12. p.11-16. 

  8. Kang HT, Kim SY, Kim J, Kim J, Kim J, Park HA, et al. Clinical Practice Guideline of Prevention and Treatment for Metabolic Syndrome.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2015;5(3):375-420. 

  9. Seo YJ. 4 out of 10 men have obese... increase of 20's. Joongang Ilbo. 2016 November 7; Sect.20. 

  10. Sim SJ, Park HS. The cut-off values of body fat to identify cardiovascular risk among Korean adults.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2004;13(1):14-21. 

  11. Gil JH, Lee MN, Lee HA, Park H, Seo JW. Usefulness of the waist circumference-to-height ratio in screening for obesity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Pediatric Gastroenterology and Nutrition. 2010;13(2):180-192. http://dx.doi.org/10.5223/kjpgn.2010.13.2.180 

  12. Burkhause RV, Cawley J. Beyond BMI: the value of more accurate measures of fatness and obesity in social science research. Journal of Health Economics. 2008;27(2):519-29. http://dx.doi.org/10.1016/j.jhealeco.2007.05.005 

  13. Frankenfield DC, Rowe WA, Cooney RN, Smith JS, Becker D. Limits of body mass index to detect obesity and predict body composition. Nutrition. 2001;17(1):26-30. 

  14. Cho YG, Song HJ, Kim JM, Park KH, Paek YJ, Cho JJ, et al. The estimation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by body mass index and body fat percentage in Korean male adults. Metabolism. 2009;58(6):765-771. http://dx.doi.org/10.1016/j.metabol.2009.01.004 

  15. Marques-Vidal P, Pecoud A, Hayoz D, Paccaud F, Mooser V, Waeber G, et al. Normal weight obesity: relationship with lipids, glycaemic status, liver enzymes and inflammation. Nutrition, Metabolism and Cardiovascular Diseases. 2010;20(9):669-675. https://dx.doi.org/10.1016/j.numecd.2009.06.001 

  16. Karelis AD, St-Pierre DH, Conus F, Rabasa-Lhoret R, Poehlman ET. Metabolic and body composition factors in subgroups of obesity: what do we know?.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2004;89(6):2569-2575. https://dx.doi.org/10.1210/jc.2004-0165 

  17. Park MH, Lee KM, Jung SP. Association between percent body fat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normal weight Korean adults.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2013;13(1):17-24. 

  18. Choi HC, Kim HJ, Min SJ, Lee K, Kim KW, Oh SM, et al. Changes in blood pressure, blood glucose, and lipid profile caused by changes of weight, percent body fat, and waist circumference in adult men with normal weight and waist circumference.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2010;31(6):430-436. http://dx.doi.org/10.4082/kjfm.2010.31.6.430 

  19. Myung JH, Han YA, Min KB, Kwon JY, Roh YK, Choi MK. Relationship between body fat percent and obesity indices in short stature women.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2014;23(2):93-98. http://dx.doi.org/10.7570/kjo.2014.23.2.93 

  20. Jang EH, Park YR. Body composition, blood pressure, blood lipids, and glucose according to obesity degree by body fat percentage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2;14(4):231-238. http://dx.doi.org/10.7586/jkbns.2012.14.4.231 

  21. Ellis KJ. Selected body composition methods can be used in field studies. Journal of Nutrition. 2001;131(5):1589S-1595S. 

  22. Lee S, Park HS, Kim SM, Kwon HS, Kim DY, Kim DJ, et al. Cut-off points of waist circumference for defining abdominal obesity in the Korean population.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2006;15(1):1-9. 

  23. Kim H. Age- and Gender-related Differences of Muscle Mass in Korean.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2012;21(4):220-227. http://dx.doi.org/10.7570/kjo.2012.21.4.220 

  24.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2012 study on Korean cardio cerebrovascular disease and high risk dyslipidemia [Internet]. Seoul: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2012 [cited 2016 Aug 9]. Available from: http://www.neca.re.kr/center/paper/report_view.jsp?boardNoGA&seq26&q626f6172644e6f3d4741 

  25. Kim MY, Lim CH. Effect of the BMI and % fat on the diagnosis of hyperlipermia in adult wome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0: 10(8):301-307. https://dx.doi.org/10.5392/jkca.2010.10.8.301 

  26. Tanaka S, Togashi K, Rankinen T, Perusse L, Leon AS, Rao DC, et al. Is adiposity at normal body weight relevant for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and Related Metabolic Disorders. 2002;26(2):176-183. https://dx.doi.org/10.1038/sj.ijo.0801880 

  27. Ronksley PE, Brien SE, Turner BJ, Mukamal KJ, Ghali WA. Association of alcohol consumption with selected cardiovascular disease outcom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The British Medical Journal. 2011;342:d671. http://dx.doi.org/10.1136/bmj.d671 

  28. McKee M, Britton A.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lcohol and heart disease in eastern Europe: potential physiological mechanisms. Journal of the Royal Society of Medicine. 1998;91(8):402-407. 

  29.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dult Treatment Panel III).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dult treatment panel III) final report. Circulation. 2002;106(25):3143-342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